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노동자 분신정국관련 민노당 소속 구청장, 시구의원 기자회견
ⓒ 김완휘

민주노동당 울산시지부(지부장 김창현)는 29일 오전 11시 울산광역시청 프레스센타에서 '노동자 분신정국 관련 구청장 및 시, 구의원 긴급기자회견'을 가지고 손배·가압류 철회 및 비정규직 차별철폐 등의 노동탄압 정책의 즉각적인 중단과 노동생존권 보장을 요구했다.

회견문을 낭독하기에 앞서 이상범 북구청장은 "울산은 대표적인 산업도시, 노동자 도시로 노동현안 문제는 곧 지역사회의 문제와 직결되고 노사관계의 안정은 지역사회발전의 큰 힘"이라고 전제한 뒤 "하지만 고 배달호 노동자 분신이후 고 김주익, 이해남 그리고 이용석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노동자들이 분신을 선택하고 있고 특히, 울산지역에서는 지난 화섬3사 파업이후 효성, 태광, 고합 노동자들은 회사측의 정리해고와 손배·가압류로 인해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는 심각한 상황에 처해있다"고 말했다.

이 구청장은 이어 "이러한 상황은 정부의 신자유주의 노동탄압정책의 철회와 사측의 부당한 손배 및 가압류가 철회되지 않는다면 막을 수 없을 것이며 이는 곧바로 국가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노사 및 정부간의 불신으로 인해 국민화합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하게 될 것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공직자의 신분으로 노무현 정부에게 우리의 입장을 전달하고 전향적인 노동정책을 촉구하기 위해 자리를 마련한 것"이라며 취지를 설명했다.

이갑용 동구청장은 회견문을 통해 "생사기로에서 끝없이 이어지는 노동자들의 처절한 죽음 앞에 민노당 소속 공직자로서 안타까움과 비통한 심정을 금할 수 없으며 사람답게 살고자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를 주장하는 노력이 마지막에 죽음으로 항거해야 하는 기막힌 현실에 분노를 느낀다"고 말했다.

이 구청장은 또 "협상을 포함한 모든 쟁의행위의 끝은 회사측의 노동자들에 대한 손해배상과 가압류로 귀착되고 있으며 노무현 정부의 노동정책은 비정규직의 대량양산을 낳고 있다"며 "노동자 자살과 분신항거는 단순히 몇 개 사업장, 몇몇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노동자들의 잇단 자살과 분신의 원인은 노무현정부의 손배가압류 및 노동탄압정책과 비정규직 차별정책 때문이라는 점이 분명하다"며 "전국 46개 사업장에 1,481억의 손해배상 소송과 노정권 출범이후 8개월간 무려 138명의 노동자 구속, 파업현장에 5차례의 공권력 투입은 그 뚜렷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이러한 참극을 막기 위해서는 '노동3권에 대한 손배가압류 금지법 제정'과 '정부의 일방적 노사관계 개혁 중단 및 비정규직 차별철폐, 부당노동행위 사업주 처벌강화'에 대한 특단의 대책수립을 통한 동반자로서의 노사관계 정립"을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장에는 민노당 소속 현직 구청장을 비롯해 홍정련 시의원, 김진영 북구의회의장 등 10여명의 시, 구의원들이 참석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