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여주읍에서 여주대교를 건너기 전, 좌측에 보이는 정자를 따라 계단을 오르다 보면 우측 숲 속으로 들어가는 길이 있다. 그 안에는 두 기의 탑이 나란히 서 있다. 하나는 보물 제91호인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창리 삼층석탑이고, 또 하나는 보물 제92호인 여주 하리 삼층석탑이다. 나란히 서 있는 이 두 기의 석탑은 처음부터 이 자리에 있던 것은 아니다. 각각 다른 곳에 있던 것을 이 장소로 옮겨 함께 세워 놓은 것이다.

 

 

난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이 두 기의 석탑을 볼 때마다, 이 자리에 있어야 할 탑이란 생각을 한다. 그것은 마치 두 기의 석탑이 남매같기 때문이다. 보물 제91호인 창리 삼층석탑은 여성적인 멋을 풍기고 있다. 그 모습이 섬세하고 아름답기 때문이다. 거기에 비해 보물 제92호인 하리 삼층석탑은 우직하고 간단한 것이 남성적인 느낌을 받게 만듣다. 그래서 서로 다른 장소에서 옮겨 온 두 기의, 석탑은 원래 그 자리에 오래도록 서 있었던 것처럼 느낌이 온다.

 

 

창리 삼층석탑은 과수원 옛 절터에 있었던 것을 1958년 이곳으로 옮겨왔다. 이 탑은 이층의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렸다. 하층기단은 안상이 새겨져 있고, 갑석 위에는 연꽃이 새겨져 있다. 그 연꽃조각 하나만으로도 이 탑을 충분히 아릅답게 만들고 있다. 몸돌은 1층 몸돌만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고, 나머지는 지붕돌과 탑몸돌이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다.

 

지붕돌은 각각 3단의 받침이 조각되어 있다. 탑의 형태로 보아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이 삼층석탑은, 자리를 옮길 때 윗층 탑몸돌 사리공에서 동제여래입상이 발견되었다.

 

 

창리석탑과는 달리 보물 제92호인 하리석탑은 남성적이다. 무뚝뚝하고 무게가 있어 보인다. 높이 3.7m의 이 탑은 고려시대의 것으로 보인다. 사각형인 이층 기단 위에 삼층의 몸돌을 올렸다. 곁에 서 있는 창리의 석탑보다는 조금 더 크다.

 

 

이 탑도 하리의 옛 절터에 서있던 것을 1958년 이곳으로 옮겨놓은 것이다. 지붕돌 처마가 4단으로 조성된 하리석탑은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형태의 석탑이다. 두 기의 석탑이 나란히 서 있는 것을 보면, 오래 전부터 이 자리에 서 있었던 것으로 착각을 한다. 마치 남매처럼 하나는 여성스럽고, 또 하나는 남성스럽다.

 

 

전국 어디를 가나 만나게 되는 수많은 문화재들. 제 자리를 떠나 엉뚱한 곳으로 옮겨져 보는 이를 마음 아프게 하기도 하는데, 이 두 기의 탑은 오히려 함께 모아놓은 것이 더 자연스럽단 느낌이다. 여주 시가지를 굽어보고 있는 두 기의 탑은 앞으로 또 어떤 모습으로 변모가 될지 궁금하다.


태그:#보물, #삼층석탑, #창리, #하리, #여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