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송파워터웨이 표지판.
 송파워터웨이 표지판.
ⓒ 정호희

관련사진보기


서울 송파구는 성내천 일원에 송파워터웨이를 조성해 놓았다. 필자는 경기도 하남에서 이 길을 지나 서울 대림동까지 자전거로 출퇴근을 하고 있다. 자전거로 다니기에는 안성마춤이고 '자전거 타기 좋은 송파구'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다. 그런데 이렇게 잘 만들어 놓은 길이 하남으로 넘어가면 사정이 달라진다.

하남->서울 방향으로 찍은 사진이다.
▲ 산책로 하남->서울 방향으로 찍은 사진이다.
ⓒ 정호희

관련사진보기


사진처럼 잘 만들어진 길이 성내천을 지나 한강까지 이어진다. 좁은 물길은 억새에 묻혀 잘 보이지도 않는다.

오른쪽이 감이천이고 왼쪽이 성내천이다. 상류는 오른쪽이다.
▲ 감이천과 성내천이 만나는(?) 지점 오른쪽이 감이천이고 왼쪽이 성내천이다. 상류는 오른쪽이다.
ⓒ daum 지도

관련사진보기


위 지도를 보자. 가운데 도로를 경계로 왼쪽이 서울 송파구, 오른쪽이 경기도 하남이며 하남쪽이 상류이다. 제법 넓게 흐르던 개천이 갑자기 확 좁아진다. 항공사진으로 보면 더 확실하게 보인다.

같은 장소의 항공사진이다.
▲ 항공사진 같은 장소의 항공사진이다.
ⓒ daum 스카이뷰 캡쳐

관련사진보기


왜 멀쩡하게 흐르던 개천이 이렇게 된 것일까? 이 물길은 그냥 '좁아진' 것이 아니라 '끊겨' 있다. 사진과 지도상의 다리 아래에는 이런 구조물이 있다.

<송파워터웨이>의 원류(?). 수도물을 끌어다 쓴다고 한다.
 <송파워터웨이>의 원류(?). 수도물을 끌어다 쓴다고 한다.
ⓒ 정호희

관련사진보기


청계천처럼 송파워터웨이도 수돗물을 끌어 쓰고 있다. 이상하지 않은가? 청계천이야 물길을 연결하기 어려워 인공적으로 물을 끌어댄다고 하더라도 여기는 멀쩡하게 수량이 풍부한 하나의 물길이 있는데도 이런 인공적인 장치가 왜 필요할까?

감이천과 성내천은 원래 하나의 개천이다. 경기도와 서울시를 거치는 것이어서 행정관리상 감이천과 성내천으로 불리는 것이겠지만 이 물길의 끊김은 그것보다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것 같다.

멀쩡한 물길을 끊어놓은 하천보

감이천의 물길을 끊어놓은 하천보.
 감이천의 물길을 끊어놓은 하천보.
ⓒ 정호희

관련사진보기


다리 건너 하남쪽의 감이천에는 사진과 같은 하천보가 설치되어 있다. 감이천은 이 보에 의해 여기서 물길이 끊기고 사진 오른쪽 위의 좁은 수로를 지나 지하 배수관을 통해 탄천 하수처리장까지 보내진다고 한다.

송파구청과 하남시청에 전화를 해 보았다. 송파구청의 대답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홍수를 대비해서 보를 설치했다는 것, 다른 하나는 감이천 쪽의 수질이 좋지 않아 지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보낸다는 것. 하남시청의 대답은 간단했다. 돈이 없어서 수질관리를 못한다는 것이다.

송파구청의 대답은 납득하기 어렵다. 감이천과 성내천 모두 높은 둑이 마련되어 있다. 홍수가 나서 둑이 넘칠 정도는 아니다. 혹시 하천 바로 옆에 설치된 산책로가 잠기는 정도라면 지나친 배려이다. 오히려 보가 있어서 조금만 비가 많이 와도 갑자기 불어난 수량이 보를 넘쳐 흐르게 되고 성내천 쪽에 '인공적'으로 좁아진 개천이 이것을 감당하지 못해 산책로는 곧바로 잠겨버리게 된다.

'명품' 송파워터웨이와 그린벨트 지역의 버려진 하천

하남시청과 송파구청의 공통된 답변인 '수질' 문제도 영 찜찜하다. 먼저 하남시가 관리하는 감이천은 그린벨트 구역이다. 개발이 엄격하게 제한되는 그린벨트 지역의 수질이 안 좋아서 하수처리장으로 보낸다는 것이 말이 되나? 하남시청에서는 '돈이 없어서' 개천과 지천의 관리를 사실상 포기한 것 같다.

찜찜하다. 잘사는 송파구민의 '명품 워터웨이'를 위해 가난한 하남시민들의 감이천이 버려진 것은 아닌가?

감이천. 지방하천으로 표시되어 있다.
 감이천. 지방하천으로 표시되어 있다.
ⓒ 정호희

관련사진보기


지방하천 감이천. 아마도 경기도에서 관리하는 하천인 것 같다. 그런데 이 지방하천 감이천의 수질이 그렇게 나빠보이지도 않는다.

성내천에서 '이사'를 왔다.
▲ 감이천의 오리가족 성내천에서 '이사'를 왔다.
ⓒ 정호희

관련사진보기


위의 사진은 감이천 쪽의 모습이다. 필자가 몇 년째 관찰한 바에 따르면 이 사진의 오리가족은 원래 성내천 쪽에 살다가 이번 겨울이 되면서 감이천으로 이사를 했다.

성내천 쪽은 물길이 좁고 수량이 적기 때문에 쉽게 얼어붙는다. 그래서 이 오리가족은 인공적으로 막아놓은 하천보를 넘어 이사를 와서 감이천에 정착했다. 그리고 수돗물을 끌어쓰는 성내천보다는 자연하천 감이천이 먹이가 많을 것이라는 점도 당연해 보인다.

오리의 생태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 못하지만 이들 오리가족이 이사를 한 것을 보면 감이천이 오리가 살기에는 부족함이 없고 겨울에는 성내천을 버린 것이 분명해 보인다.

감이천에도 수많은 지류들이 모여든다. 다 살펴보지는 못했지만 지류 중의 하나인 '능안천'은 눈으로 보기에 그렇게 깨끗해 보이지는 않는다.

주변 환경이 좋아보이지 않는다.
▲ 능안천 주변 환경이 좋아보이지 않는다.
ⓒ 정호희

관련사진보기


그린벨트 지역인 이곳에 온갖 공장들이 몰려 있고 하남시가 제대로 관리를 하지 않는 것은 분명하다. 그린벨트는 그 목적이 뚜렷하다. 그러니 관리를 더욱 잘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처럼 '하늘에서 보니 비닐하우스 천지더라. 그린벨트 해제해서 개발해야 되겠더라'는 식의 토목개발주의가 아니라면 충분히 수질관리가 가능하고 따라서 인공적으로 물길을 끊어서 하수처리장으로 보낼 것이 아니라 성내천 상류의 감이천과 그 지류들에 대한 관리만 잘하면 물길은 원래대로 흐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감이천의 오리가족이 그것을 충분히 입증하고 있다.

4대강 정비? 지천을 죽이고 강을 살릴 수 있을까?

이 정부는 '4대강 살리기'를 밀어붙이고 있다. 강이란 작은 샘에서 시작하여 작은 시내로, 다시 개천으로 모이고 모여 강을 이루고 바다로 흘러간다.

수억 년을 이어온 자연의 섭리를 인위적으로 끊고 자르고 돌려서 무엇이 나아질까? 특히 눈에 띄는 실적을 만들기 위한 '4대강 정비'는 그 원류와 지천에 무리를 주게 된다. 홍수에 대비한다지만 강이 넘칠 정도의 '대홍수'를 대비한답시고 대규모 토목공사를 강행하다가는 지천의 범람은 손도 못 대게 될 것이고 아마도 작은 비에도 대책 없는 지경에 이를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최대 치적이라는 청계천 살리기도 이미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했고 그것을 모방한 '인공펌프 송파워터웨이'는 생태계의 주인인 오리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다.

제발 말로만의 '친환경'이 아니라 마인드를 바꾸기를 기대해 본다. 지금이라도 경기도와 서울시, 또는 하남시와 송파구가 협력한다면 이 억지스러운 '끊긴 물길'을 제대로 잇는 것이 불가능해 보이지는 않는다.

덧붙이는 글 | 경기도지사와 송파구청장이 협력해서 끊긴 물길을 이어주기를 바라며....



태그:#송파워터웨이, #4대강, #성내천, #감이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