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 책을 읽는동안 마음이 더워졌다. 그래선지 '작가의 글' 말미 '2009년 9월 김연수'라는 활자가 잉크가 채 마르지 않은 작가 친필 사인처럼 여겨지기까지 했다.

내 마음이 아렸기 때문인지 소설이 슬퍼서인지 인과관계를 따질 순 없다. 암튼 '세계의 끝 여자친구' 덕분에 읽는 내내 불쑥 불쑥 울 수 있었다. 누구에게나 핑개거리를 찾아 엉엉 울고 싶은 순간이 있기 마련이니.

어찌보면 조용한 사내의 나직한 목소리 같은 이야기였는데 그 이야기들이 가슴팍에 닿는 순간 움직이는 생명체처럼 뭔가가 내속에서 펄떡거렸다. 

〈세계의 끝 여자친구〉

주인공 '나'는 말한다. 인생은 서로 물고 물리는 톱니바퀴 장치와 같다고.

모든 일에는 흔적이 남기 마련이고 우리는 조금 시간이 지난 뒤에 최초의 톱니바퀴가 무엇인지 알게 된다.

나는 햇살이 작렬하는 한 여름 도서관 게시판에 '세계의 끝 여자친구'라는 시가 붙어 있는 것을 보게 된다.

그 시에 따르면 시인이 걸어가는 길의 끝에는 메타세쿼이아 한 그루가 서 있는데 거기가 바로 세계의 끝이며 그때 우리는 "불과 눈물이 서로 스미듯이, 혹은 달과 무지개가 그러하듯이" 나란히 메타세쿼이아 거친 둥치에 등을 기대고 앉게 될 것이었다.

그러는 동안 "사랑은 저처럼 뒤늦게/닿기만 하면, 닿기만 하면/흔적도 없이, 자욱도 없이// 삼월의 눈처럼" 사라진다는 것이었다.

시를 보고 '메타세쿼이아' 나무가 궁금해진 나는 '메타세쿼이아, 살아있는 화석'이란 책을 빌린다.

그리고 수요일 저녁 '함께 시를 읽는 사람들' 모임에 참석했다가 게시판에 '세계의 끝 여자친구'란 시를 붙여놓은 '김희선' 할머니와 시에 관해 이야기하게 된다.

시를 쓴 시인은 국어선생이었던 '희선'씨 (할머니는 나에게 그냥 '희선'씨라고 부르라 한다)의 등단한 제자다. 시인은 아파서 병상에 눕게 되고 그를 찾아간 희선씨에게 시인은 '세상의 끝까지 데려가고 싶을 정도로 사랑했던 여자'에 대해 말해준다.

그녀는 다른 남자의 아내였고 차마 같이 도망가자는 말은 못하고, 둘이서 가장 멀리까지 가 본 게 고작 저기 호수 건너편 메타세쿼이아까지였던 것이다.

결국 시인은 죽고, 나와 희선씨는 시인이 메타세쿼이아 아래 묻어놓은 편지를 파서 수신인에게 직접 전해주기로 한다.

- '청춘의 문장들' 이후 '김연수'작가가 나에겐 편애하고픈 작가가 되었기에 소설 뒷부분 '작가의 말'까지 꼼꼼히 읽게 되었다.

작가의 말은 대략 이렇다.

"우리는 다른 사람을 이해하기 쉽지 않은 세상에 살고 있다.
헌데 이런 세상에 사랑이라는 게 존재한다.
누군가를 사랑하기 위해선 노력해야만 하고 이 노력하는 행위 자체가 우리 인생을 살아볼만하게 만든다. 쉽게 위로하지 않는 대신에 쉽게 절망하지 않는 것, 그게 핵심이다."

이 부분에서 뭉글 피어오르는 의문 때문에 나는 위 구절을 소리내서 따라 읽었음을 고백한다.

'쉽게 위로하지 않는 대신에 쉽게 절망하지 않는 것이라구?  음 그게 어디 쉬운가'

작가가 소설을 통해 제시하는 해답은 '불꽃'이다.

우리 안에서 타오르는, 하지만 바깥이 불꽃이 없었더라면 애당초 타오르지 않았을 '불꽃'말이다.

작가의 목소리는 '케이케이의 이름을 불러봤어'에서 사고로 트럭에 불붙은 모습을 바라보는 주인공의 대사를 통해서도 드러난다.

〈"세상에, 다른 차와 충돌한 것 같지는 않은데, 왜 저렇게 혼자 불이 붙었을까?"
불의 열기는 고스란히 내게 전해진다. 내 안에서도 뭔가가 바뀌는 것을 느낄 수 있다. p. 31〉

작가는 '케이케이의 이름을 불러봤어'를 쓰던 새벽에 숭례문 불타는 사진을 봤다고 말한다. 소설 속에쓰던 불꽃과 현실의 불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엔 이런 대목이 나온다.

〈'편지는 점점 짧아지고 우리는 더이상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졌어요. 사람이 서서히 눈이 멀어가는 것, 그게 아니라면 사랑하는 사람이 서서히 죽어가는 것, 그런 느낌과 아주 비슷해요. 마지막 편지에는 그냥 안녕이라는 말뿐이었어요' p.194〉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는 누구나 소통의 부재를 경험한다. 게다가 '삶의 우주'라 일컬을 만한 사랑이 하루아침에 와르르 무너지는 경험도 가지고 있다. 어쩌면 너무 고통스러워 차마 남에게 말할 수 없을 정도일지도 모를.

이 소설에 대해 평론가는 "모든 슬픔은 그것을 이야기로 만들거나 그것들에 관해 이야기를 할 수 있다면 견뎌질 수 있다" 는 말로 풀어낸다.

평소 나는 소설책 뒤에 실린 평론이나 해설을 어린이들의 '독서 후 활동'처럼 그닥 좋아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평론은 책에서 얻은 나만의 소중한 느낌을 고상하고도 현학적인 단어들로 흐트러놓는다는 반감같은 것이 있었기 때문.  헌데 "모든 슬픔은 그것을 이야기로 만들거나 그것들에 관해 이야기를 할 수 있다면 견뎌질 수 있다"는 해설은 뭔갈 제대로 짚어준 기분이다.

'세계의 끝 여자친구'를 읽으며 등장인물들의 아픔을 들여다보았다. 단지 독자로써 읽었을 뿐이지만 그 '책읽는 동안'이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타자의 아픔을 알아가는 과정에 자신의 상처도 저절로 투영되기 때문일까. 그 고통의 공감이 우리들 서로를 소통케한다. 더불어 나 자신에게 감춰진 내면의 상처까지 위로받을 수 있다. 현실의 불꽃이 작가에게 옮겨갔고, 주인공 내면에 타오르던 불꽃이 독자인 나에게까지 전염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우리들 모두는 믿었던 세계가 무너져버렸을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이야기'함으로써 진정한 나를 되찾으려고 애쓴다. 타의에 의해 잃어버렸든, 나도 몰래 어딘가에다 던져두고는 잊어버린 자신의 정체성 같은 것들 말이다.

작가가 소설 속 서사를 통해 말하고 싶었던 그 불꽃이란 것도 결국 각자의 아픔을 이야기함으로 나에서 우리로, 종국에는 우리 모두로 이어져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다는 '희망'아닐까. 이렇게 마무리하려니 꼭 공익광고캠페인 같지만 〈세계의 끝 여자친구 〉를 읽으며 끌어안은 '사랑' 과 '희망'의 메시지를 내쳐버리고 싶지 않으니 어쩌면 좋을까.

- 〈달로 간 코미디언〉 - 14 를 읽을 때 누군가 내게 이 구절을 읽어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나는 잠시 앞이 안보이는 달로 간 코미디언이 되었다.
- '청춘의 문장들'에 나왔던 '오마르 하이얌'이란 시인이름이 이 소설 속에도 나온 것을 발견. 같은 작가 책을 연달아 읽는 자에게 주어지는 사소한 즐거움도 쏠쏠하다.


세계의 끝 여자친구

김연수 지음, 문학동네(2009)


태그:#서평, #독서일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