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60대라니 믿기지 않는 얼굴이다."
"최강 동안이네."
"나이를 거꾸로 먹나?"

실제 나이보다 젊어 보이는 사람들의 얼굴이 심심치 않게 화제가 되곤 한다. 나이와 얼굴의 '부조화'는 대중매체들에겐 뉴스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좋은 소재이기도 하다.

얼핏 보면 '주민등록상' 나이보다 적어도 5년 안팎, 많게는 10~20년씩 덜 먹어 보이는 사람들이 있긴 하다. 그렇다면 이들의 신체가 정말 또래들보다 젊은 걸까? 나아가, 다른 사람들보다 젊은 모습이니 그만큼 더 오래 살까?

나이는 속일 수 있다. 하지만 속일 수 있는 대상은 사람뿐이다. 조물주를 상대로는 거짓말을 할 수 없다는 얘기다. 나무가 나이테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드물다. 헌데 사람도 확인이 까다롭고 번거로워서 그렇지, 연령을 추정할 수 있는 고유의 '나이테'를 누구나 갖고 있다.

얼굴이나 신체의 노화 정도를 좌우하는 건, 세월이다. 하지만 생활 방식이나 직업 등에 따라 외견상 내려앉는 세월의 두께는 얼마든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쌍둥이라도 평생을 야외에서 육체노동을 해온 형과 사무실에서 컴퓨터 자판을 두드려온 동생의 얼굴 혹은 신체가 서로 비슷한 정도로 늙어 보일 확률은 낮다.

유전자에 쌓이는 세월의 양

그러나 겉모습과 달리 유전자에 차곡차곡 쌓이는 세월의 흔적은 누구나 일반적으로 똑같다. 인종·민족은 물론 생활환경도 별 영향을 못 준다. 다시 말해, 세칭 '최강 동안'으로 보이는 사람의 유전자(DNA)에도 예외 없이 주민등록상의 또래와 똑같은 '양'의 세월의 흔적이 남는 것이다.

학자들은 생명체의 핵심이랄 수 있는 DNA에 인간 특유의 나이테가 있을 것으로 오래 전부터 추정해 왔다. 인간의 나이테와 관련, 대대적으로 처음 눈길을 끈 것은 염색체의 양 끝에 존재하는, 이른바 '말단소립'(telomere)의 길이였다. 말단소립은 세포분열이 거듭될수록, 즉 시간이 지날수록 짧아지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 특성을 활용하면 개개 세포의 노화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지난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바로 말단소립의 이런 정체를 규명한 3명의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하지만 말단소립은 태어날 때부터 사람마다 그 길이가 다르다. 바꿔 말해, 말단소립의 절대적인 길이 정보만으로는 확실한 연령 추정이 불가능한 것이다. 인간의 나이 추정에서 말단소립의 한계를 극복하고 최근 등장한 게 DNA의 메틸화(methylation)이다. 나이가 들면 얼굴에 주름이 늘듯, 메틸화되는 DNA의 특정부위 양이 늘어난다는 사실이 2013년 말 최초로 학계에 알려졌다.

메틸화 양에 근거한 인간 나이테 측정의 표준 오차는 평균 2년 반 정도이다. 누군가의 혈액을 채취해 메틸화 정도를 파악하면 주민등록상 나이와 대략 5년 이내 차이로 연령을 알아맞출 수 있다는 뜻이다. 또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입 안의 볼 부위를 면봉으로 살짝 긁어낸 뒤 이를 통해 나이를 추정하면, 표준 오차를 1년 반 이내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암세포나 특정 질환에 걸린 세포의 DNA는 인간 나이테로 활용될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메틸화 나이테'가 질병 진단과 경과를 가늠하는 보조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한술 더 떠 메틸화 양상을 추적하면 개개인의 수명 예측까지도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러고 보면 사람의 목숨은 물론 노화 정도 또한 온전히 하늘에 달려 있는 셈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위클리공감>(korea.kr/gonggam)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위클리공감>은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행하는 정책 주간지입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나이테, #동안, #연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신축년 6학년에 진입. 그러나 정신 연령은 여전히 딱 열살 수준. 역마살을 주체할 수 없어 2006~2007년 북미에서 승차 유랑인 생활하기도. 농부이며 시골 복덕방 주인이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