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08년, 국가보훈처 현충시설로 등록된 소난지도 의병항쟁 추모탑 모습
 2008년, 국가보훈처 현충시설로 등록된 소난지도 의병항쟁 추모탑 모습
ⓒ 오문수

관련사진보기


광복 71주년을 맞이해 지난 7월 10일 전국해양문화학자들과 함께 방문했던 충남 당진 소난지도의 항일의병총이 생각났다. 소난지도 의병항쟁은 전국최초의 해전 항일운동이다.

충남 당진시 석문면 난지도리 소난지도 둠바벌 바닷가에는 의병 유골을 합장한 의병총이 있다. 조선시대 조운선이 태풍을 피해 기항하던 소난지도에 총성이 울리며 전국 최초 해전 항일운동이 일어난 건 1908년이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로 국권을 일제에게 빼앗기자 경기도 수원의 홍일초는 의병을 일으켜 항일투쟁을 벌였다. 100여 명에 달한 의병들은 일본군에 쫓겨 충남 당진 소난지도에 집결해 재기를 노렸지만 정보를 탐지한 일본군의 기습공격에 맞서 끝까지 싸우다 대부분 전사했다.

의병총의 역사적 사실을 알 수 있게 된 건 의병항쟁을 직접 목격한 조예원(1893~1980)의 증언이 있었기 때문이다. 소난지도가 바라보이는 마을인 석문면 교로리 검은들 마을에 살던 그는 소난지도 앞 바다인 도비도에서 일을 하다가 교전상황을 직접 목격했다고 한다.

당시 16세였던 조예원의 증언에 의하면 소난지도 전투는 무신년(1908년) 2월 12일(음력) 밤부터 13일 아침까지 있었으며 대장은 홍일초라고 했다. 의병은 배를 타고 소난지도에 들어오는 일본군을 향해 집중사격을 했으나 배에 소나무를 가득실어 총격을 피했고 탄환이 떨어진 의병을 죽였다고 한다.

일본경찰대의 정보 보고서 기록

소난지도 의병항쟁에 관한 자세한 기록을 남긴 <폭도에 관한 편책> 원본에 의하면, 홍성경찰분서에서는  소난지도에 의병대가 있다는 보고를 받고 3월 13일 일본인 순사 7명과 한인 순사 8명 등 15명으로 편성된 경찰대를 아가츠마 다카하치의 인솔 하에 당진지역으로 파견했다.

이들은 소난지도가 의병의 근거지임을 확인하고 3월 15일 아침 6시부터 배를 타고 소난지도로 들어가 의병과 총격전을 벌였다. 총알이 떨어져간 의병들은 고지 뒤쪽 절벽 아래로 뛰어내려 섬의 동남쪽으로 피하면서 경찰대와 수십차례 접전했으나 오후 3시경 대장 홍원식과 선봉장 박원석을 비롯해 총 41명이 전사하고 9명이 부상을 입고 체포되면서 의병은 궤멸되고 말았다.

일본의 보고서에는 41명이 전사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100여 명에 달하는 의병이 전사했다고 한다.

선열의 얼 살린 의병항쟁 추모탑 건립     

현장답사에 나선 전국해양문화학자들이 소난지도 의병총 앞에서 해설을 듣고 있다
 현장답사에 나선 전국해양문화학자들이 소난지도 의병총 앞에서 해설을 듣고 있다
ⓒ 오문수

관련사진보기


의병 시신 일부는 바닷물에 떠내려갔고, 나머지는 섬 주민들이 모아 둠바벌에 묻고 봉분을 만들었다. 하지만 약재가 된다고 믿었던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이 의총을 파서 유골을 가져가거나 가매장됐던 웅덩이나 해변 무덤에서 해풍을 이기지 못한 유골들이 뒹굴었다.

전설처럼 구전되던 의병항쟁사는 한 교사의 노력으로 빛을 보게 됐다. 소난지도를 돌아보던 석문중학교 한 교사가 현장상황을 학교에 보고했다. 현장을 방문한 석문중학교 신이균 이사장과 김부영 교장은 의병총이 멸실되어가는 상황을 안타까워하면서 의병총을 보수 정화해(1973년) 학생들로 하여금 선열의 얼과 애향심을 고취하는 정신도장으로 삼고자했다.

교직원과 학생, 주민들이 뜻을 모아 유골을 수습, 봉분을 봉축, 묘역을 정비했다. 2008년에는 소난지도 의병항쟁 추모탑을 건립했으며 이듬해인 9월 22일에는 국가보훈처 현충시설로 등록됐다.             

덧붙이는 글 | 여수넷통에도 송고합니다



태그:#소난지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육과 인권, 여행에 관심이 많다. 가진자들의 횡포에 놀랐을까? 인권을 무시하는 자들을 보면 속이 뒤틀린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