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공공자전거와 터미널(보관소) 모습
▲ 서울시에서 운영중인 공공자전거 공공자전거와 터미널(보관소) 모습
ⓒ 김광일

관련사진보기


얼마전 '자전거이용활성화 법률안'이 개정되어 지자체예산으로 운영되던 공공자전거가 국비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공공자전거는 2008년 창원시가 프랑스 파리의 '벨리브'를 참고하여 '누비자'시스템으로 운영한뒤 비슷한 방식으로, 고양, 대전, 서울, 안산 등 10여 개 지자체로 확대시행되고 있다. 

창원시의 공공자전거 이용현황을 보면 성공했다고 할만하겠다. 창원시의 자료에 의하면 연간 이용건수, 일일 이용건수, 총 회원수 등 교통수단으로의 자전거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타 지자체와는 달리 공공자전거 정책이 창원시에서 성공정책으로 뽑히고 있는 것이다.

아쉬운 건 운영등에 들어가는 고비용의 예산이다. 창원의 예를 보면, 2011년 68.8억, 2012년 69.2억, 2013년 55.9억으로 3년간 200여억원이 들어갔다. (2014년 54.6억원 예산배정)  현재 운영되는 창원의 공공자전거는 5,200여대이며 터미널(보관소)는 242개소이다. 단순계산으로 1대당 370만원의 운영비가 들어간 셈이다. (연간 약 124만원)

누비자 요금도 2014년부터 연회비 3만원(종전2만원), 월회비 4,000원(종전 3,000원)으로 30%이상 인상되었다. 세금이 한대당 연간 124만원씩 들어간 자전거를 개인이 연회비 3만원씩 또 내고 타야하는 것이 누비자다.

공공자전거는 일반자전거와 달리 별도로 설계, 제작된다. 내부에 GPS, 잠금장치, RFID, NFC등의 장비가 내장된다. 자전거는 터미널(보관소)에 세워야 대여,반납이 가능하다. 터미널(보관소)에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대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위치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자전거 보관대수가 넘치는 곳에서 부족한 지점으로 자전거를 적절히 날라 주어야 한다. 개인 자전거보다 험하게 쓰다보니 수리,관리가 꾸준히 지속되어야 한다. 적지 않은 예산이 계속 투입될 수밖에 없는게 공공자전거다.

이러한 공공자전거가 표준화가 되지 않아, 각 지자체별로 따로 따로 예산이 들어간다. 시스템개발도 따로, 자전거 개발도 전부 따로 했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예산만 낭비하고 실패하고 말았다.

창원시에서도 누비자 수익모델 발굴 및 시스템 상품화, 누비자 수지경영개선 및 재정자립화 등에 고민이 있는 듯하다. 아직까지 이러한 고민들이 해결되지 않는 가운데 국비지원까지 하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된다. 공공자전거의 고비용 문제를 해결하는데 예산을 투입하는 것이 장래 공공자전거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태그:#자전거, #공공자전거, #자전거마일리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녹색교통운동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 대중교통 정책 일반등 녹색교통 활성화에 대한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