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박근혜 후보가 최태민 목사와 함께 89년부터 90년까지 발행한 월간지 <근화보> 표지.
ⓒ <근화보> 스캔
'사업가' 출신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예비후보의 약점이 부동산을 포함한 재산이라면, '퍼스트레이디'를 거친 박근혜 예비후보의 아킬레스건은 과거사다. 박 후보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과거사의 중심에 최태민 목사가 있다.

사실 박 후보에게 최 목사는 든든한 버팀목이었다. 박 후보가 어려운 고개를 넘을 때마다 그의 곁에는 늘 최 목사가 있었다.

최 목사는 육영수 여사가 사망했을 때 박 후보를 위로하며 친분을 맺었다. "어머니는 영원히 내 마음의 고향"이라고 여기는 박 후보에게 최 목사의 위로는 큰 힘이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사망했을 때도 최 목사는 박 후보의 곁을 떠나지 않았다.

88~90년은 '반격의 세월'... 최 목사와 월간 <근화보> 창간

박 후보가 1982년 육영재단 이사장에 취임하자, 그도 육영재단 업무에 참여했다. 그는 어린이회관 내에 '근화교회'를 만들어 예배를 보기도 했고, 나중에는 육영재단 고문에 오르기도 했다. 박 후보는 양친이 사망한 순간마다 곁에 있던 최 목사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다음 나를 도와준 분들이 많지 않았다. 아버지가 매도당하던 시절이고, 저를 돕는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었다. 또 목사님이 전횡해서 사기를 치고 한 일이 있나? 그 때 육영재단이 얼마나 잘 되고 있었는데…."

▲ 1976년 2월 23일 주식회사 녹십자 대표 마호웅씨에게 혈액대용의약품을 전달받고 있는 최태민 목사(왼쪽). 최태민 목사는 당시 대한구국선교단 총재직을 맡고 있었다.
ⓒ 연합뉴스

'반격의 세월'도 최 목사와 함께 보냈다.

박 후보는 10·26 사태 이후 청와대를 떠난 1979년부터 정계에 입문한 1997년까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잃어버린 18년' 세월을 보냈다. 부친 사망 후 세상의 인심은 바뀌었고, "독재자 박정희"라는 평가가 대세였던 시기였다. 박 후보는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이에 대한 반격에 나섰다.

그 때 박 후보는 박정희·육영수 기념사업회를 발족시켰고(1988년), 부친 사망 10주기 행사를 대대적으로 열었으며(1989년), 부친을 미화하는 영화 <조국의 등불>을 제작(1990년)했다. "독재자 박정희"라는 세상의 평가에 맞서 '박정희 바로 세우기' 작업을 진행한 셈이다.

이 기간에도 최 목사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최 목사는 박 후보와 함께 육 여사를 추모하는 단체 '근화봉사단'을 조직(1989년)했다. 근화봉사단은 1976년 박 후보와 최 목사가 만든 '새마음 봉사단'의 후신이다. 당시 새마음 봉사단의 총재는 박 후보였다.

근화봉사단의 회원은 한때 전국적으로 70만 명에 육박했고, 지역 조직까지 갖췄다. 이렇게 단기간에 많은 회원을 모으고, 조직을 정비할 수 있었던 데는 최 목사의 역할이 컸다.

"국민 속에서 살다가신 부모님을 위해"

▲ <근화보> 창간호에 실린 '이 한 장의 사진'. 66년 존슨 대통령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할 때 기내에서 자녀들의 안부를 묻는 육영수 여사의 모습이다.
ⓒ <근화보> 스캔
최 목사는 박 후보와 함께 월간 신문 <근화보>도 발행했다. <근화보>의 성격은 근화봉사단의 소식지였지만, 당시 문공부에 등록된 명백한 정기간행물로 1부에 1천원으로 판매됐다.

<근화보>가 주로 다룬 내용은 박 전 대통령의 치적과 육 여사의 생애다. 기록영화 <조국의 등불>이 박 정권을 미화한 영상이라면, <근화보>는 박 정권의 정당성을 적극 주장한 월간지다. 박 후보는 이 신문의 사설 '근화사설'을 직접 썼다.

박 후보는 1989년 7월 총 2만 부를 찍은 <근화보> 창간호에서 "나라 사랑에 모든 것을 바치신 부모님이기에, 국민 속에 살다가신 부모님이기에, 이제 가신 두 분을 진정으로 추모하는 국민 여러분의 정성을 모아 (박정희·육영수) 기념사업회의 일차적 목표로 기념관을 건립코자 한다"고 창간 취지를 밝혔다.

<근화보>는 15번 발행 중 특집호를 두 번 발행했는데, 육 여사 15주기를 다룬 2호와 박 전 대통령 10주기에 맞춰 발행한 4호가 그것이다. 특히 4호에는 박 전 대통령 10주기 추도 행사 준비위원회에 참여한 2만여 명의 명단이 14면에 걸쳐 모두 실렸다. 당시 박 후보는 사설 '국장의 의미와 모순된 현실'에서 아래와 같이 썼다.

"1979년 11월 3일, 고 박정희 대통령의 국장일에는 수많은 국민들이 애도하고 통곡하며 박 대통령을 영결하였다. 그로부터 10년의 세월동안 동방예의지국이라고 하는 나라에서 국장을 지낸 분에 대한 추도 행사 한 번 없었고 매도 일색의 세월을 보내왔다. 과연 그 매도는 누구를 위한 것이었는가? …그렇다면 국장은 무엇 때문에 지냈는가."

이밖에 <근화보>에는 총 4회에 걸쳐 박 정권의 치적에 관한 '조국 근대화의 발자취'를 연재했고 ▲육 여사를 기리는 '한국의 여성상' ▲'박정희 어록'과 '육영수 여사 어록' ▲박 후보의 심정이 담긴 짧은 메모 ▲박 대통령 일가를 담은 '이 한 장의 사진' 등이 매회 실렸다.

또 1990년 4월에 발행된 10호에는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인터뷰도 실렸다. 당시 정 명예회장은 "(박 전 대통령이) 불행한 일로 돌아가셨지만 땅이 있습니까, 집 한 채가 있습니까, 돈이 있습니까"라며 "장기집권 할수록 부패하기 쉬운데 우리는 그 정반대의 경우를 그 분에게서 보았다"고 말했다.

근화보가 폐간된 이유는

▲ 1989년 10월 <근화보> 4호에 실린 사설. 사설은 박근혜 후보가 직접 썼다.
ⓒ <근화보> 스캔
박 전 대표가 의욕적으로 발행한 <근화보>는 창간 2년을 채우지 못하고 1990년 9월, 15호를 마지막으로 폐간됐다. 이 때는 박 후보가 동생 근령씨와 육영재단 운영권을 두고 다투던 시기였다.

다툼의 원인은 최 목사였다. 당시 박근령씨를 지지하는 단체 숭모회는 "희대의 사기꾼 최태민 근화봉사단 고문이 박근혜 이사장을 배후에서 조종, 육 여사가 동심을 키우기 위해 설립한 육영재단의 운영을 전횡하고 있다"며 최 목사의 퇴진을 주장했다.

박근령씨도 당시 "최태민 목사의 비리, 전횡에 대한 혐의 사실은 모두 사실이며 언니(박근혜)는 철저하게 속고 있다"며 "언니가 최태민의 최면술에 걸려 있다, 지금 최 목사를 몰아내는 게 궁극적으로 언니를 돕는 길"이라고 말했다.

또 당시 육영재단의 한 간부는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87년 9월 2일 어린이회관 노조원들이 '외부세력 물러가라'며 1주일 동안 농성했던 것도 최 목사를 겨냥한 것이었다"며 "특별한 직책도 없으면서 육영재단 운영을 좌우해온 최씨를 싫어하면서도 (박근혜) 이사장과 막역한 관계 때문에 어느 누구도 기를 펴지 못했다"고 밝혔다.

<근화보> 폐간, "최태민, 직책도 없이 육영재단 좌우"

당시 최 목사는 불미스런 구설수에 올랐으나 지금까지 최 목사가 어떤 비위를 저질렀는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박 후보는 1990년 11월 육영재단 이사장 퇴진 기자회견에서 "내가 누구에게 조종을 받는다는 것은 내 인격에 대한 모독이다"며 "최 목사는 88년 박정희 기념사업회를 만들 때 내가 도움을 청해 몇 개월 동안 나를 도와주었을 뿐"이라고 최 목사를 두둔했다.

이런 박 후보의 최 목사 두둔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최근 박 후보는 "최태민 목사는 고마운 분이다, 천벌을 받으려면 무슨 짓을 못하느냐는 말도 있는데 지어내서 매도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 <근화보> 창간호에 실린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직접 그린 강아지 '방울'. 1978년 7월에 그렸다.
ⓒ <근화보> 스캔
어쨌든 박 후보는 1990년 후반 육영재단 이사장 자리를 동생에게 넘겼다. 그리고 다시 깊은 은둔 생활에 들어갔다. 1991년부터 1997년까지 부모의 추도식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최 목사는 1994년 노환으로 사망했다. 그의 다섯 번째 딸 최순실은 현재 강남 신사동에 200억 원에 이르는 빌딩을 갖고 있는 재력가다. 최씨의 남편 정윤회는 2004년 6월 박 후보의 국회 입법 보조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이런 정황 때문에 "최태민 목사가 2대에 걸쳐 박 대표를 돕고 있다" "최순실, 정윤회 부부는 박 후보의 재산 관리인이다" "정윤회가 박 후보의 사조직 '강남팀'을 이끌고 있다'는 등의 말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

박 후보는 1989년 12월 30일 일기에 "1989년은 수년간 맺혔던 한을 풀었다고 해도 좋을 한 해"라고 썼다. 1989년은 박 후보가 최 목사와 함께 왕성한 반격의 세월을 보낸 시기다.

현재 최 목사는 없다. 그러나 '의혹'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반격의 세월을 건너 대권을 향한 여정에 서 있는 박 후보에게 '최태민 의혹'의 칼날이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아직 아무도 모른다.

최태민은 누구?
공무원에서 사업가로, 스님에서 목사로

최태민 목사는 1912년 황해도 봉산군에서 출생했다. 해방 직후 월남했다. 그의 원래 이름은 최도원이었다. 해방 이후 최상훈이란 이름을 사용하다가 다시 1977년 최태민으로 바꾸었다.

<월간조선>에 따르면 그의 이력은 매우 독특하다. 경찰공무원(1946년)으로 활동했고, 육군 헌병대 문관으로도 근무했다(1949년). 또 사업을 벌여 대한비누공업협회 이사장과 대한행정 신문사 부사장으로도 활동했다.

뿐만 아니라 머리를 깎고 스님이 됐는가 하면(1954년), 중학교를 설립해 교장으로도 취임했다. 그 뒤 교단을 운영하며(1973년), 서울 서대문구 대현동에 '영생교 본부'를 만들어 신도를 모았다. 이어 목사 안수를 받고 대한예수교 장로회 해동총회의 책임자가 됐다.

그는 1975년 영생교 교주 역할을 그만두고 '대한구국선교단'을 발족시켰다. 이후 이 단체는 '대한구국봉사단'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역시 최 목사가 만든 '구국여성 봉사단'과 통합해 '새마음 봉사단'이 됐다. 1978년 이 단체의 총재는 박근혜 후보였다.

최 목사가 어떻게 박 후보와 가깝게 됐는지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어쨌든 그는 당시 퍼스트 레이디 박 후보를 움직였고 그만큼 위세를 떨친 것으로 보인다. 여러 비위 관련 소문으로 중앙정보부의 조사를 받았고, 박정희 대통령에게 직접 심문을 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 때도 박 후보는 최 목사를 감쌌다. 최 목사는 5명의 부인 사이에서 3남 6녀를 두었다. 그의 다섯 번째 딸 최순실씨의 남편 정윤회는 박 후보의 입법보조원을 지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낸시랭은 고양이를, 저는 개를 업고 다닙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