메뉴 건너뛰기

close

- 건강검진이 금연의지 상승시키지만, 금주의지엔 별 영향 못 미쳐
- 서울아산병원 김영식 교수팀, 건강진단 받은 120명 분석 결과


우리 국민은 건강검진 시행 후 금연의 필요성을 가장 크게 깨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주 필요성은 크게 느끼지 못했다.

건강검진 시행 후 금연의 필요성을 가장 크게 깨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주 필요성은 크게 느끼지 못했다.
 건강검진 시행 후 금연의 필요성을 가장 크게 깨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주 필요성은 크게 느끼지 못했다.
ⓒ pixabay

관련사진보기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김영식 교수팀이 2016년 일반건강검진·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받은 경험이 있는 수검자 120명을 대상으로 건강검진에 대한 인식도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일반건강검진과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결과지에 대한 수검자 이해도 조사)는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의 학술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연구팀은 설문내용을 5점 척도로 평가했다. 생활습관 개선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서 '매우 느낀다'는 5점, '느끼지 않는다'는 1점을 주었다.

건강검진 후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을 얼마나 크게 느꼈는지를 알아본 결과 흡연이 3.45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다. 건강검진 수검자는 흡연과 관련된 생활습관 개선이 가장 필요하다고 느낀다는 의미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금연 상담은 금연 의지를 강화시키고 흡연율을 낮춘다"며 "국가검진에서 금연 관련 상담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금연은 약물 요법 단독보다 상담을 병행한 경우 성공률을 더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단한 상담으로도 금연에 임하는 태도·행동뿐만 아니라 금연율을 의미 있게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2013년 톰 프리든 당시 미국 질병관리센터(CDC) 소장은 "의사와 3~5분 개별 상담을 하는 것만으로도 환자의 금연 의지는 2배 높아진다"며 금연 상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팀은 수검자의 조건·금연 의지 등을 파악해 적절한 상담을 진행하는 등 금연 상담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도 언급했다.

우리나라 건강검진 수검자는 검진 뒤 음주와 관련된 생활습관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선 공감도가 낮았다. 음주 관련 생활습관 개선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 최저점(2.72점)을 기록했다. 건강검진 뒤 흡연 습관과는 달리 음주 습관은 크게 개선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금주에 대한 이해·인식 부족'과 '사회적으로 만연한 음주에 대한 관용적 분위기'를 그 이유로 꼽았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음주 관련 상담은 상담 받은 사람의 알코올 소비량을 크게 감소시킨다"며 "알코올과 관련한 입원·상해·교통사고·사망률을 줄일 수 있으므로 건강검진 시 음주에 대한 상담이 효율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데일리 푸드앤메드'(www.foodnmed.com)에도 실렸습니다. (저작권 ⓒ ‘당신의 웰빙코치’ 데일리 푸드앤메드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태그:#푸드앤메드, #음주, #흡연, #금연, #금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당신의 웰빙코치 '데일리 푸드앤메드'(www.foodnmed.com)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