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중국과 북한의 경계선인 압록강을 여행하며 고구마처럼 기다란 위화도를 구경했었다.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고려왕조를 무너뜨린 태조 이성계가 1392년 임금으로 즉위한 후 1910년 순종이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길 때까지 519년간 27명의 임금이 다스린 나라가 조선이다.

고등학교 시절 사회시간이면 달달 외워야 했던 게 27명의 임금 '태조 정조 태조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선조 광해군 인조 효종 현종 숙종 경종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철종 고종 순종'의 첫 글자를 외우기 쉽게 네 파트로 나눈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이었다.

역사는 아는 만큼 보이고, 알수록 재미있다. 역사공부 한번 해보자. 우리가 알고 있는 임금들의 이름은 어떻게 붙여졌을까? 임금의 이름은 삼년상이 끝나고 신주를 종묘로 모실 때 추증된 칭호인 묘호로 사후에 붙여진 것이라서 정작 본인들의 살아생전에는 들어 보지 못한 이름이다.

후대의 평가에 따라 창업을 일으키거나 나라의 정통성을 회복시킨 공이 있는 임금에게는 조(祖), 왕위를 정통으로 계승하거나 위기에서 나라를 보존한 덕이 있는 임금에게는 종(宗)을 붙였다. 왕의 자격을 박탈당해 종묘에 묘호가 없는 연산군과 광해군을 제외한 25명의 임금 중 조가 붙은 임금이 7명, 종이 붙은 임금이 18명이다.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최고의 권력자였던 임금들을 후대에 평가했다는 것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조선의 6대 임금 단종(재위 1452∼1455)은 조선의 4대 임금으로 훈민정음 창제 등 우리 민족사에 훌륭한 치적을 쌓은 세종의 손자이다. 단종은 20년간 세자로 세종을 보필하던 아버지 문종이 병사하자 12살 어린 나이에 임금이 된다.

길었던 재위 기간만큼이나 부인과 자녀가 많았던 세종의 둘째 아들이자 숙부였던 수양대군은 어린 단종을 상왕으로 물러나게 하고 왕권을 빼앗는다. 이에 성삼문 등 사육신들이 주동이 되어 단종 복위운동을 하다 사전에 발각되어 처형되었고, 이후 세종의 여섯째아들이자 수양대군의 동생인 금성대군이 다시 경상도에서 복위를 도모하다 발각되자 단종도 노산군에서 서인(庶人)으로 강등 되었다가 1457년 10월 영월에서 생을 마감한다. 사후 240여년이 지나서야 임금으로 복위되어 묘호를 단종이라 했다.

유유히 흐르는 맑은 물이 아름다운 경치를 만들고, 동강과 서강이 만나 한강의 물줄기가 되는 영월에 단종의 슬픈 역사가 숨어있다. 그중 한곳이 단종이 유배생활을 했던 청령포(국가지정 명승 제50호)다.

단종의 유배지 청령포는 남한강 상류에 위치한 영월군 남면 광천리다. 청령포는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상왕으로 있던 단종이 노산군으로 지위가 격하된 채 군졸 50인의 호위를 받으며 유배된 곳이다.

주차장 풍경
 주차장 풍경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왕관을 벗어놓고 영월 땅이 웬 말이냐/ 두견새 벗을 삼아 슬픈 노래 부르며/ 한양천리 바라보고...

주차장에서 청령포 노래비가 맞이한다. 단종과 정순왕후의 재회를 희망하는 의미로 설치한 조형물은 매표소 앞에 있다.

 나루터에서 바라본 청령포 풍경
 나루터에서 바라본 청령포 풍경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청령포는 삼면이 물로 둘러싸이고 한쪽 면은 험준한 암벽이 솟아있어 나루터에서 나룻배를 타야 들어갈 수 있다. 나루터에서 바라보면 주천과 평창 방향에서 흘러온 서강의 물줄기가 청령포를 U자로 휘돌아 가며 육지 속의 섬을 만든 모습이 유배생활의 외로움을 알게 한다.

단종어가
 단종어가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송림에 둘러싸인 청령포에 도착해 자갈이 많은 백사장을 지나면 청령포 송림이 맞이한다. 수십 년에서 수백 년 된 소나무들이 단종의 유배지를 중심으로 울창한 송림을 이루고 있다.

어린 단종이 영문도 모른 채 불안에 떨며 생활했을 단종어가는 송림 속에 숨어있다. 단종은 이곳 단종어가에서 외부와 단절된 유배생활을 했다. 승정원일지의 기록에 따라 당시의 모습을 재연한 단종어가에는 단종이 머물던 본채와 궁녀 및 관노들이 기거하던 사랑채, 유지비각이 있다. 유지비각 안에 단종이 이곳에 살았음을 말해 주는 단묘유지비가 있다. 단종이 살던 집터의 위치를 표시한 '단묘재본부시유지'라는 비문은 영조의 친필로 알려져 있다. 본채에 당시의 모습을 보여주는 밀납 인형이 있다.

'천추의 원한을 가슴깊이 품은 채 적막한 영월 땅 황량한 산 속에서 만고의 외로운 혼이 홀로 헤매는데 푸른 솔은 옛 동산에 우거졌구나 고개위의 소나무는 삼계에 늙었고 냇물은 돌에 부딪쳐 소란도 하다 산이 깊어 맹수도 득실거리니 저물기 전에 사립문을 닫노라'

본채의 마루 위에 걸린 어가시에 이곳에서 유배생활을 하던 단종의 심정이 그대로 담겨있다. 말 못하는 나무도 단종의 안타까운 심정을 이해했나보다. 마치 단종에게 절을 하듯 담을 넘어 길게 뻗은 소나무가 어가를 향해 낮게 엎드린 모습이 이채롭다.

관음송
 관음송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청령포 송림에서 제일 아름다운 소나무가 단종어가에서 가깝다. 유배생활 하던 단종이 두 갈래로 갈라진 가지에 걸터앉아 휴식했다는 소나무다. 단종의 애달픔을 알았는지 이 소나무가 오열하듯 자주 울었다는 설화가 전해온다. 높이 30여m, 수령 600여년의 이 소나무가 천연기념물 제349호인 관음송이다.

망향탑과 서강
 망향탑과 서강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나무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층암절벽 위에 있는 작은 돌탑을 만난다.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돌탑이지만 자신의 앞날을 예측할 수 없던 단종이 한양에 두고 온 왕비를 생각하며 쌓은 망향탑이라 애착이 간다. 탑을 쌓는 마음으로 정성을 들이면 못 이룰게 없다는데 단종은 탑을 쌓으며 빌었던 소원을 이루지 못했다. 청령포에서 유배생활을 했던 단종이 이곳에 남긴 유일한 유적이다.

노산대
 노산대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노산군으로 격하된 단종이 자주 올라 생각에 잠겼다는 곳이 노산대다. 청령포 바로 뒷산은 칼도 자를 쓰는 도산(刀山)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솟아오른 암벽이 톱날을 닮았다. 그래도 노산대나 망향탑에서 바라보이는 서강의 풍경은 여유롭고 한가롭다. 멀리 산 아래 물가를 따라 기차가 달려오는 모습도 보인다.

금표비
 금표비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데크를 따라 내려오면 영월부사 윤양래가 영조의 윤허를 받아 세운 금표비를 만난다. 이 비가 사실상 고립된 채 애끓는 삶을 이어갈 수밖에 없었던 단종의 삶을 증명한다. 앞면의 청령포금표(淸泠浦禁標)는 '어소가 있는 곳으로 누구든 접근을 금한다'는 뜻이다. 뒷면에 접근을 막는 범위 '동서삼백척 남북사백구십척(東西三百尺 南北四百九十尺)'이 적혀있고, 이후 진흙이 쌓여 생기는 모든 땅에도 금한다는 '차후니생역재당금(此後泥生亦在當禁)'으로 일반인들이 이곳에서 농사를 짓거나 산림을 채취하는 행위를 금했다.

6월 이곳 청령포에 도착해 2개월 동안 유배생활을 하던 단종은 8월 장마로 이 일대가 물에 잠기자 관아 건물인 관풍헌으로 옮겨 머물던 중 2개월 후 세조에 의해 사약을 받고 생을 마감한다. 어린 나이에 생을 마감한 단종의 한숨 섞인 눈물이 물안개로 피어오르는 것일까? 단종의 한이 서려있는 청령포가 이른 아침이면 물안개로 뒤덮인다.

덧붙이는 글 | 7월 20일 청령포에 다녀왔습니다.

이 기사는 제 블로그 '추억과 낭만 찾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단종, #청령포, #영월, #단종어가, #관음송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스스로 행복을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일상은 물론 전국의 문화재와 관광지에 관한 사진과 여행기를 여러 사람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