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김봉준 작. 이소선 여사 추모 그림
▲ 위대한 어머니 김봉준 작. 이소선 여사 추모 그림
ⓒ 김봉준

관련사진보기


청계피복노조는 청계천 평화시장 노동자들의 힘만으로 결성된 것이 아니었다. 전태일이 죽은 뒤 친구들의 피나는 노력이 밑거름이 되었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학생, 사회 각계의 여론에 힘입어 결성된 노동조합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조합원 가입원서를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조합원을 실질적으로 조직화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였다.

그 중에서도 여성조합원을 조직화하는 일은 가장 시급한 문제였다. 남자조직은 삼동회가 중심이 되어 엉성하나마 조직화가 되어 있었다. 반면에 청계천피복공장 노동자 중 8할 이상이 여성들이었는데 여성조합원 조직화는 전혀 되어 있지 않았다. 노조에서는 여성조합원 조직화사업을 서두르기로 방침을 세웠다.

노조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여성조합원들이 중심이 되어 각 공장 고참 미싱사들에게 모임의 필요성을 설득해나갔다. 특히 JOC(카톨릭노동청년회)에서 파견되어 부녀부장을 맡은 정인숙의 조직 활동은 괄목할 만했다. 5월에는 여성조합원들을 모아서 금곡릉으로 친선야유회를 다녀왔다.

여기서 '아카시아회'가 처음으로 발족되었다. 아카시아회는 여성조합원들만을 가입 대상으로 하였다. 한 모임 당 15명 정도의 회원을 가진 소모임 연합체적인 모임이었다. 아카시아회에서는 주로 노조에 대한 교육과 함께 자체 내 행사로, 이를테면 연말에 연소근로자 위안잔치, 노동절행사, 교육기금마련 바자회 등을 개최하였다.

아카시아회는 노조의 기본조직으로서 1970년대 말까지 이어져나갔다. 물론 청계노조의 걸출한 여성 노조활동가는 거의 대부분 이 아카시아회 출신이다.

1971년 4월 27일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의 박정희 후보는 온갖 부정을 저지른 끝에 백만 표가 채 못 되는 표차로 신민당의 김대중 후보를 힘겹게 이겼다. 집권당이라는 기득권을 이용해 자행한 엄청난 부정을 감안한다면 사실은 집권층을 반대하는 민중들의 승리였다.

학생들과 재야인사들은 박정권에 대한 반대투쟁을 일으켰다. 노동자와 서민들도 생존권투쟁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한진상사 노동자들의 칼 빌딩 방화사건을 비롯하여 광주대단지 사건, 국립의료원 인턴들의 처우개선 투쟁, 영세상공인들의 세금투쟁 등 민중들의 투쟁은 더욱 세차게 타올랐다.

청계천의 평화시장, 동화상가, 통일상가, 신평화시장에서도 피복상인들이 1971년 1/4분기 사업소득세가 과중하게 부과되어서 항의하는 투쟁이 벌어졌다. 수백 개에 달하는 점포에 세금이 터무니없이 높게 책정이 되어 나왔다. 청계천에 있는 거의 대부분의 상가가 항의의 표시로 8월 26일부터 한꺼번에 철시를 단행했다.

사업주들의 철시는 3일간이나 계속되고 공장은 휴업상태에 이르렀다.

8월 29일, 노동조합에서는 사업주들의 조세인하 투쟁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사업주들의 주장은 정당하다. 사업주들한테 중과세가 부과된 것은 근로자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것이기 때문에 노동조합은 당연히 사업주들과 함께 세금인하 투쟁을 공동으로 벌여나갈 것을 천명한다."

이와 함께 즉각 조합간부들은 사무실에서 농성에 들어갔다. 국세청장 앞으로 '우리의 요구'를 알리는 공문까지 발송했다.

드디어 국세청에서는 9월 6일자로 중부지방 국세청장에게 실정에 알맞게 과세하라고 이송하였다. 관할 남산세무서에서 9월 6일자로 과세표준액의 조정과정에 일반 경비부담의 증가, 과세표준 결정에 시장대표 및 번영회의 자문 등을 반영해서 문제되었던 과세가 인하 재조정되어 정상화되었다는 회신이 왔다.

이 회신과 함께 국세청 담당국장과 남산세무서장이 노조사무실을 방문하여 자세한 경위를 설명했다. 노조는 요구사항이 어느 정도 관철되었다고 판단해서 농성을 풀고 투쟁을 끝맺었다.

이 투쟁이 끝난 뒤에 사용주들이 노조한테 고맙다는 인사를 하러 왔다. 사업주들이 그렇게 건의를 해도 반응이 없었는데 노조가 나서니 즉각 반응이 왔다면서 고맙다는 말을 했다.

이와 같은 투쟁을 거치면서 노동조합은 차근차근 자리를 잡아나가기 시작했다.

구건회 같은 사람을 축출하고 최종인이 직무를 대행해오다 9월 12일 대의원대회를 열었다. 여기서 최종인을 지부장으로, 이승철을 사무장으로 각각 선출했다. 드디어 삼동회 친구들이 중심인물이 되었다. 삼동회 친구들은 노동조합이 무엇인지도 잘 모르는 상태에서 출발하였다. 그저 무조건 옳은 일이라면 열심히 투쟁에 참여한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그 동안 몸으로 맞닥뜨리면서 노동조합이 무엇인가를 몸으로 터득했다.

노동조합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노동조합을 시작한 이들은 오직 열성과 정직 그리고 전태일에 대한 의리로 노조를 했다. 시간이 나는 대로 근로기준법, 노동조합법 등 노조활동에 필요한 법을 달달 외우는 데 주력을 했다. 그리고 사업장에 활동을 나가면 업주들이 잘 봐달라고 돈을 찔러주는 예도 있었으나 이들은 이러한 것들을 절대 용납하지 않았다.

최종인은 전태일의 친구로서 삼동회 활동을 함께 해왔다. 1970년 10월 7일 평화시장의 노동문제가 기사특보로 나오던 날 자신이 차고 있던 시계를 전당포에 맡기고 그 돈으로 신문을 사서 노동자들에게 팔았다. 전태일이 분신을 하자 신진철 등과 함께 혈서를 쓰고 데모를 하다가 경찰에 붙잡혀가서 구류를 살기도 했다. 성격이 원만해서 포용력이 있고, 친구 간에 의리가 있어서 선배들한테 인정을 받는 인격을 갖춘 사람이다. 또래의 친구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있었다. 지도력이 있어서 지부장으로는 적격이었다.

이승철은 금전문제는 맺고 끊음이 분명해서 신용이 높았다. 조직적 감각도 뛰어났다. 조합원 가입이나 소모임 조직력이 좋은 사람이었다.

최종인, 이승철과 함께 김영문, 임현재 등 친구들이 조합간부로 선임되었다. 임현재는 언변이 좋아 사람들 앞에서 사회, 연설 등을 잘한다. 김영문은 전태일이 살아 있을 때 가장 친했던 친구이다. 바보회 시절부터 전태일하고 활동했다. 함께 고민하고, 함께 좌절하고, 함께 꿈꾸고, 함께 투쟁하던 친구다. 김영문은 착하고 선량한 성품을 지녔다.

이들 외에도 많은 친구들이 노동운동에 헌신하였다. 이소선은 비록 아들 하나를 잃었지만 이런 똑똑하고 믿음직스러운 아들들을 만난 것에 크게 위안을 받았다.

덧붙이는 글 | [이소선 평전<어머니의 길>]은 매일노동뉴스에 함께 연재합니다.



태그:#이소선, #전태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