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자라고 하기에는 너무 좁다. 그렇다고 볼품이 없는 것은 아니다. 첫 눈에도 참으로 고졸한 정자란 느낌이 든다. 정자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말끔히 단장이 된 정자는 어디 한 곳 흠 잡을 곳이 없다. 양평군 양동면 쌍학리에 소재한 택풍당. 양동에서 여주 북내면으로 나가는 길목 우측으로 조금만 들어가면 마을 끝에 자리하고 있는 택풍당을 만날 수가 있다.

택풍당은 광해군 11년인 1619년에 이식 선생이 제자와 자손들을 가리키고, 스스로 학문을 연구하기 위해 지은 전각이다. 정자는 이층 누각형태로 지어졌으며 사방에 난간이 없이 누마루를 놓고 중앙에 작은 방을 드렸다. 그저 조촐하고 고졸한 멋을 풍기는 택풍당은 뒤숭숭한 정국을 뒤로하고 이곳으로 내려온 이식 선생의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양평군 양동면 쌍학리에 소재한다
▲ 택풍당 양평군 양동면 쌍학리에 소재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택풍당이라는 현판도 너무 작아 찾기조차 힘들다
▲ 현판 택풍당이라는 현판도 너무 작아 찾기조차 힘들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이식 선생은 조선시대의 한문사대가이자 대문장가로 알려졌다. 자는 여고이고 호는 택당(澤堂)이다. 누각의 이름도 자신의 호에 바람풍(風)자를 넣어 지었다. 아마 자신이 바람을 따라 이곳에 왔음을 뜻하거나, 세상의 시류에 휩쓸리지 말라는 뜻으로 지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광해군 2년인 1610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북평사 및 선전관 등을 역임하였으나, 광해군10년인 1618년 폐모론이 일어나자 이곳에 낙향하여 오직 학문에만 열중하였다.

중앙에 방을 내고 사방에 난간이 없는 마루를 놓았다
▲ 택풍당 중앙에 방을 내고 사방에 난간이 없는 마루를 놓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조촐하면서도 고졸한 멋을 내는 택풍당. 주인의 심성을 알아볼 수 있느 누각이다.
▲ 택풍당 조촐하면서도 고졸한 멋을 내는 택풍당. 주인의 심성을 알아볼 수 있느 누각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택풍당은 선생이 낙향한 이듬해에 지었다. 가을 단풍이 온 산하를 물들이고 있을 때, 지나던 길에 우연히 찾아들어 간 택풍당. 첫눈에도 참으로 조촐한 누각이란 생각으로, 찬찬히 주변을 둘러보았다. 높지 않은 담장을 둘러치고 작은 문을 낸 택풍당은, 중층 누각의 형태로 지어졌다. 아래를 막은 것으로 보아 아마 그곳에 불을 지필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아닐까? 창호도 가장 흔한 것으로 했다. 주인은 어디 하나 검소하지 않음이 없다. 그저 평범한 가운데서도 고졸한 멋을 풍기고, 반듯하면서도 화려함을 피한 택풍당. 폐모론이 일자 모든 부귀영화를 다 버리고, 이곳 쌍학리 촌마을로 찾아 든 선생의 마음을 읽을 수가 있다.

중충누각 형태로 방 아래는 불을 지필 수 있는 공간이 아닐까? 잠겨져 있어 열어보지 못했다
▲ 택풍당 중충누각 형태로 방 아래는 불을 지필 수 있는 공간이 아닐까? 잠겨져 있어 열어보지 못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누각을 오르는 층계도 그저 평범하기만 하다. 어디 한 곳 화려함을 내세운 곳이 없다
▲ 층계 누각을 오르는 층계도 그저 평범하기만 하다. 어디 한 곳 화려함을 내세운 곳이 없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창호도 그저 흔한 문창살이다. 주인 이식 선생의 검소함이 누각에 그대로 나타나있다
▲ 창호 창호도 그저 흔한 문창살이다. 주인 이식 선생의 검소함이 누각에 그대로 나타나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지금도 택풍당 주변에는 몇 집 되지 않는다. 400여 년 전에는 이곳에 몇 집이나 있었을까? 아마 이곳에 내려와 세상 인연을 끊고 후학을 가리키는 것으로 낙을 삼았을 것만 같다. 많은 정자를 찾아다녔지만 이처럼 조촐하고 고졸한 누각은 쉽게 만날 수가 없다. 가을 단풍철에 길을 나섰다가 큰 교훈 하나를 얻어간다. 세상 시류에 물들지 말고 초연하라는.


태그:#택풍당, #이식, #양동, #향토자료, #광해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