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남해안 적조(코클로디니움)에 대해 경남도(홍준표 지사)와 전남도(박준영 지사)가 다른 대응을 하고 있다. 올해 적조는 지난 7월 중순경 전남 해역에서 처음 발생했고, 그 뒤 경남 해역에 이어 동해안에도 발생했다.

적조는 5년 만에 동해안까지 확산되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1일 현재 부산 강서~영도, 경북 포항 호미곶~경주 감포, 울산 온주항 등에 적조주의보·경보가 발령되어 있다고 밝혔다.

적조 발생 해역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8월 1일 적조 발생 해역도.
 적조 발생 해역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8월 1일 적조 발생 해역도.
ⓒ 국립수산과학원

관련사진보기


현재 전남 고흥 연안에 적조가 분포하고 있다. 경남 남해 서부와 하동 금남 일대는 하루 전에 비해 적조가 증가했고, 경남 사천 고성 거제 해역은 하루 전날과 비슷하며, 통영 기장 울산~울주 해역은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런데 적조 피해는 경남권 해역에서만 발생하고 있다. 2일 경남도청이 집계한 피해규모를 보면, 양식어류 1485만마리(시가 116억 원)가 폐사했다. 전남 해역에는 올해 양식어류 피해가 아직 발생하지 않고 있다.

황토 살포냐? 치어 방류는?

전남도와 경남도의 적조 대책이 다르다. 대표적으로 황토 사용 여부다. 전남도는 황토 살포를 금지하는 반면, 경남도는 황토 살포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7월 18일 전남 고흥 해역에서 적조가 발생했을 때, 박준영 전남지사는 21일 어업인과 간담회에서 황포 살포 금지를 지시했다. 박 지사는 "그동안 적조 방제를 위해 황토를 살포했으나 황토는 소중한 미래 자원인데다 해양생태계에 또 다른 피해를 줄 수 있고, 실질적인 방제 효과도 없다"고 밝혔다.

당시 박 지사는 적조 피해 최소화를 위해 치어(어린 고기) 사전 방류와 성어(큰 고기) 조기 출하, 가두리양식장 이동 등의 대책을 세우도록 했다.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황토 살포 대신에 기술지도선과 어장정화선 등을 투입해 선박의 수류를 활용한 적조생물 발생 억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선박을 이용해 어류 양식장 주위를 선회하면서 물갈이 작업을 하고, 산소발생기와 액화산소, 순환펌프 등도 활용하도록 했다.

전남도청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황토 살포를 했지만 올해는 중단했고, 일부 어민들의 경우 황토 살포를 요구해 오기도 한다"면서 "올해 전남 해역에서는 양식어류 폐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적조는 수온이 높을 때 주로 발생하는데, 지난 7월의 경우 전남 해역은 비가 내리지는 않았지만 흐린 날이 많았고, 전남 해역에 적조가 발생했지만 양식장 근처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면서 "경남은 황토 살포를 많이 하지만 폐사 어류가 많은 것으로 아는데, 나중에 비교해 봐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경남 남해안에 유해성 적조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유관기관 합동으로 1일 통영시 산양읍 만지도에서 황토 살포를 통한 적조 방제 활동을 펴고 있다.
 경남 남해안에 유해성 적조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유관기관 합동으로 1일 통영시 산양읍 만지도에서 황토 살포를 통한 적조 방제 활동을 펴고 있다.
ⓒ 국립수산과학원

관련사진보기


경남도는 선박 수류를 이용하면서 황토 살포도 하고 있다. 2일까지 경남도는 황토 1만6000톤을 살포했고, 당초 4만8000톤을 확보해 놓았다. 홍준표 경남지사는 지난 7월 28일 통영을 방문해 황토 살포를 직접 시연해 보이기도 했다.

경남도청 관계자는 "적조가 심해지면 황토 살포를 하고,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선박의 수류를 이용한 산소 공급 등의 방법을 쓴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적조 대책으로 황토 살포를 내놓고 있다. 윤진숙 해양수산부장관은 지난 7월 27일 통영을 방문해 황토 살포 등 적조 방제 장비를 총동원해 피해 최소화를 지시하기도 했다.

손재학 해양수산부 차관은 지난 7월 29일 브리핑을 통해 "황토 살포가 최선의 선택"이라 했다. 손 차관은 "우리와 상황이 비슷한 일본은 황토가 아닌 점토를 살포하고 있지만, 점토는 황토보다 10배 비싸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밝혔다.

또 손 차관은 "황토가 귀중한 자원이라는 전남도의 입장에는 공감하지만, 황토가 쓸모없는 물질이라서 바다에 뿌린다는 것은 아니다"며 "전남 양식장의 피해 상황이 심각하지 않아 황토 살포 준비를 계속 요청하는 단계"라고 밝혔다.

양식 어류 방류 대책은 비슷하다. 전남도는 7월 21일 '어린 고기 사전 방류 대책'을 세웠고, 경남도는 7월 31일 '치어 방류'와 '성어 수매'를 정부에 건의했다.

해양수산부는 '치어 방류'에 난색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관계자는 "양식장 어류는 변화된 자연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태그:#적조 피해, #국립수산과학원, #경남도청, #전남도청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