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음악산업의 세계적인 불황이 몇 년째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음반업계도 이를 비껴갈 수는 없었다. 수치적으로도 한국음반산업의 규모는 2000년도에 비해 판매량이 무려 34%나 감소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를 단순하게 세계적인 추세로만 바라볼 것인가? 그러기에는 우리 스스로 반성해야할 점이 너무도 많다.

그동안 한국의 음반산업계에서도 음악산업의 고질적인 문제들을 짚어왔지만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함에 성공한 사례는 거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수없이 되뇌어왔던 한국음악산업의 문제를 여기서 다시 거론하는 것은 정말 이대로는 안된다는 의기의식에서이다. 현실의 문제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정부와 음악산업계 모두 환골탈태의 심정으로 음반산업의 구조를 혁신하지 못하면 이 끝없는 불황의 늪에서 언제 빠져나오게 될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음반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요소

작금의 현실에는 여러 가지가 이유가 있겠지만 지엽적인 원인들보다는 대표적이며 본질적인 문제, 그래서 임시방편의 수단보다는 반드시 구조적으로 해결해야 될 원인들을 짚어본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짚어볼 수 있다.

첫째, 유통시스템의 문제이다. 그 동안 유통구조의 현대화를 위한 노력은 종합물류센터의 건립이라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는 판매량의 전산관리를 통해 수요량을 예측함은 물론 음반산업의 정확한 통계자료를 추출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는 전략이었으나 역시 중간 도매상 문제를 해결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둘째, 편집음반의 문제이다. 음반시장의 불황을 벗어나기 위한 일환이었겠지만 도레미 레코드가 발매한 편집음반 "연가"시리즈가 성공하자 이를 필두로 국내 음반기획사들은 투자위험도가 큰 신규 음반보다는 과거의 히트곡을 골라 묶는 컴필레이션 음반을 앞다투어 양산해냈다. 이는 음반사 입장에서는 단기적인 현금회전율을 높일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결국은 음반산업계를 고사시키게 될지도 모른다.

셋째, 무료음악 사이트의 문제이다. 소리바다의 폐쇄에 이어 벅스뮤직이 도마위에 올라있다. 무료 음악사이트 및 P2P 서비스가 음반산업불황의 결정적인 원인은 아니겠지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

넷째, 음반산업정책의 문제이다. 현재 음반은 사치재로 분류되어있고 각종공연에는 공연세가 25%가 붙는다. 현재 음반산업계의 어려움은 '음반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등 단기적인 방법으로 부양될 수 없는 지경에 와있음을 관계기관은 인식해야 한다.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이라크전의 긴장감 등으로 조성된 세계적 불황은 어쩔 수 없는 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부문산업의 구조적 문제로 생긴 불황은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얼마든지 열려있다. 앞서 지적한 한국음반산업의 장애요소들을 근거로 해결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유통시스템의 문제를 위해서 진행하고있는 종합물류센터는 반드시 완벽하게 추진되어야 한다. 다단계 유통구조의 개선이 없이는 한국 음반산업은 전근대성을 면치 못할 것이다. 유통의 전산화는 언젠가는 해야될 일이다. 그러나 최대한 빨리 해내자.

둘째, 음반기획사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기대한다. 편집음반이 계속 발매된다면 결국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을 고질화 시킬 것이다. 왠지 가수 한명의 음반을 사는 것은 아깝게 생각해 이것저것 자기가 좋아하는 곡들이 섞인 편집음반을 선택하게 되는 소비자 기호의 변화는 눈에 보이는 일이다. 편집음반 일변도의 음반기획을 벗어나 참신한 기획과 신인들의 발굴을 통한 음악컨텐츠로 승부하지 못하면 이는 음반업계가 스스로 만든 재앙이 되지 않는다고 누가 장담할 수 있겠는가? 그나마 요즘 들어 편집음반이 아닌 참신한 디자인과 기획을 겸비한 프로젝트 기획앨범들이 눈에 띄는 것은 다행스러운 분위기라 하겠다.

셋째, P2P 사이트와 무료음악사이트의 '사이트 폐쇄'라는 법적 대응방식은 시대에 뒤떨어진 대응방식이다. 문화콘텐츠의 온라인화의 추세는 시대적 대세이다. 근본적으로 온라인 유료화 정책을 마련해야한다. '폐쇄'가 아니라 '전략적 제휴'를 통해 Win-Win 전략을 마련함이 미래지향적 전략이며 음악산업의 수입구조 다각화에 기여하는 방안이다.

넷째, 정부는 음악산업의 구조적 불황을 탈출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지원혜택이 아니라 산업정책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우선 음반을 '사치재'에서 '문화상품'으로 재분류하고 도서와 마찬가지로 부가세 면제 대상으로 정하기 바란다. (시행기관은 다르기는 하지만 현재 문화상품권으로 도서와 음반 등을 구입할 수 있지 않은가?) 현실적으로 음반은 문화상품인데 이를 '사치재'로 분류하는 상충된 분류를 빨리 해결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클럽과 클럽공연 등을 합법화함으로써 무명가수나 밴드들이 활동할 수 있는 문화적 공간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바란다. 이러한 기초적 공연문화의 활성화정책은 결국 음악콘텐츠 창작의 원동력이 되고 소비자들의 음악적 다양성을 열 수 있는 계기를 만든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마지막으로 음반협회, 음악저작권협회 등 음악산업 관련 협회들의 구조개선과 전산화를 촉구한다. 이들 단체의 전근대성은 어제 오늘 지적된 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변화할 기미조차 보이고 있지 않다. 가끔 발생하는 저작권협회 작원들의 저작권료 횡령사건들은 개인의 도덕성 문제이기 이전에 저작권협회의 전근대적이고 수공업적인 구조의 문제이다.

제일 먼저 이들 기관들부터 한국 음악산업 환골탈태를 위한 길의 선두에 서기를 간곡히 바란다.

덧붙이는 글 | 김평수 (diry@naver.com)
1966년 서울에서 출생한 후 전라남도 순천에서 유년과 청소년기를 보냄. 어릴적부터 딴따라 기질을 보이다가 결국은 대학을 다니면서 전문 딴따라의 길에 들어섰다. 현재 한국문화지형도를 바꾸기 위한 해체와 창작 작업에 몰두하고 있으며 삼성경제연구소 대중문화연구회 포럼시삽, 민예총문화정책연구소 연구원, 개혁국민정당 홍보국 부국장으로 일하면서 추계 문화산업대학원에서 문화산업Analyst 과정을 공부하고 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콘텐츠학 박사. 대학과 연구소에서 문화에 대한 강의와 연구를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