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죽산 조봉암 평전 저자인  이원규 소설가가 조봉암 선생의 명예회복의 완결은 독립유공훈장 추서라고 밝혀 눈길을 끌고 있다.

이승만 정권의 사법 재판에 의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인천출신의 조봉암 선생은 독립운동가, 초대 농림부장관, 국회부의장, 대통령 후보를 지냈다.

오는 13일 부평어울림센터에서 열릴 '죽산 조봉암 선생 재조명을 위한 시민토론회'에서 기조강연을 할 이원규 작가는 '죽산 정신의 진정한 계승'이란 원고를 통해 "국가보훈처가 죽산에 대한 독립유공자 서훈 반려 이유로 '친일행적'을 내세우지만 사실은 공산당 및 진보당에 참여해 안 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작가는 죽산이 1940년 1월 5일 '흥아신춘' 광고에 '선관사'라는 정체 모를 회사명으로 올린 광고는 관의 요구를 받은 기업인들이 반강제적으로 당시 일본의 국책인 '대동아공영'을 축원하는 광고에 동참한 것일 뿐 아니라 어디에도 선관사에 대한 자료 자체가 없다고 밝혔다.

일제강점기 총독부 기관지였던 매일신보 1941년 12월 23일자에 실린 '국방성금 150원 납부' 기사도 누군가 대신 냈거나 죽산의 이름을 이용한 일제 경찰의 공작이라는 것이다.

죽산이 국방성금을 냈다면 8·15 광복 후 죽산을 축출하려 했던 박헌영 일파가 당연히 트집을 잡았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작가는 죽산의 명예회복을 위해서는 부평구가 일반 학술대회가 아닌 시민토론회를 열어 죽산을 재조명하는 것처럼 인천시민이 나서 그의 정신을 현양하고 계승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대법원이 2011년 재재심을 열어 죽산의 간첩죄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것은 "그동안 땅속에 묻어 두었던 국가양심의 회복, 국격(國格)의 회복"이라고 큰 의미를 부여했다.

이 작가는 죽산의 최대 업적으로 1천년 동안 지속되어 온 우리나라의 소작제도를 단번에 끝나게 한 '농지개혁 전면 실시'를 꼽았다.

조봉암 선생이  입안한 농지개혁법이 우리나라를 '소작의 나라'에서 '소농의 나라'로 변신시켜, 자기 땅을 갖게 된 농민들이 6.25 전쟁 중에 공산군 편에 서지 않아 적화통일을 막았다는 분석이다.

그는 지금 우리가 죽산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는 60년 전에 주장했던 ▲책임정치 ▲수탈 없는 정의로운 경제 ▲평화통일 등 세 가지 이념이 아직까지 실현되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진보당 강령에 나오는 교육의 완전 국가보장제 문제도 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조봉암이 간첩죄 등으로 1959년 사형에 처해진 후 대법원은 2011년 1월 20일 "조봉암 선생은 독립운동가로서 건국에 참여했고 국회의원, 국회부의장, 농림부장관으로 재직하며 우리 경제 체제의 기반을 다진 정치인임에도 잘못된 판결로 사형이 집행됐다. 재심판결로 그 잘못을 바로 잡는다"고 판결했다.

대통령 직속 진실화해위원회는 지난 2007년 "조봉암이 일제에 항거하고 독립운동을 하다가 복역한 사실이 있으므로 독립유공자로 인정하는 것이 상당하다"는 결정문을 내 놓았다.

조봉암 포스터
 조봉암 포스터
ⓒ 인천뉴스

관련사진보기


부평문화원과 부평역사박물관은 새얼문화재단의 후원으로 13일 오후 4시부터 부평어울림센터 4층 대강당에서 '60년 망각의 세월, 조봉암이 남긴 평화의 씨앗'을 주제로 조봉암 시민토론회를 갖는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인천뉴스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인천뉴스, #죽산 조봉암 , #독립운동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인천뉴스는 2003년 8월 15일 '인천만의 뉴스독립'을 위해 인천 최초로 창간된 인터넷 신문으로 127명의 창간발기인과 시민주주를 주축으로 한 독립법인으로 탄생했습니다. 창간부터 지역언론 개혁과 카르텔 깨기를 전개해왔으며, 신문발전위원회 인터넷신문 우선지원사로 2007~2009 3년연속 선정된 바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