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반도체 열네 번째 특별과외] 삼성과 SK하이닉스 손발 묶었는데...'금지'와 '제한', '허용'과 '보장'으로 발표
[반도체 열세 번째 특별과외] 2030년까지 탄소중립 이루겠다는 애플 CEO 팀 쿡
[반도체 열두 번째 특별과외] '전략 마련이 먼저'라는 산업연구원, '삽질부터 하겠다'는 정부
[반도체 열한 번째 특별과외] 중국의 7나노 반도체 개발의 의미... 그리고 우리의 대책
[이봉렬 in 싱가포르] 노인보호구역을 넘어 보행자에게 '친근한 거리'를 꿈꾸는 싱가포르
[공개 질의]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안전과 책임을 묻는다
[이봉렬 in 싱가포르] 그럼에도 불구하고 싱가포르가 한국보다 청렴하다 평가 받는 이유
[반도체 열 번째 특별과외] 대통령이 중국과 싸울 때 유럽은 중국에 팹을 짓는다
[이봉렬 in 싱가포르] 중국 다음 큰 수출시장 아세안 시장 위기 징후... 8개월 연속 동기 대비 수출 감소
[반도체 아홉번째 특별과외] 중국의 마이크론 제재에 맞춰 윤 대통령이 해야 할 일
[반도체 여덟번째 특별과외] 원전 전원 내리는 독일, 새로 짓는 한국
[반도체 일곱번째 특별과외] RE100 홈페이지에 떠 있는 두 개의 태극기 민망
[반도체 여섯 번째 특별과외] 블랙핑크에 묻히는 한국 반도체의 운명
[반도체 다섯 번째 특별과외] 일본 소부장 업체 유치는 한국 소부장 산업에 대한 자해
[반도체 네 번째 특별과외] '300조 반도체 공장 건설'의 실상
이란을 적으로 만들고, UAE를 난처하게 만든 대통령의 망언
[이봉렬 in 싱가포르] 엘리베이터에 진심인 싱가포르와 방송 진행자의 위험한 농담
[이봉렬 in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새 총리 안와르의 40년 정치인생
인구 580만 명의 도시국가 싱가포르. 적도선 아래의 작은 섬나라지만 국가경쟁력 1위, 세계공항순위 1위, 대학평가 아시아 1위, 1인당 국민총소득(GNI) 3위 등 결코 작지만은 않은 나라입니다. 반면에 언론자유지수 158위에 태형과 사형이 집행되는 독특한 나라이기도 합니다. 멋진 도시 국가라는 의미와 벌금의 도시라는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는 Fine City 싱가포르의 모습을 통해 한국이 타산지석 삼아야 할 게 어떤 게 있는지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15년째 싱가포르에 살고 있는 이주노동자. 어린이 교양지 <고래가 그랬어>에 글을 연재한 것과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 올해의 뉴스게릴라로 뽑힌 것을 가장 자랑스럽게 여기며 사는 반도체 회사의 노동자입니다.
10만인클럽
프리미엄
민족·국제ㅣ기사 1 NEW
민족·국제ㅣ기사 10
연재
미디어ㅣ기사 2
민족·국제ㅣ기사 11
사회ㅣ기사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