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동해남부선 옛 철길의 상업개발에 반대하고 있는 시민단체들의 모임 ‘해운대 기찻길 친구들’은 13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부산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맺은 개발 사업의 협약 내용 공개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동해남부선 옛 철길의 상업개발에 반대하고 있는 시민단체들의 모임 ‘해운대 기찻길 친구들’은 13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부산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맺은 개발 사업의 협약 내용 공개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상업개발 논란을 빚은 동해남부선 옛 철길 개발사업이 밀실 협약 논란에 휩싸였다. 시민단체들은 부산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 사이에 맺어진 협약서에 부속서가 있다는 것이 알려진 만큼 즉각 공개를 해야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부산시 측은 충분히 간접적으로 공개가 됐다고 주장하며 시민단체에 공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반복해 논란이 예상된다.

문제의 합의서는 부산시와 철도시설공단이 지난해 11월 맺은 '동해남부선 철도자산 효율적인 활용·관리 협약서'다. 협약서에는 폐선된 동해남부선 철길을 활용한 산책로, 전망대, 녹지로 조성 개발사업과 미포-송정 구간 레일바이크 수익 사업 등이 담겨있다.

시민단체들은 알려진 이 협약서 외에 별도로 작성된 부속서의 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부속서를 토대로 민간 상업개발이 추진되고 있다는 의구심 때문이다. 실제 부산시는 철도시설공단과의 협약 이후 천혜의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이 지역에 민간 상업개발을 추진하다 여론의 역풍을 맞았고, 관련 사업 추진은 현재 잠정중단된 상태다.

13일 오전에는 옛 철길의 시민반환 운동을 벌이고 있는 '해운대 기찻길 친구들'이 부산시청 광장을 찾아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동해남부선 옛 철길 상업개발을 밀약한 부속서 내용을 즉각 공개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부산시와 철도시설공단이 "공개된 협약서 외에 밀실에서 합의한 부속서로 80년의 고통과 단절을 외면한 채 천혜의 경관과 원형의 연안을 개발업자에게 넘기려 했다"고 주장했다.

또 이들은 철도시설공단을 향해 "부산시가 시민의견 수렴절차의 부족을 인정하고 사업을 중단한 상황에서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억지로 상업개발 추진한다면 범시민적 규탄과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도 경고했다.

시민단체의 부속서 공개 요구에 부산시 측은 "부속서는 밀실협약이 아니다"면서도 "충분히 토론회 등을 통해 밝혀왔기 때문에 공개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인환 부산시 시설계획과장은 "토론회나 인터뷰를 통해서 합의 내용을 전달해왔는데 밀실 협약이란 것은 있을 수 없는 이야기"라고 반발했다.

하지만 모든 자료를 공개했다는 부산시는 정작 쟁점이 된 부속서 내용만큼은 시민단체에 전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반복했다. 김 과장은 "여러 경로를 통해 부속서 내용도 전달한 만큼 더이상 공개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며 "공개를 원한다면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말을 반복했다. 김 과장은 자신이 말한 '정상적인 절차'가 무엇인지는 "더이상 말하지 않겠다"며 거듭 답변을 피했다.

이같은 부산시의 태도가 시민단체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최수영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부산시가 토론회에서 공개했다고 하는 자료는 부속서의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기본적인 자료였다"며 "떳떳하다면서도 공개를 하지 않아 불필요한 오해를 만드는 것이 납득 가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시민단체들은 부산시를 상대로 부속서 내용에 대한 정보공개청구를 정식으로 신청할 예정이다.


태그:#동해남부선, #부산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