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매향(埋香)이란 하늘과 땅의 신을 모시기 위한 의식으로 향나무를 땅에 묻거나 피우는 의식을 말하는 것이다. 이 때 이러한 의식을 행하는 과정과 시기, 그리고 관련된 집단이나 사람들을 기록한 돌을 매향비라고 한다.

 

 

매향의식은 내세에 미륵불의 세계에 태어날 것을 기원하며 향을 땅에 묻는데, 불교에 대한 억제가 강화되던 조선 초기에 극락정토로 갈 것을 기원하면서 비를 세우던 비밀 종교행위의 하나이다. 매향은 주로 민초들이 즐겨했으며, 순수한 민간신앙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지금까지 발견된 매향비로는 1309년 8월에 세운 고성삼일포 매향비를 비롯하여, 1335년 3월에 세운 정주 매향비, 1387년에 세운 사천 매향비, 1405년에 세운 암태도 매향비, 1427년에 세운 해미 매향비 등이 있다.

 

 

경남 사천시 곤양면 흥사리 산48 소재한 보물 제614호 사천매향비는 보호각을 지어 보호를 하고 있다. 사천 매향비를 답사한 해가 2005년이었으니, 벌써 4년이 훌쩍 지났다. 하기야 벌써 20여 년을 전국을 돌아다녔다. 꽤 오랜 시간을 전국 방방곡곡을 돌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그래서 마음은 조급하고, 그 수많은 경비며 시간이 점차 부담스럽다. 그래도 그동안 현장에서 담아 온 것을 정리하여 이렇게 소개를 할 수 있다는 것이 퍽이나 다행이란 생각을 한다.

 

사천 매향비는 거의 다듬지 않은 자연석을 사용하여 비문을 새겨 놓았는데, 표면의 굴곡이 심하다. 그저 바라보면 글자를 제대로 판독하기도 어려운 글자가 많은 듯하다. 글자 크기도 각자가 다르고 종횡도 잘 맞지 않아 보기가 힘들다, 전체 15줄 202자를 각인한 사천 매향비의 판독된 내용에 보면, 고려 후기 사회가 혼란하던 때에 불교 승려들을 중심으로 4100여 명이 계를 조직하여, 왕의 만수무강, 나라의 부강, 백성의 평안 등을 기원하기 위해 이 곳에서 매향의식을 치렀다는 것을 기록했다. 당시 매향의 주도집단은 주로 보(寶)·결계(結契)·향도(香徒)였다.

 

 

비문은 승려 달공이 짓고, 수안이 썼으며, 김용이 새긴 것으로, 고려 우왕 13년(1387)에 세워졌다. 건립목적과 세운 연대가 확실한 비로, 잊혀진 우리의 옛 민속을 알려주고 고려 후기 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귀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매향의식을 거행할 때 땅에 묻는 향은 주로 침향이란 희귀약재로 쓰아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향을 땅에 묻는다는 것은 그만큼 민초들의 절박한 마음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흔치 않은 문화재인 매향비. 사천 매향비를 답사한 지 오래 전이지만, 지금도 그 매향비 안에 깃든 민초들의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을 것만 같다. 어차피 민초들이야 권력이나 금력을 가진자들과 함께는 살아가기가 쉽지 않은 세상이니 말이다.


태그:#매향비, #보물, #사천, #고려 우왕, #민간신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