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진도대교
ⓒ 오창석
▲ 용장산성
ⓒ 오창석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땀이 주욱 죽 흘러내리는 7월 말. 진도대교를 넘어 선 순간부터 다시 그 땅을 빠져 나오기까지, 칙칙한 대기는 몸뚱어리를 휘감고 도무지 놓아주질 않았다. 떠나기 전 들었던 진도아리랑의 흥겨움도 귓전을 떠나버리고 없었다.

끈적끈적하고 묵직한 느낌의 정체가 무엇인지 금방 알아차리지는 못했다. 한여름의 땡볕이 눈을 쪼아대고, 물을 연신 들이켜도 갈증은 가시질 않았다. 가는 곳마다 까마귀 울음소리가 들렸다. 고개를 들어보면 깡마른 하늘만 있었다. 환청일 뿐이었다. 그것은 죽음이었다. 나는 진도를 죽음으로 만나고 있었다.

진도는 곳곳이 삼별초 대몽항쟁의 유적지이다. 그러나 패전으로 기록된 삼별초 항쟁의 역사는 어이할 수 없는 죽음의 기록이기도 하다. 강화도에서 30여년을 버틴 무인정권의 주력은 삼별초였다. 원래의 삼별초는 도둑이 들끓자 개경의 치안을 담당하기 위해 최씨 무인정권이 '야별초'라는 이름으로 창설했다.

'고려사'는 "권신들이 정권을 잡으면 삼별초를 조아(爪牙)로 삼아 그들에게 녹봉을 후하게 주고 또, 간혹 사적인 은혜를 베풀며 또 죄인의 재물을 빼앗아 그들에게 줌으로써 권신들이 그들을 마음대로 부리게 되어 김준은 최의를 죽이고 임연은 김준을 죽였으며 송송례는 임유무를 죽였으니 이는 모두 삼별초의 힘에 의한 것이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그들이 무인들의 사병조직인 '도방'과 구별되는 관군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권신들과 깊이 유착되어 사병화되었음을 말해준다. 최우의 집권시기에 강화도로 천도한 무인정권은 본토를 침략하는 몽고군에 전력을 다해 싸우지 않았다.

그들은 자신들의 정권 보호가 더 우선했기 때문에 6차에 걸친 몽고의 침입에 본토는 무방비 상태나 다름없었다. 이런 몽고 침략군에 실질적으로 대항했던 이들은 자신의 땅을 떠나서는 삶을 영위할 수 없었던 백성들이었다.

▲ 운림산방 옆 진도역사관 안에 전시된, 용장성 전투를 재현해 놓은 미니어쳐
ⓒ 오창석
▲ 운림산방 전경
ⓒ 오창석
경기도 용인의 '처인성 전투'에서는 천민들인 '처인 부곡민'들이 적장 '살리타이'를 전사시켰고, 충주성에서는 관노들이 성을 지켜냈음에도 불구하고 전투 때 도망갔던 양반들이 돌아와 없어진 물건을 내놓으라고 처벌하려 하자 '충주관노반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알려져 있다시피 몽고군의 전투방식은 항복하지 않는 적들을 초토화시키는 것이었다.

여기에 칭기즈칸의 어록을 빌리면 "적군의 아녀자들을 잡아다 발 아래 꿈틀거리는 모습을 보며 능욕하는 것이 최고의 기쁨"이라 했으니 백성들의 고초는 말로 형용하기 어려웠다. 여기에 왕실이 왕정복구를 위해 몽고의 힘을 빌려 무인정권을 축출하려 하자 삼별초는 투쟁 근거지를 진도로 옮기고 백성들과 함께 대몽항쟁에 나섰다.

이처럼 왕실이 몽고와 결탁한 데 대한 기층민들의 반발은 삼별초군이 제주까지 옮겨가며 3년여를 투쟁하는 밑바탕이 되었다. 배중손 장군을 지도자로, 왕족인 '승화후 온'을 왕으로 추대한 그들은 진도의 용장사를 행궁으로 삼아 국호를 '오랑국'이라 하고 그들이 고려의 유일한 정통 정부임을 주장했다.

거대한 모래바람처럼 세계를 뒤덮어 버리는 몽고군 앞에서도 그들은 치열하게 싸웠다. 그들은 초기에 전라, 경상지역을 모두 점령하고 개경까지 침투하여 왕실의 신하들을 납치해 오는 등 기세를 올렸지만 계속되는 정부군과 몽고군의 공격을 견디지 못하고 9개월만에 진도는 함락당한다.

▲ 배중손 장군을 모셔 놓은 사당. 왼쪽이 배중손 장군상.
ⓒ 오창석
▲ 임회면의 고개길 가장자리에 조성해 놓은 탑 공원.
ⓒ 오창석
왕으로 추대되었던 '왕온'은 왕무덤재에서 잡혀 죽임을 당하고 배중손 장군은 남도석성에서 최후의 항전을 벌였으나 전사하고 만다. 삼별초군과 식솔들이 대규모 학살당한 곳에는 너무도 피가 많이 흘러 지금도 '핏기내'라는 지명이 남아 있고, 침략군들의 능욕을 피해 여인들이 몸을 던져 죽은 곳에는 '궁녀 둠벙'이란 이름이 붙어 있다.

진도민들은 그 후 몽고에 말을 길러 바치느라 오랜 세월 곤욕을 치렀으며, 이후에도 왜구의 침입 등 수많은 전란에 휩싸여 내륙을 떠돌다 세종 때 87년만에야 고향에 정착하는 등 수난의 역사를 거쳐 왔다.

진도군의 문화해설사 허상무씨는 "진도소리의 유장하고도 애절한 가락은 그때 몽고군에 짓밟힌 백성들의 뿌리깊은 한에서 비롯된 것"이라 말한다. 진도는 문화의 보고이다.

그들은 민요 '다시래기'로 서로의 상처를 닦아주고 '씻김굿'으로 한을 풀어내며 살아 왔다. 그것은 전란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 가고 다시 새 생명이 잉태되는 길고도 깊은 상처의 역사를 대변한다. 전쟁통에 남자들이 모두 죽은 탓에 생긴 습속으로 진도에서는 여자가 상여를 맨다.

남자들은 모내기도 하지 않았다. 노동과 놀이의 주체가 여자인 것이다. 죽음 속에서 다시 태어나는 땅. 죽음을 이기는 유일한 남자의 무기는 여자다. 그래서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태그: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전라도 기행 연재했던지가 10년이 넘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