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삼청동 대통령직 인수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영어공교육 완성을 위한 실천방안 공청회'에서 이경숙 인수위원장이 참가자들과 악수를 하고 있다.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삼청동 대통령직 인수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영어공교육 완성을 위한 실천방안 공청회'에서 이경숙 인수위원장이 참가자들과 악수를 하고 있다.
ⓒ 인터넷사진공동취재단

관련사진보기



언어학을 공부하려고 도미하였을 때, 처음 접한 학문이 바로 테솔(TESOL–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이다. 지금이야 미국에 유학오는 여학생의 90%가 테솔을 전공한다고 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테솔을 공부하고 있지만, 내가 처음 테솔을 공부하던 1990년대 초기에는 한국 사람에게는 '테솔'이란 아주 낯선 용어였다.

그도 그럴 것이, 영어도 제대로 잘못하는 외국인이 비영어권자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방법인 테솔을 배운다는 것은 정말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테솔을 공부하면서 많은 것을 배웠다. 그때 공부한 것들이 밑받침되어 지금 비한국어권자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사람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 한국에서는 '영어몰입교육(English Immersion program)'이라는 한국 실정에는 맞지 않는 용어를 사용하여 그 정책만 성공하면 온 국민이 모두 영어 도사가 될 거라는 허황된 꿈을 꾸는 듯 보인다.

테솔은 영어 학습이 아닌 영어교육학

우선, 경험에 비추어 볼 때, 미국에서 테솔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영어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아서 효과적인 외국어 교육방법론은 알 수 있었지만, 도미한 지 15년이 넘어가는 지금까지도 본 기자가 영어 모국어 화자가 아니라는 사실은 큰 벽이 될 수밖에 없다.

새로운 정부에서 테솔을 전공한 사람들을 우선적으로 교사로 채용하여 영어로 가르치는 영어 수업을 하겠다고 한다지만, 테솔을 전공한 사람이라고 해서 영어로 영어를 가르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는 생각은 아주 위험한 생각이다.

테솔은 영어를 공부하는 학문이 아니라 영어를 어떻게 가르치는지를 배우는 학문이다. 따라서 테솔 전공자가 영어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가설은 아주 위험한 발상임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오히려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에게는 아주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학문이 바로 테솔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영어몰입교육이라는 것은 'English Immersion program'의 한국식 번역인 듯한데, 이는 근본조차 모르고 그저 용어만 받아들여 적당히 정책으로 사용하는 듯한 인상을 받아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몰입교육'이라고 하는 것은 이중언어교육학에서 나온 용어로 캐나다의 영어 불어 몰입교육의 경우 영어권 학생들과 불어권 학습자들이 함께 공부를 하면서 두 언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었다.

여기서 전제되어야 할 것은 배우고자 하는 언어의 모국어 화자가 반드시 수업 중에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지금 한국에서 말하는 영어몰입교육에는 학생도 교사도 모두 영어 모국어 화자가 아닌데, 그 사람들이 함께 영어로 수업을 한다는 방침이니 과연 이것이 영어 몰입교육이라는 용어를 쓸 수 있을지 의문이다.

숙명여대 홈페이지에 올라있는 테솔 안내.
 숙명여대 홈페이지에 올라있는 테솔 안내.
ⓒ 숙명여대 홈페이지

관련사진보기


정말 영어 몰입 교육을 원한다면 영어 모국어 화자이면서 비영어권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방법을 공부한 테솔 전공자들로 교사를 채용하고, 교실에 영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학습자들이 같이 공부를 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과연 테솔을 전공한 영어 모국어 교사가 한국 공립학교에서 교사를 할 지도 의문인데다가 특히 지방에 있는 학교에 가야 한다면 반가워할지도 의문이다.

또 한가지는 미국의 MBA 출신들도 교사를 자원한 사람들이 많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MBA를 공부한 사람이 영어 교사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발상 또한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다. 그리고 언어에 뛰어난 재능이 있어 설사 영어 교사로 채용이 된다고 하여도 과연 MBA를 졸업한 사람이 교사의 박봉에 만족할 수 있을지 다시 의구심이 든다.

우리가 언제부터 "좋은 아침"이라고 인사했나

매일 올라오는 영어몰입교육에 대한 기사를 접하면서 때로는 기가 막혀서 웃기도 하고, 때로는 답답한 현실에 분노에 차기도 했다. 엄연한 외국어인 'friendly'를 '프렌들리'가 아닌 '후렌들리'라고 써야한다고 했다는 이야기나 'orange'를 '오렌지'가 아닌 '어륀지'로 해야 한다는 말을 들을 때, 정말 외국어와 외래어의 차이를 알고 그런 말을 한 것인지 묻고 싶었다.

'f'나 'v’' 발음이 없는 한국어에서는 외래어의 경우는 국민들이 사용하기 편한 방법으로 외래어를 표기하면 되고, 국어를 외국어의 발음 표기를 위해서 바꾸는 모순은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프렌들리'나 '후렌들리'나 모두 미국 사람들은 알아들을 수 없는 잘못된 영어라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프렌들리'나 '후렌들리'라고 하지 말고 '친절한'이라는 예쁜 한국어로 쓰면 될 것이다. 왜 한국 사람들끼리 영어를 해야 하는지 정말 알 수 없는 일이다.

수십년 전에는 말을 할 때나 글을 쓸 때, 한자를 많이 섞어서 사용하면 유식하게 보이는 것처럼 생각하곤 했는데, 요즘은 영어 단어를 많이 사용하여야 유식한 것처럼 보이는 듯 생각하는 잘못된 경향이 있는 듯하다. 그러한 부작용으로 영어식 한국어 표현들이 늘어가는 것 또한 안타까운 일이다.

한국 드라마에서 보면 아침 인사로 "좋은 아침이에요!"라는 인사들을 하곤 하는데, 언제부터 우리가 그런 인사를 했는지, 그리고 그것이 바로 'Good morning!'의 단어 번역임을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그러한 버릇들이 오히려 영어 학습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정책으로 정해놓으면 학부모들이 알아서 사교육한다"

몇 년 전에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영어 과목을 필수로 한다길래, 미국에 나와 계시던 한국 영사님에게 "아직 교사가 준비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떻게 무조건 의무로 영어 수업을 하도록 하시는 것입니까?"라고 물었더니, 그 분 말씀이 "그렇게 정책으로 정해놓으면 학부모들이 알아서 사교육을 이용해 그 정책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하셨었다.

부디 이번 정책 또한 구체적인 대책 방안이 아닌 정책을 위한 정책이 아니길 바랄 뿐이다.

덧붙이는 글 | 구은희 기자는 미국 실리콘밸리 지역 어드로이트 칼리지 학장이자 교수, 시인입니다.



태그:#영어, #영어 몰입 교육, #테솔, #어륀지, #오렌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미국에서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가르치는 교수입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