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남 사천시 광포만 입구에 있는 띠섬
▲ 띠섬 경남 사천시 광포만 입구에 있는 띠섬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사람이 살다 육지로 이주하고 난 후, 섬은 어떤 모습으로 변할까? 사람이 살았던 흔적은 어떤 모습으로 남아있을까? 배를 타지 않고 걸어서는 들어갈 수 없는 곳, 그래서 더욱 궁금 했던 띠섬. 광포만을 수없이 오가며 멀리서 바라보기만 했던 띠섬으로 들어갈 수 있는 기회가 드디어 생겼다.

지난 21일, 부산 MBC <다도해> 촬영팀과 함께 구랑 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띠섬으로 향했다. 띠섬은 모도라고도 부르는데 광포만 입구에 있다. 경남 사천시 곤양면 중항리 안도, 환덕리 고동포와 서포면 조도리, 구랑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데 1975년까지는 사람이 살던 섬이다. 지금은 섬에 살던 주민이 떠나 무인도가 되었다.

섬 남쪽에 쌓은 방조제 흔적
▲ 논을 만들기 위해 쌓은 방조제 섬 남쪽에 쌓은 방조제 흔적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현재는 이곳에 살던 주민이 남쪽 작은 만 입구에 방조제를 쌓아 논을 만들어 농사를 지었던 흔적과 무너져 내린 집, 집 근처에 심었던 감나무 흔적만 남아있다. 동쪽 언덕 부근에는 밭을 일구어 밭농사도 지었다고 한다. 밭농사를 지었던 곳은 수풀이 우거져 있었다.

방조제 안쪽으로 바닷물이 들어와 작은 습지가 되었다.
▲ 섬 남쪽에 있는 작은 습지 방조제 안쪽으로 바닷물이 들어와 작은 습지가 되었다.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섬에 사람이 살 수 있는 조건은 물, 농경지, 땔감을 구할 수 있는 산, 집을 지을 수 있는 공간 등이다. 띠섬은 이런 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다. 남쪽 해안 부근에서 물을 구할 수 있다. 섬인데도 오히려 육지인 구랑리 보다 물의 양이 풍부한 편이었다고 인근 주민이 옛 얘기를 들려준다.

약 2640㎡(800여평)의 간척한 논과 약간의 밭이 있어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조건도 갖추고 있다. 땔감을 구할 수 있는 울창한 숲, 집을 지을 수 있는 땅도 있으니 사람 살기에 적당한 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는 셈이다.

가운데 부분에 밭농사 흔적이 남아있다.
▲ 밭농사 흔적이 남아있는 동쪽 언덕 가운데 부분에 밭농사 흔적이 남아있다.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북측 사면은 가파른 바위 절벽이 펼쳐진다.
▲ 띠섬 북측 사면 북측 사면은 가파른 바위 절벽이 펼쳐진다.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사람이 살았던 남쪽 해안가에는 대나무 숲이 울창했고, 북쪽 면은 가파른 해안절벽이 펼쳐진다. 논이 있던 자리에는 방조제 둑이 터진 후 바닷물이 들어와 작고 아담한 습지가 형성되어있다. 갯벌 주변으로 갈대밭과 염생 식물 군락지 그리고 울창한 숲이 들어차 있다. 갯질경, 갯방풍, 해국, 갯잔디 같은 염생 식물 군락이 보이고,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곰솔, 참느릅나무, 노간주나무, 후박나무 등이 숲을 이루고 있다.

가운데 부분에 방조제 둑이 보이고 뒷편으로 대숲이 보인다.
▲ 사람이 살았던 남쪽 해안 가운데 부분에 방조제 둑이 보이고 뒷편으로 대숲이 보인다.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사람이 살다가 떠난 섬 그 후엔? 온갖 야생 동식물의 삶터가 되어 있었다. 집이 있던 자리엔 대나무가 울창하게 자라고 있었다. 집은 무너져 내린 상태로 대나무 숲 속에 그대로 남아있다. 논농사를 짓던 논은 갯벌로 변했고, 밭은 식물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띠섬의 생태, 역사 이야기는 촬영이 마무리 되는 대로 부산 MBC <다도해> 프로그램으로 방송될 예정이다.

부산 MBC '다도해' 방송팀이 띠섬을 촬영하고 있다.
▲ 방송 촬영 부산 MBC '다도해' 방송팀이 띠섬을 촬영하고 있다.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인터넷신문 뉴스사천(news4000.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광포만, #띠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산으로 들로 다니며 사진도 찍고 생물 관찰도 하고 그렇게 살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