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지금도 생각난다. 먹을 것이 부족했던 시절, 정말 없이 살던 시절엔 모두가 힘들고 배고팠다. 70년대 초에 농촌은 특히 더 그랬다. 전후의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정치적 사건들이 연달아 터지면서 약자들의 이익이나 권리를 대변해 줄 사람은 하나도 없던 시절이었다. 경제는 말 그대로 있는 자를 위한 시장만이 존재할 뿐이었다. 그래서 시골 특히 첩첩 산중이라 전주에 한 번 나오려면 큰맘을 먹어야하는 진안 같은 촌구석은 정말 살기 힘들었다.

지금이야 진안이 청정지역이라고 사람들에게 인기가 좋지만 내가 국민학교(지금은 초등학교) 다닐 때만 해도 살아가기가 참 힘든 곳이었다. 한 반에 60명이 넘는 학생 중에 쌀밥을 먹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혼식을 장려할 때에도 시골에서는 혼식 검사를 할 필요가 없었다. 쌀밥을 도시락에 싸온 학생은 거의 없었다. 학생들에게는 감자나 고구마가 보리밥에 얼마나 들어갔느냐 더 중요한 문제였다. 가난한 아이일수록 도시락 밥에 감자나 고구마가 많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 때만 해도 초등학교는 육성회비가 분기 별로 350원정도 냈던 기억이 난다. 60년대 말에서 70년대 초였다. 350원이 없어서 초등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애들도 사실 많았다. 우리 집은 4남매가 초등학교를 다녔으니까 사실 육성회비 마련하는 것도 부모님에게는 장난이 아니었다.

그 때 가난했던 시절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이야기가 하나 있다. 검정고무신에 관한 이야기다. 우리 7남매는 모두 검정 고무신을 신고 학교에 다녔다. 우리 집에서 흰 고무신을 신은 사람은 아버지와 어머니 밖에 없으셨다. 부모님에게 흰 고무신은 외출용 신발이었다. 아버지는 마령장날이나 남의 잔치 집에 가실 때는 흰 고무신을 신고 가셨다. 아버지는 흰 고무신에 흙이 묻지 않도록 조심조심 걸으셨다. 사뿐 사뿐 걷으시는 아버지의 모습이 어린 마음에 너무 부러웠다. 흰 고무신을 신으면 발걸음이 정말 가벼워질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아버지의 흰 고무신을 몰래 신어볼 엄두도 못 냈다. 아버지가 너무 아껴서 신는 신발이기 때문이다. 아버지는 외출에서 돌아오시면 바로 흰 고무신을 깨끗하게 씻어서 선반위에 올려놓으셨다. 비누도 아까워 지푸라기로 만든 수세미로 몇 번 쓱쓱 문지르면 금세 신발은 하얗게 되었다.

멀리에서 보더라도 아버지와 어머니의 하얀 고무신은 빛이 반짝반짝 났을 정도였다. 그리고 흰 고무신이 선반에 올려져 있는 모습을 보면 아버지와 어머니가 멀리 떠나시지 않으셨다는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에 기분이 참 좋았다.

그렇지만 나는 짚신을 신어 본 기억은 없지만 검은 고무신은 초등학교 졸업할 때까지 신 줄곧 신었다. 아버지의 흰 고무신과 같은 흰 고무신이 너무나 신고 싶었다. 아버지에게 사 달라고 말씀드릴 엄두가 나지 않았다. 검정 고무신은 값이 싸고 흰 고무신은 매우 비쌌다. 우리 반에서 흰 고무신을 신은 아이는 두세 명이었고 운동화를 신은 학생은 한명밖에 없을 정도였다. 바로 교장선생님 아들만 멋진 가방을 메고 운동화를 신고 학교에 다녔다.

흰 고무신을 신은 학생이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었다. 운동화는 아예 생각을 하지 않았으니까. 결국 흰 고무신은 고등학교에 들어갔을 때에야 신어 볼 수 있었다. 고등학교 다닐 때에는 흰 고무신은 그다지 비싼 편이 아니었다. 대부분이 운동화를 신고 다녔다. 지금도 국민학교 때에 흰 고무신을 신어 보지 못한 아픈 마음은 내 기억 속에서 계속 자리를 잡고 있다. 하지만 그 때는 새로운 검정 고무신만 신어도 기분이 참 좋았었는데 …….

검정 고무신에 대한 추억은 이 시대를 산 사람들은 다 가지고 있을 것이다. 방수가 잘 되기 때문에 비올 때는 어느 때보다 좋았다. 비가 많이 와 신발이 물 속에 잠겨도 걱정이 없었다. 바로 마르기 때문이다. 깨끗한 물에 몇 번 만 담갔다가 꺼내면 검정 고무신은 까마귀처럼 검은 빛을 냈다. 참 간편한 신발이었다. 겨울에 아무리 눈이 와도 방수가 완벽했다. 눈이나 얼음위에서도 그다지 미끄럽지도 않았다. 조금 발이 시럽기는 해도 말이다. 특히, 진흙 길을 갈 때는 검정 고무신이 참 좋았다. 흙이 신발에 묻는 것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여름철에 고무신은 무좀의 주범이었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통풍이었다. 전혀 통풍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발가락 사이에 무좀이 많이 생겼다. 그리고 땀이 전혀 흡수가 되지 않았다. 그래서 여름에 오래 신다보면 검은 물이 발등위로 흘러나올 정도였다.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고무신은 아이들의 좋은 장난감이었다. 여름에 우리집 마당에서 몽글고 부드러운 흙으로 소꿉장난을 많이 했다. 이 때 검정 고무신은 자동차도 되고 배도 때론 흙을 나르는 덤프트럭도 되었다. 고무신 멀리 던지기시합은 참 재미있는 게임이었다.

이렇게 함부로 다루어도 고무신은 일년은 거뜬히 신을 수 있었다. 고무신 바닥에 구멍이 나지 않거나 옆구리가 찢어지지 않으면 동생에게 물려주기도 하고 옆집 동생에게 선물로 주기도 했다. 고무신 바닥이 달아서 구멍이 나야 고무신의 인생이 끝이 난다.

검정 고무신은 물놀이 할 때 참 좋다. 신발을 신고 물 속에 들어가면 신발이 여간해서는 벗겨지지 않는다. 고무신과 발 사이에 물이 들어가 공기가 압축되어 손으로 벗기려 해도 잘 벗어지지 않을 정도다. 그리고 고기를 잡으면 고무신 속에 고기를 담아 놓고 물을 넣으면 아무리 먼 거리를 가도 고기가 죽는 법이 없었다.

우리 집 앞에는 자그마한 방죽(저주지)이 하나 있다. 이 방죽에는 잉어와 붕어밖에 없었다. 그런데 아이들이 학교에 오가면서 시냇가에서 잡아온 민물고기들을 방죽에 넣곤 했다. 멍청하고 숨기 잘하는 불뭉텡이(동사리)와 가시가 몹시 사나운 빠가사리(동자개), 눈이 태극모양처럼 신비스런 꺽지, 입 모양이 불독처럼 넙적한 짜가사리(바가사리), 가슴 주위로 선명하게 갈색 줄무늬가 있는 돌고기 등을 방죽에 넣어 주곤 했다. 이 때 물고기 이동 수단이 바로 검정 고무신이었다. 고무신 속에 물고기를 넣어 가지고 집에까지 와서 방죽에 넣어 주었다. 그래서 잉어와 붕어밖에 없는 방죽에 여러 가지 고기들이 많아 졌다.

지금은 붕어가 인기가 좋은 물고기지만 그 땐 물고기 축에도 들지 못했다. 붕어가 잡히는 재수가 없다고 버리면서 침까지 뱉을 정도였다. 그런데 이제는 방죽에 맛이 있는 다양한 물고기들이 살게 된 것이다. 팔뚝만한 동사리가 방죽에서 눈에 띄기도 하고, 빠가사리가 떼를 지어 다니기도 했다.

가을이 되면 벼농사는 논물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는다. 그래서 저수지 물을 거의 다 빼야 한다. 그러면 방죽은 말 그대로 물 반 고기반이다. 온 동네 사람들이 모여서 고기를 잡는데 정말 가관이다. 애 어른 할 것 없이 다 모인다. 그 날 집집마다 물고기 익는 냄새가 온 동네에 그득하다.

늦가을이 되면 찬 바람이 분다. 이 때가 바로 미꾸라지가 가장 맛이 있을 때이다. 개울이나 논에서 미꾸라지 잡는 것은 참 재미가 있다. 아니 학교에 갔다가 집에 오면 미꾸라지 잡는 것은 중요했다. 바로 국거리가 되기 때문이다. 이 때 한 몫 하는 것이 바로 검정 고무신이다. 개울을 막고 물을 품을 때 고무신이 참 편리하다. 그리고 논 속에서 미꾸라지를 잡을 때도 고무신 속에 미꾸라지를 넣어 놓으면 절대 밖으로 도망 나가는 법이 없었다.

흰 고무신을 생각하면 신고 싶었지만 신어 못했던 좌절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더 높은 곳에 대한 지속적인 갈망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갈망이 터무니없거나 사치스럽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도 나의 생활에 만족하면서 살아가고 있는지 모른다. 검정 고무신이 주는 가난이라는 이미지보다는 검정 고무신이 만들어준 많은 추억꺼리들이 나에게 더 크게 와 닿는 것은 아마도 고향의 아버지와 어머니 때문이다. 그 어렵고 부족하던 시절에 한 켤레의 흰 고무신에 만족하시면서 7남매를 키워내신 바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이 검정 고무신에 고스란히 담겨있기 때문이다.

지금도 검정 고무신을 보면 나의 추억이 주마등처럼 스치고 지나가고 흰 고무신을 보면 아버지의 즐거운 나들이가 눈에 선하다. 시골에 가면 시골 장날에 고무신집에서 흰 고무신 한 켤레와 검정 고무신 한 켤레 사서 부모님께 드려야겠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살아가면서 필요한 것들 그리고 감정의 다양한 느낌들 생각과 사고를 공유하는 공간! https://blog.naver.com/nty1218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