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시교육청이 만든 ‘연도별 식중독 발생현황’ 문서.
 서울시교육청이 만든 ‘연도별 식중독 발생현황’ 문서.
ⓒ 윤근혁

관련사진보기


최근 4년간 서울지역 초·중·고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고 가운데 74%는 서울시가 만든 친환경유통센터와 거래하지 않은 학교에서 발생한 것으로 처음 밝혀졌다. 하지만 서울시교육청은 올해부터 학교가 이 센터와 거래하는 것을 사실상 가로막은 상태다. (관련기사 : 한날 식중독 터진 3개교, 모두 친환경센터 외면).

19건 가운데 14건이 친환경유통센터 미거래 학교', 왜?

7일, 서울시교육청이 만든 '연도별 식중독 발생현황' 문서를 입수해 살펴본 결과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간 모두 19개교(2010년 6개교, 2011년 4개교, 2012년 5개교, 2013년 4개교)에서 식중독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9개교의 식중독 사고 가운데 73.7%인 14건(2010년 6건, 2011년 2건, 2012년 5건, 2013년 1건)은 친환경유통센터와 거래하지 않은 학교에서 발생했다.

하지만 26.3%인 5건은 이 센터와 거래한 학교였고, 역학 조사기관의 결론은 모두 '원인불명'이었다. 서울시교육청의 문서에 나온 '식중독 발생 학교명'과 서울시의회 김명신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친환경유통센터로부터 최근 받은 '연도별 센터 이용학교명'을 기자가 직접 견줘본 결과다.

친환경유통센터는 학급 식중독 사고가 잇달아 터지자 2009년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급식운동단체의 요청을 받아들여 만든 공적 음식재료 유통 기구다. 이 센터는 '배추', '생족발' 등을 비롯한 농·축·수산물 식재료를 공급하지만, 2차 가공식품인 김치나 훈제족발 등은 취급하지 않는다.

서울 전체 초·중·고(특수학교 포함) 1326개교 가운데 2010년은 268개교(20.2%), 2011년은 584개교(44.0%), 2012년은 781개교(58.9%), 2013년은 853개교(64.3%)가 각각 이 센터와 거래했다. 하지만 올해 4월 현재 서울시교육청의 거래 중단 압력에 따라 39개교(2.9%)만 남아 있는 상태다.

지난 3월 식중독이 터진 서울의 한 중학교는 친환경유통센터와 거래를 끊은 직후 사고가 발생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관련기사 : 친환경급식 중단 직후, 서울 A중 집단 식중독 발생).

서울시교육청 "식중독 원인이 대부분 불명인데, 단순 비교는 문제"

김명신 의원은 "친환경유통센터와 거래한 학교가 2011년 이후부터 절반 이상을 차지했는데도 식중독 발생 비율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면서 "이런 추세인데도 서울시교육청이 학생의 건강이나 식중독 발생 문제에 대한 관심보다는 정치 이해득실에 따라 센터와 거래를 끊도록 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식중독의 원인 식재료가 무엇이었느냐는 것이 핵심 문제인데, 그것과 관련 없이 친환경유통센터와 거래 상황만을 수치로 단순 비교한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식중독의 원인이 대부분 '불명'인 상태에서 섣불리 친환경유통센터와의 관련성에 관해 주장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덧붙이는 글 | 인터넷<교육희망>(news.eduhope.net)에도 보냈습니다.



태그:#서울 학교 식중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에서 교육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살아움직이며실천하는진짜기자'가 꿈입니다. 제보는 bulgom@gmail.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