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훈 시대전환 의원
남소연
기사를 읽고 처음에는 궁금증이 들었다. 뻔히 놓여 있는 문제를 외면하고 왜 저 단계까지 가서 답을 찾으려 했을까. 육아를 하는 맞벌이 가정에서 일과 가정의 양립에 어려움을 겪어 결국 여성이 자신의 경력을 포기하는 걸 막으려면 이미 주장된 해법만으로도 가능하다. 일단 노동 시간을 줄이고 출퇴근 유연제를 정착시키면 된다. 맞벌이를 하는 다른 한쪽, 남성들 또한 육아와 가사 노동을 공평히 분담하도록 만들면 된다.
공공보육 시설을 확충하고 보육 교사들이 과로 없이 자신의 전문성을 충실히 발휘할 수 있도록 인력을 충원하고 급여를 적정한 수준으로 지급하면 된다. 즉, 여성에게 할당된 육아와 가사 노동의 무게를 분담하고 그 일을 할 시간을 주면 된다. 이런 해결책은 새로운 것도 아니다. 이미 오랜 시간 주장되어 왔다. 외국인 가사 노동자를 생각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왜 조정훈 의원은 엉뚱한 곳에서 말도 안 되는 '해법'을 찾으려고 한 걸까. 너무나 궁금한 마음에 동료들과 점심을 먹으며 질문들을 쏟아냈다. 그러자 내 이야기를 듣던 동료 하나가 이렇게 얘기했다.
"제일 간단하잖아요, 누구도 설득할 필요가 없고 대부분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거고."
뒤통수를 맞는 느낌이었다. 그 말이 맞았다. 노동 시간을 줄이려면 결국 기업과 협상해야 한다. 공공시설과 운영인력 확충을 위해 세금을 더 쓰려면 정부 부처는 물론 국민들을 설득해야 한다. 맞벌이 부부 중 유독 여성에게만 육아와 가사노동의 쏠림이 심한 문화를 바꾸려면 한국 사회의 구성원들을 설득해야 하고 사실 그들 중 대다수는 남자들일 것이다.
논쟁도 협상도 없이 간단히 해결?
하지만 그들이 순순히 정치인의 말을 따를까. 당연히 반대와 반발이 심하고 비난과 공격까지 이어질 것이다. 하지만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최저임금을 주지 않고 가사와 노동을 맡길 수 있도록 만들면 앞서 말한 모든 저항을 피함과 동시에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여성의 경력 단절 문제를 '해결'했다는 '정치적 치적'을 쌓을 수 있다(물론 실질적으로는 해결이 아니라 폭탄 돌리기에 불과하다).
갖은 편법을 동원해 외국인 노동자들을 말도 안 되는 저임금으로 부려 먹는 일이 지금도 한국 사회에는 비일비재하다. 또한 이런 상황에 자주 노출되는 동남아시아권 외국인이나 한국계 중국인에 대한 멸시와 차별도 심한 편이다. 매우 슬프게도 이런 이들에게 최저임금조차 주지 말자고 주장한들 강한 반발이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다. 한마디로 이들은 한국 사회의 약한 고리다.
사회적 약자를 희생시켜 문제를 해소하고 어떠한 논쟁도 협상도 하지 않는 것. 이건 아주 조용하고 간단한 문제 해결 방식이다.
하지만 다시 돌아보자. 이런 행위를 과연 진정한 의미의 정치라고 볼 수 있을까. 한국을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보면 지금과 같은 일들은 종종 벌어져 왔다. 그리고 그런 일들은 과정도 비인간적이었거니와 결국에는 정치를 오염시켜 사회가 파국으로 치닫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단순한 기우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 한국 사회는 지금도 특정 국가 출신의 외국인을 비롯하여 사회적 약자에 대한 멸시와 배제가 심한 곳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치인이 해야 할 일은 기울어진 사회의 반대편에서 무게를 잡고 모두가 함께 인간적인 삶을 살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하는 게 아닐까. 그 과정이 아무리 복잡하고 어렵고 격렬하다고 해도 말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