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4대강 사업이 끝나기 무섭게 ‘비단강’으로 불리던 금강의 수질이 악화 되었다. 2013년 8월 금강에 녹조가 발생하면서 김성중 대전충남녹색연합 간사가 공주보가 보이는 곳에서 물을 떠서 쏟자 녹색페인트를 강에 붙는 것처럼 보인다.
 4대강 사업이 끝나기 무섭게 ‘비단강’으로 불리던 금강의 수질이 악화 되었다. 2013년 8월 금강에 녹조가 발생하면서 김성중 대전충남녹색연합 간사가 공주보가 보이는 곳에서 물을 떠서 쏟자 녹색페인트를 강에 붙는 것처럼 보인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을 가장 찬동했던 언론은 어디일까. 시민단체가 7년 5개월 동안 주요 언론 매체 12개의 사설과 칼럼을 살펴본 결과 <동아일보>와 <문화일보>가 맹목적 찬동 언론으로 꼽혔다.

4일 오전 대한하천학회와 민주언론시민연합, 전국언론노조, 한국PD연합회, 환경운동연합은 기자회견을 열고 4대강 왜곡언론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2007년 8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진행됐으며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등 12개 언론 매체의 사설과 칼럼 중 대운하와 4대강 사업 관련 글 1747건을 선정해 분석했다.

7년 5개월간 칼럼·사설 1700여 건 분석... <조선>은 선거 뒤 논조 바뀌기도

조사 단체에 따르면 '4대강 사업'을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한 언론은 <문화일보>와 <동아일보>였다. <문화일보>는 95.7%(93건 중 89건 긍정), <동아일보>는 84.3%(128건 중 107건)의 긍정 비율을 보였다. 다음으로 <한국경제> 77.5%(71건 중 55건 긍정), <중앙일보> 49.1%(59건 중 29건 긍정), <국민일보> 40.0%(100건 중 40건 긍정), <서울신문> 35.7%(115건 중 41건 긍정) 순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경제>는 2010년 6월 지방선거에서 야권이 우세한 결과를 얻자 4대강 사업을 더 적극적으로 긍정했다는 점이다. 특히 <조선일보>의 경우 지방선거 이전에는 수질 악화 우려 및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것에 비판적 입장을 취하다가, 선거 이후 강한 찬성 입장으로 돌아섰다. 거기에 '4대강 반대= 좌파'라는 색깔론을 사용하며 야권을 폄훼하기 시작했다고 단체는 밝혔다.

또한 단체는 내용을 토대로 '맹목적 찬동', '교묘한 찬동', '암묵적 찬동'으로 구분하고, <동아일보>와 <문화일보가> 맹목적 찬동에 속한다고 밝혔다. 이어 교묘한 찬동에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경제>가 포함됐고, <국민일보>, <서울신문>, <매일경제>, <세계일보>는 암묵적 찬동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이날 기자회견을 주관한 박창근 대한하천학회 부회장(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은 "4대강 사업과 같은 부실한 계획이 현실에서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은 맹목적이면서 교묘한 찬동 세력과 암묵적으로 찬동했던 언론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이번 조사는 사회적 성찰로 이성과 합리성을 회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태그:#4대강 사업, #동아일보, #대한하천학회, #민주언론시민연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좋은 사람'이 '좋은 기자'가 된다고 믿습니다. 오마이뉴스 정치부에디터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