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가을이다. 할 수만 있다면 요즘 날씨를 저축했다가 두고두고 꺼내 쓰고 싶다. 천고(天高), 청명한 하늘 높은 곳에는 새털처럼 가벼이 구름이 흩뿌려져 있다. 만지면 깨질 듯 푸른 하늘에 풍덩 뛰어들어 새털구름 모아 붙이고 한 마리 새가 되어 온 세상을 나는 꿈을 꿔본다. 마비(馬肥), 온갖 곡식이 익어 말이 살찌는 풍성한 계절이다. 대추·밤·감이나 고구마 하나 입에 물면 마음은 쉬이 부자가 되고 인심이 넉넉해진다. 먹을 게 많으니 여성들이 살이 찐다고 해 천고여비(天高女肥)라는 우스갯소리도 생겼다.

천고마비 그리고 유비무환

입에 밤을 물고 나르느라 분주한 청서(청설모)
▲ 청서(청설모) 입에 밤을 물고 나르느라 분주한 청서(청설모)
ⓒ 서광석

관련사진보기


황금빛 들녘에선 가을걷이에 부지깽이도 덤벙일 정도로 일손이 바쁜 계절이다. 가을 숲도 정중동(靜中動)이다. 식물들은 지금까지 애지중지 키워온 자식 종자들을 퍼뜨리기 위해 분주하다. 밤나무는 까칠한 가시 속에 꼭꼭 숨겨두었던 열매를 땅에 떨어뜨리고 살며시 겉껍질을 연다. 으름덩굴도 열매껍질을 활짝 열고, 그동안 애써 키운 검정 씨앗에 달콤한 잼을 발라 새들을 유혹한다. 새들이 이걸 먹고 이 산 저 산에 똥을 싸면 으름은 자손을 멀리 퍼뜨려서 누이 좋고 매부 좋다. 다른 동물들도 먹을거리를 구하기 어려운 겨울에 대비하느라 바쁘다. 많이 먹어두어 겨울잠을 준비하기도 하고, 다람쥐와 청서(청설모)도 도토리와 밤을 저장하느라 여념이 없다.

만산홍엽 그리고 금수강산

잎줄기에 날개가 있는 게 특징
▲ 붉나무의 붉은 단풍 잎줄기에 날개가 있는 게 특징
ⓒ 서광석

관련사진보기


줄기에 날개가 있는 게 특징
▲ 화살나무의 붉은 단풍 줄기에 날개가 있는 게 특징
ⓒ 서광석

관련사진보기


생강나무의 노란 단풍
▲ 생강나무 생강나무의 노란 단풍
ⓒ 서광석

관련사진보기


요즘은 눈길이 닿는 곳마다 한 폭의 그림이다. 단풍이 들어 온 산이 붉게 타오른다. 봄여름동안 짙푸르던 잎사귀들은 제각기 붉게, 노랗게 또는 갈색으로 옷을 갈아입는다. 글자 그대로 금수강산이다. 봄에 꽃피는 소식은 남녘에서 북으로 올라가지만 단풍 소식은 북녘에서 시작해 남으로 하루 평균 25km씩 내려온다. 산꼭대기에서 산 아래로는 하루 40m 정도 내려온다.

어떻게 단풍이 들게 될까? 잎이 푸르게 보이는 건 잎을 이루는 세포 속에 엽록체가 있기 때문이다. 이 엽록체에는 엽록소라는 색소가 들어있는데, 이 엽록소가 다른 색은 모두 다 흡수하고 녹색만 반사해서 잎이 녹색으로 보인다. 그런데 아침저녁으로 점점 쌀쌀해져 기온이 5℃이하로 내려가면 엽록소가 분해되면서 화청소(안토시아닌)가 새로 만들어져 붉은 단풍이 된다. 또 이제까지 엽록소에 가려있던 카로틴·크산토필·타닌 같은 광합성 보조색소들이 드러나게 된다. 이때 카로틴이 많으면 황적색으로, 크산토필은 노란색으로, 타닌은 갈색으로 잎이 물든다. 마치 다양한 빛깔의 별들이 낮에도 하늘에 떠 있으나 태양빛에 압도돼 드러나지 않다가 해가 진 뒤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다.

흔히 보는 노란색 단풍이 드는 나무에는 은행나무·생강나무·싸리나무·플라타너스 등이 있다. 또 붉은 단풍이 드는 나무는 단풍나무류·붉나무·옻나무·담쟁이덩굴·감나무·화살나무  등이 있다. 참고로 단풍나무 종류는 잎 가장자리가 갈라진 수로 구별할 수 있다. 3개로 갈라지면 신나무나 중국단풍, 5개는 고로쇠, 7개는 단풍, 9개는 당단풍이다. 기억해두었다가 이름을 불러주면 나무들이 신나리라.

단풍은 평지보다 산, 강수량이 많은 곳보다는 적은 곳, 음지보다는 양지, 기온의 일교차가 큰 곳에서 특히 아름답다. 남아메리카 남부 일부·동아시아·유럽 남서부·북아메리카 동북부에서 볼 수 있다. 곧 단풍은 세계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게 아니다. 해마다 아름다운 단풍을 볼 수 있는 우리는 참 복을 많이 받았다는 생각이 든다.

일엽낙지천하추

상록수도 낙엽진다!
▲ 잣나무의 잎갈이 상록수도 낙엽진다!
ⓒ 서광석

관련사진보기


작은 생물들의 아파트
▲ 낙엽 작은 생물들의 아파트
ⓒ 서광석

관련사진보기


한 잎 낙엽이 지는 것으로 천하가 가을인 것을 안다( 一葉落知天下秋·<문록>). 단풍 들었던 나무들이 더 추워지면 한 잎 두 잎 떨어진다. 이렇게 보통 가을에 잎이 다 떨어지는 나무를 잎지는나무(낙엽수)라 하고, 여전히 잎을 달고 있는 나무를 늘푸른나무(상록수)라 한다. 그러면 상록수는 나무가 죽을 때까지 푸른 잎을 끝까지 붙이고 있는가. 그건 아니다. 상록수도 새 잎이 나온 지 보통 2~3년 지나면 낙엽이 된다. 즉 한꺼번에 잎이 떨어지는 낙엽수와 달리 상록수의 잎은 조금씩 교대로 떨어져서 늘 푸르게 보이는 것이다.

왜 낙엽이 질까? 초록 잎에서 광합성을 열심히 해 만들어진 양분은 줄기나 뿌리로 이동한다. 또 물은 뿌리에서 흡수해 줄기를 거쳐 잎으로 이동한 후 공기 중으로 날아간다(증산작용). 만약 날씨가 추워졌는데 계속 잎을 달고 있다면? 그러면 땅에서 물은 얼어 흡수하지 못하고 잎에서는 계속 물이 증산되어 양분은 손실되고 결국 나무가 말라 죽게 된다. 이래서 나무들은 잎자루 끝에 떨켜층을 만들어 잎을 떼어내는, 살을 깎는 고통을 선택하는 것이다. 인고의 겨울을 준비하며 식물은 잎과 이별하는 결단을 내린다. 그리하여 이별은 아픔과 슬픔이며 성장과 성숙의 또 다른 이름이다. 거듭 나무의 지혜에 경이로움을 느낀다. '식물인간'이라는 말이 있다. 식물들이 들으면 서운할 말이다.

화려했던 단풍 시절을 뒤로 하고 죽음을 맞이한 낙엽. 끝은 새로운 시작이며 죽음은 새로 태어남이다. 땅에 떨어진 잎들은 더 마르고 뒤틀린다. 한 잎 한 잎 모이고 모여 흙을 감싸는 피부가 되고, 서리와 눈을 덮어주는 지붕이 되고, 찬바람을 막아주는 외벽이 된다. 그 아래에 사는 작은 동물들에게는 훌륭한 아파트가 된다. 실제로 낙엽층을 조사해보면 톡토기·딱정벌레·지네·개미·지렁이·곰팡이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생물들이 산다. 이런 생물들이 또 낙엽을 먹고 잘게 부수어 무기 양분으로 만든다. 다시 이 양분이 뿌리로 흡수되어 풀이 되고 나무가 된다. 생명은 이렇게 그물코처럼 연결되어있고, 삶은 끊임없이 돌고 돈다.

가을, 준비하고 비우고 나누는 계절. 우리는 오늘 무엇을 준비하고, 무엇을 비우고, 무엇을 나누었는가?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열린전북]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가을, #낙엽, #단풍, #상록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남원생태학교 공동대표....교육, 자연, 생태, 깨달음, 자연건강, 텃밭농사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