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시장 출마를 저울질 하다 경기지사 출마로 급선회한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국민참여당)이 "대구시장 출마를 바라는 분들께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지사 출마를 선언한 민주당 이종걸 의원은 "이제는 경기도에 뿌리를 내리라"라며 TV토론을 제안하기도 했다.

 

유 전 장관은 5일 불교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지금 상황이 굉장히 위중해서 각자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 복합적인 검토를 해야 하고 그런 과정에서 수도권 출마를 고려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구시장으로 나와야 한다는 요구가 지금도 있지만... 다시 대구에서 출마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대단히 죄송하다"며  "대구에는 국민참여당의 다른 좋은 후보가 출마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 전 장관은 18대 총선에서 고향인 대구(수성을)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낙선한 바 있다. 하지만 한나라당 텃밭인 대구지역에서 예상을 깨고 32.6%(2만3000여표)라는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특히 낙선 사례를 통해서 "대구경북 지역의 발전을 위해 책도 쓰고 가능하다면 대학에 강좌도 개설하겠다"고 하는 등 지역에서의 활발한 활동을 예고하기도 했다.

 

"경기지사 후보들 훌륭하지만 승리 전망 어둡지 않느냐"

 

유 전 장관은 이날 방송에서 경기지사 출마에 대한 생각도 밝혔다. 그는 "제가 원래 활동하던 지역이 경기도 고양시고 지금 사는 곳도 그렇다"며 "지금 경기도에서 한나라당 후보와 대적할 수 있는 후보들이 훌륭한 분들이기는 하지만 승리의 전망이 조금 어둡지 않느냐는 말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참여당 안에서도 서울이 아니라 경기도로 하는 것이 진보개혁진영 전체를 볼 때 더 유익하고 필요하다는 주장들이 원래 있었다"며 "아마 당에서 방침을 결정할 것 같다"고 말했다.

 

유 전 장관의 출마로 경기도에서 야권 후보 단일화가 쉽지 않아 보인다는 시각에 대해서는 "민주당 김진표, 이종걸 의원, 진보신당 심상정 전 대표 세 분 다 훌륭한 분들이고 열심히 노력하면 어느 분이든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야권이 경쟁력 있는 후보를 찾는 과정에서 시간이 조금 걸리고 일정 정도의 경쟁이 나타날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 전 장관은 전날 광주시의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경기 고양시에 집이 있고 그 지역에서 국회의원과 도당위원장을 했으니 경기지사에 나가라는 의견이 당내에 있다"며 "가능성을 열어놓고 생각하고 있다, 수도권에서 꼭 필요하다면 출마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전 장관은 서울시장 출마 포기 이유도 설명했다. 그는 "(한명숙 전 총리와) 경쟁하기가 인간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별로 아름다운 일이 아니라는 판단 때문에 고민했다"며 "한 전 총리가 굉장히 경쟁력이 강한 후보라 제가 굳이 서울에 나가지 않더라도 충분히 이길 수 있다고 봐서 그렇게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종걸 "유 전 장관 이제 경기도에 뿌리 내리길"

 

민주당은 겉으로는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경계를 늦추지 않는 분위기다. 경기지사 출마를 선언한 이종걸 민주당 의원은 이날 논평을 내고 "유 전 장관이 경기지사 선거에 참여한다면 국민적 관심이 모아져 야권 후보 단일화를 통한 지방선거 승리에 큰 힘이 될 것"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하지만 대구지역을 떠나 수도권에 출마하는 행보에 대해서는 날을 세웠다.  이 의원은 "유 전 장관은 (18대 총선) 출마 전에는 '낙선하더라도 몇 십 년 만에 맺은 대구 지역과의 인연을 바꾸지 않겠다'고 공개적으로 이야기 했지만 선거가 끝나자 곧바로 주민등록을 옮기고 서울시장 후보로 출마할 것 같은 행보를 해왔다"며 "경기지사에 출마하겠다고 했으니 이제는 경기도에 뿌리를 내리기를 바란다"고 비꼬았다.

 

이 의원은 TV 토론도 제안했다. 그는 "이번 경기지사 선거에서 누가 개혁세력의 단일후보로서 이명박 정권의 독재를 막아내기 위한 적임자인지 국민들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당당한 경쟁을 제안한다"며 "야권의 모든 후보들이 참여하는 TV토론을 하자"고 밝혔다.


태그:#유시민 , #이종걸, #경기지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