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조상연

관련사진보기


사랑하는 두 딸에게.

나중에 아주 나중에 애비가 죽고 없을 때, 한줌 재가 되어 세상에 없는 애비가 그리울 때, 사는 게 막막하다며 괜한 눈물 그렁그렁하지 말고 살아생전 아비가 읽던 시집을 읽어보아라. 시집 쪽마다 애비의 침이 묻어있고 행간마다 묻어있는 애비의 숨결과 눈물을 만지다보면,

때로 밑줄 그어진 행간을 만나 죽은 애비를 본 듯 반가워하다보면, 겨우내 굳은 땅을 박차고 올라오는 새싹처럼 힘이 솟고 마음이 편안해지지 않겠느냐?

미안하구나. 55평짜리 아파트라도 물려주었으면 좋으련만 그 잘난 시집 수천 권이 뭔 소용이랴? 미안하구나. 그래도 아비는 시집 한 쪽 한 쪽 넘길 때마다 '사랑'이라는 시어가 나오면 혼자 웃기를 여러번이었느니...

"나두 딸 둘을 이렇게 사랑했는데, 나두 그랬는데..."

▶ 해당 기사는 모바일 앱 모이(moi) 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모이(moi)란? 일상의 이야기를 쉽게 기사화 할 수 있는 SNS 입니다.
더 많은 모이 보러가기


태그:#모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편안한 단어로 짧고 쉽게 사는이야기를 쓰고자 합니다. http://blog.ohmynews.com/hanast/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