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한 심리학자의 통계에 의하면, "보통 사람의 생활에는 '말을 듣는 일'이 45퍼센트, '말을 하는 일'이 30퍼센트, '읽는 일'이 16퍼센트, '쓰는 일'이 18퍼센트"라고 합니다.

 

통계 수치가 말해 주듯이 가능하면 말은 듣는 쪽에 서서, 먼저 생각하고, 그런 다음에 말을 찬찬히 해야 합니다. 생각과 말과 일은 서로 연계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생각이 없는 말이 있을 수 없고, 말없이 어떤 일이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더구나 일은 시시각각으로 생각을 불러일으키고, 생각은 나름대로 갖가지 말을 만들어내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아이들이 사용하는 말을 엿듣다 보면 정말 아찔할 때가 있습니다. 입말 중에 미처 여과되지 못한 상스런 어른들 말투가 불거집니다. 스펜서는 "어린이야말로 부모의 행위를 비치는 거울"이라고 했습니다. 분명 어린이는 어른의 씨앗이자 거울입니다. 어린이 눈에 비친 어른들 모습 하나하나가 아이의 평생을 두고 또렷이 각인됩니다. 바쁘다는 핑계로, 힘들다고, 귀찮다고 무심코 내뱉는 말 한 마디가 아이에게 심각한 상처를 안겨줍니다.

 

물오리는 날 때부터 헤엄을 치듯이 어린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좋은 말을 하고, 착한 일을 할 수 있는 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좋은 품성을 갖도록 가르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런데도 성급하게 아이를 가르치려 드는 어른들이 많습니다. 어린이들이 하는 일을 일일이 간섭하는 것은 물오리가 헤엄치지 못하게 하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단지 결과만을 바라고 내몰아세우는 것은 교육이 아닙니다.

 

어린이는 부모의 말치레를 비추는 거울

 

그것은 엄청난 혹삽니다. 아이 눈높이에 맞지 않는 교육을 고집하다보니 어른들 말씨가 고와질 까닭이 없습니다. 어른들의 사사로운 집착은 어린이가 천성으로 지닌 모든 정서를 깡그리 잃어버리게 합니다. 어린이는 어른들로부터 든든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또한 어린이는 생명을 비롯한 모든 것에서 가장 자유로울 수 있는 권리를 이미 부여받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를 두텁게 이어주는 다리는 '적극적인 경청'입니다. 자기 이야기만 하는 것보다 남 이야기에 관심을 가져주는 것만으로도 든든한 믿음자리가 됩니다. 오죽했으면 인간관계를 돈독하게 하는 비결이 아홉 가지를 듣고 하나를 얘기하는 데 있다고 했을까요. 상대방이 말할 때는 열심히 경청하며, 끝까지 들어줘야 합니다. 자신의 말이 가로채인다는 것을 느끼는 순간, 아무리 속 좋은 사람이라도 속상한 마음을 떨칠 수 없습니다.

 

대개 말이 많은 사람들을 지켜보면 듣기가 안 됩니다. 말꼬리를 잘라 먹는 사람이 있습니다. 어떤 이야기든 성급해서 끝까지 듣지 못하고, 남을 배려하는 마음이 부족합니다. 때문에 자기 말만 해댑니다. 그런 사람이 곁에 있으면 덩달아 조급해집니다. 삶에 여유가 없는 까닭입니다. 조그만 일이라도 느긋하게 생각하면 그만큼 푸근해지는 데 말에요.

 

무슨 얘기든 하나의 꼭지로, 공통의 화제로 이어져야 하는데, 자꾸만 남의 다리를 긁습니다. 그런데도 똑같은 말만 반복하는 것은 자기 무식함을 드러내는 신호입니다. 머리가 빈 사람일수록 대화가 요란합니다. 사소한 이야기도 뻥뻥 부풀리는 탓이지요. 더군다나 상대방이 싫어하는데도 사족을 다는 것은 참 피곤한 일입니다.

 

사람 사이를 두텁게 이어주는 다리는 '적극적인 경청'

 

자신이 한 말은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말이 씨가 됩니다. 그렇기에 말을 할 때에는 자기가 한 말이 어떤 씨를 뿌리게 되는 지를 생각하며 말해야 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적게 말하고 많이 들어야 합니다. 그래야 넉넉한 사람이 됩니다. 사람의 됨됨이는 그 사람이 내뱉는 말씨로써 가름됩니다. 따뜻한 인간미를 지녔고, 너그러운 심력을 가진 사람은 남을 함부로 대하지 않습니다. 좋은 마음의 바탕을 가진 사람은 결코 남을 홀대하지 않습니다.

 

말은 곧 자신의 속마음을 꺼내서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말은 일단 입을 떠나면 그때부터는 그 말을 다스릴 수가 없습니다. 어떤 말은 평생을 두고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기도 합니다. 말빚을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명심보감에 군평(君平)이 말하기를, "입과 혀라는 것은 화(禍)와 근심의 근본이요, 몸을 망하게 하는 도끼와 같은 것이니 말을 삼가야 할지니라"고 했습니다. 이처럼 말의 중요성은 재삼 강조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말을 하고자 할 때는 먼저 이 말을 해도 괜찮을 것인가를 충분히 생각한 다음 신중히 해야 합니다. 특히 어린아이들에게는 한 치라도 상처를 안겨줄 수 있는 말을 해서는 안 됩니다.

 

말의 중요성은 재삼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아

 

매질로 생긴 상처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스스로 아뭅니다. 하지만 삿된 말, 자존심을 짓밟는 말로써 입은 상처는 영영 지워지지 않습니다. 마음에 각인되어 영원한 상처로 남기 때문입니다. 살면서 사랑한다는 빌미로, 아이들과 아내에게, 부모님과 친구들에게, 직장 동료들에게 얼마나 많은 상처를 남겼을까요. 잠시 생각해 봐도 열손가락을 곱고도 남습니다. 말빚이 너무 많습니다.

 

보통 사람은 스스로 말 빛이 좋지 않아 언성을 높이거나 사사로운 일로 핏대를 돋우는 일이 많습니다. 귀가 얇기 때문에 뜬금없이 쏟아지는 얘기들에 종종 스트레스를 주고받습니다. 듣기에 좋은 말, 부드러운 말만 하고 살 수는 없습니다. 거친 말, 상서로운 말이 실시간으로 쏟아지는 세상에 속 앓지 않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같은 말이라도 때와 장소에 따라 가려 써야겠습니다. 말에도 온도가 있습니다. 그런 까닭에 상대방을 힘들게 하는 말보다 기분 좋게 하는 따뜻한 말로 대해야합니다. 말에도 맛과 향기가 있습니다. 때문에 감칠 맛 나는 말, 향기 나는 말을 더 해야겠습니다. 밝은 음색으로 상대방을 높이고, 가슴에서 우러나는 말을 해야겠습니다. 그게 품위 있는 말이고, 활기 있는 말이며, 자신을 낮춰 겸손하게 하는 말입니다. 

 

좋게 살아야겠습니다. 가까운 사이일수록 부드러운 말로 따뜻하게 감싸 안아야겠습니다. 보다 너그러워져야겠습니다. 단지 말이 말로써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생활 그 자체에서 묻어나는 신선한 향기로 다가서야겠습니다. 아름다운 삶을 영위한다는 것은 자신의 말 그릇을 곱게 부시는 사람에게 가능한 것입니다.


태그:#말씨, #경청, #상처, #인간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박종국기자는 2000년 <경남작가>로 작품활동을 시작하여 한국작가회의회원, 수필가, 칼럼니스트로, 수필집 <제 빛깔 제 모습으로>과 <하심>을 펴냈으며, 다음블로그 '박종국의 일상이야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김해 진영중앙초등학교 교감으로, 아이들과 함께하고 생활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