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3일 오전 10시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전자신문> 주최로 열린 '소셜 비즈니스 인사이트 2010' 오픈 토크 행사에 토론자로 참석한 김철균 청와대 비서관
 3일 오전 10시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전자신문> 주최로 열린 '소셜 비즈니스 인사이트 2010' 오픈 토크 행사에 토론자로 참석한 김철균 청와대 비서관
ⓒ 김시연

관련사진보기


6·2지방선거를 계기로 트위터, 페이스북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절정에 올랐다. 때마침 SNS에 대한 청와대와 누리꾼의 시각차를 드러내는 상징적 사건이 터졌다.

선거 다음날인 3일 김철균(47) 청와대 뉴미디어홍보비서관의 '트위터 국내 법인' 발언 논란에 이어 6일 누리꾼과 소통하는 '온라인 대변인'에 청와대 출입하던 보수매체 기자를 내정한 것이다. 

트위터 '국내 법인'?... "청와대 규제 발상"

'청와대가 트위터 규제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낳은 김철균 비서관 발언은 '왜곡 보도' 논란으로까지 이어지며 트위터에선 뜨거운 논쟁거리였다. 

김철균 비서관은 3일 오전 10시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전자신문> 주최로 열린 '소셜 비즈니스 인사이트 2010' 오픈 토크 행사에 토론자로 참석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또 한 번의 패러다임 시프트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란 주제로 1시간 남짓 진행된 오픈 토크엔 '트위터 스타'인 이찬진 드림위즈 대표와 허진호 인터넷기업협회 회장도 참석했다.

포털 다음 부사장 출신으로 현 정부 내 '트위터 전도사' 역할을 톡톡히 해온 김철균 비서관은 이 자리에서도 주로 정부 기관들의 트위터 활용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제 발언은 사회를 맡은 한상기 KAIST 교수가 대담 막바지에 최근 해외에서 논란이 된 '페이스북'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화두로 꺼내면서 나왔다.

이에 김 비서관은 프라이버시 문제뿐 아니라 트위터 계정 삭제 정책이 투명하지 않은 것도 문제라며, 국내 법인이 없는 트위터나 페이스북이 국내 사용자들과 소통할 '브랜치(지사)' 필요성을 언급했다.

[김철균 비서관 관련 발언 전문] "난 프라이버시는 둘째고, 트위터 쓰면서 섬뜩섬뜩할 때 많다. 내가 청와대 있기 때문에 누구라도 맘에 안 든다고 내 계정을 삭제하겠다고 노력하는 게 가능하지 않나. 트위터 정책을 보면 언제 어떻게 하면 계정이 삭제되는지 클리어(분명)하지 않다. 우리 (소셜미디어) 플랫폼도 많이 좋아져야겠고, 만약 필요하다면 우리가 많이 쓰는 서비스는 브랜치(지사)가 여기 만들어져 우리 소비자들과 프라이버시 문제를 포함해서 커뮤니케이션하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이날 <이데일리> <프레시안>에 이 발언이 보도된 뒤 트위터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청와대 트위터 규제'로 확대 해석된 것이다. 마침 지방선거 트위터 열풍에 위기감을 느낀 청와대가 통제 불가능한 외국 소셜 서비스를 국내 법인을 통해 통제하려는 것 아니냐는 추측까지 나왔다.  

이에 앞서 김 비서관이 이날 아침 트위터의 지방선거 영향력 보도를 직접 거론한 뒤 "우리 플랫폼이 아니어서 몇 명이 트위터 쓰는지조차도 파악하기 어려운, 그 안에서 우리 국민이 어제 무슨 얘기를 했는지를 트위터 본사에서 우리보다 훨씬 쉽게 알 수 있는 틀"이라고 우려하며 "사기업 다닐 때는 그런 걱정 안했는데 공무원 되니까 신경 쓰게 된다"라고 언급한 것도 '정부 시각'이란 빌미를 제공했다. 

청와대 온라인 커뮤니케이터로 내정된 이길호씨가 7일 첫 글을 올린 청와대 공식 트위터(@BluehouseKorea)
 청와대 온라인 커뮤니케이터로 내정된 이길호씨가 7일 첫 글을 올린 청와대 공식 트위터(@BluehouseKorea)
ⓒ twtkr.com

관련사진보기


김철균 "현장 취재 안 한 잘못된 보도... 규제 의도 없어"

트위터로 파문이 확산되자 발언 당사자인 김 비서관은 적극적인 진화에 나섰다. 자신은 '트위터 국내 법인'이란 발언을 직접 한 적도 없고 그런 취지도 아니었는데, 현장에 오지도 않은 기자가 확인 취재 없이 보도했다는 것이다.

김 비서관은 6일 <오마이뉴스>와 전화 통화에서 "트위터는 개방돼야 한다고 생각하고 규제할 의도는 전혀 없다"면서 "1년 넘게 트위터를 써본 사용자로서 느낀 불편을 최소화하려는 차원에서 언급한 것이지 (정부 차원에서) 국내 법인을 고민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실제 이날 김 비서관 발언을 전체 맥락에서 보면 '공직자'보다는 '트위터 사용자'내지 'IT업계'의 시각에 가까운 게 사실이다. 20년 넘게 PC통신과 포털업계에 몸담은 김철균 비서관은 '광우병 촛불시위'가 한창이던 2008년 6월 '인터넷 소통' 임무를 띠고 청와대에 입성했다. 이미 1년 가까이 트위터(@saunakim)에서 적극 활동하며 3천 건이 넘는 글을 올렸고 팔로어(구독자) 수도 8천 명에 달한다.   

4일 행사 주최 측인 <전자신문>이 김 비서관 발언이 담긴 1시간짜리 동영상(오픈 토크 동영상 보기- 50분경 발언)을 직접 공개하고 이찬진, 허진호 등 당시 참석자들이 김 비서관을 거들고 나서면서 분위기는 반전됐다. 누구보다 트위터의 개방적 속성을 잘 알고 있을 김 비서관이 공개적인 자리에서 '트위터 규제' 필요성을 언급할 이유가 없다는 주장도 힘을 얻었다.

이번엔 오히려 언론의 '따옴표 저널리즘'이 도마에 올랐다. 하지만 이를 보도한 기자들 역시 현장엔 없었지만 생중계를 직접 보고 취재했기 때문에 발언 인용 자체에는 문제가 없었다며 블로그(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프레시안 이대희 기자)를 통해 적극 반박했다.   

출입기자 출신 '온라인 대변인' 내세워 트위터 소통?

한편에선 이번 논란을 단순히 '오보 해프닝'으로 넘겨선 안 된다는 지적도 있다.  

블로거 '구르메달가드시'는 4일 '김철균 소동, 우리가 놓친 중요한 문제들'이란 글에서 "어떤 순수한 의도에서 '국내 법인'을 얘기했는지 모르지만, 나는 그 순수한 의도를 의심한다"면서 "극도로 통제된 사회에서 겨우 트위터라는 광장을 찾아낸 시민들에게, 고객 피해를 핑계로 '국내 법인'을 주장하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

결국 이번 발언에 트위터 사용자들이 발끈한 것도 김 비서관 의도를 떠나 미네르바 구속, 인터넷 실명제 확대와 유튜브 한국 계정 차단, 선관위 트위터 단속으로 이어지는 현 정부의 '인터넷 통제' 흐름의 연장선으로 읽었기 때문이다. 

청와대 '온라인 커뮤니케이터' 채용 공고
 청와대 '온라인 커뮤니케이터' 채용 공고
ⓒ 청와대

관련사진보기


이런 와중에 발표된 '온라인 대변인' 내정 결과는 여기에 기름을 부은 겪이다.

청와대는 6일 초대 '온라인 대변인'(온라인 커뮤니케이터)에 청와대 출입기자 출신인 이길호(38) 전 <뉴데일리> 정치부 차장을 내정했다. 지난달 열흘간 청와대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공모까지 거친 결과가 청와대에 2년 넘게 출입한 보수 매체 기자라는 점 때문에 벌써부터 트위터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다.

당시 인터넷 공모 실무를 직접 맡았던 김철균 비서관은 "온라인 커뮤니케이터는 네티즌들의 목소리와 인터넷 핫이슈를 대통령에게 전달하고, 생생한 대통령 메시지와 정책 콘텐츠를 국민들과 공유하는 등 '온라인 소통의 중추'"라면서 "인터넷 상의 정책 불신과 오해를 해소하고 네티즌들과의 소통에 나서게 된다"고 밝혔다. 이길호 내정자는 당시 이를 인용해 보도한 기자들 가운데 하나였다.


태그:#청와대, #트위터, #김철균, #온라인 대변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회부에서 팩트체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