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대안교육에 대한 글을 주로 다루는 출판사 '민들레'의 <세상에 나쁜 벌레는 없다>
ⓒ 민들레
<세상에 나쁜 벌레는 없다>는 다소 단정적인 제목을 달고 있는 이 책은 그 동안 우리 인간의 관점에서, 그것도 매우 편협한 관점에서만 벌레를 인식해왔던 편견을 비로소 놓게 만드는 책입니다.

2004년 6월, 비교적 근자에 발행된 이 책은 '작은 것들 속에 깃든 신의 목소리'라는 부제가 말해 주듯 벌레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기 위한 과학적인 강변보다는 벌레에 대한 우리들의 영적인 수용과 교류를 더 강조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책은 파리, 바퀴벌레, 개미, 딱정벌레, 벌, 모기, 거미, 나비, 잠자리, 사마귀 등 우리가 혐오하거나 미워하는, 때론 공포감마저 느끼는 벌레들을 하나하나 살피면서 그 곤충이나 벌레를 향한 인간의 근거 없는 적대감들을 파헤치고 있습니다.

사실 이 적대감이란 것도 다분히 사회적으로 교육받거나 학습한 결과이기 때문에, 개인이나 집단이 적을 만들어내는 심리적 과정을 이해해야 하고,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각종 선전 선동을 예리하고 비판적인 눈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저자는 지적하고 있습니다.

“좋은 벌레는 죽은 벌레밖에 없다”는 선전을 따른다면 우리는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낸, 실체가 없는 곤충 유령과 싸우는데 진을 빼고 말 것인데, 이는 곤충과의 전쟁이 35억 달러에 이르는 거대 산업이 되어버린 것만 봐도 알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벌레와 곤충을 혐오스럽게 하여, 이익을 보는 집단은 누구일까요? 그것은 살충제를 만드는 기업이 아니겠습니까? 바퀴벌레를 과장되고 형편없는 이미지로 만들어 폭파해서 죽임으로써, ‘추잡한’ 바퀴벌레에 대하여 통쾌한 복수(?)를 하여 심리적인 대리 만족을 느끼게 하는 만화 광고는 우리가 익히 아는 바입니다.

그러나 이 책의 진정한 가치는 곤충이 재생, 채취, 가루받이 역할을 하지 않는다면 인간은 몇 달 안에 멸종을 면치 못하게 될 것임을 경고하는 것과 함께, 곤충은 우리 자아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곤충을 오해하고 벌레를 학대하며, 증오한다는 것은 도리어 우리의 자아를 더욱 시달리게 하는 것이므로, 곤충과 화해하는 것이야말로 우리 온전한 자아를 회복하는 길이고, 우리 인간의 영혼을 치유하는 길이라는 영성적인 가르침이 넘쳐난다는 데에 있습니다.

실제로 파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더럽지 않으며, 파리가 있음으로 해서 죽은 동식물이 잘 썩게 해주고, 파리가 많은 생물의 먹이가 되어 동식물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또한 저자는 바퀴벌레를 '신성한 천재'로 표현하며, 다양한 예를 들어 바퀴벌레가 사람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모기가 인간의 피를 좋아하게 된 것도 다른 온혈 동물이 감소하기 시작한 200년 전부터이고, 삼림과 다른 동물종들을 인간이 해친 결과라는 책임의식을 가지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내가 보기에는 사람이 피해의식과 적대감에서 해방되어 곤충들에 대해 화해의 손길을 내미는 것은 세상 만물을 존중하고 나의 영성을 섬기는 작업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우주만유가 분명 진리의 한 표현임을 인식하고 깨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삶의 태도일 것입니다. 생명의 근거지와 바탕을 소중하게 여기고, 존재 자체에 대한 은혜를 발견할 때, 이 세상에 진정한 평화가 도래할 것입니다.

생명체는 모두 소중하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라고 믿을 때, 저자의 말처럼 우리 문화는 “심오한 변화”를 겪게 될 것입니다.

세상에 나쁜 벌레는 없다 - 작은 것들 속에 깃든 신의 목소리

조안 엘리자베스 록 지음, 조응주 옮김, 민들레(2004)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경남 합천의 작은 대안고등학교에서 아이들과 만나고 있습니다. 시집 <느티나무 그늘 아래로>(내일을 여는 책), <너를 놓치다>(푸른사상사)을 펴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