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증원 2천명 고수 방침에 또다시 나온 익숙한 그 이름

누리꾼들, 의대 증원 포함해 정부 정책의 숫자 2000 관련성 주목... 천공과의 연관성 제기

검토 완료

박성우(ahtclsth)등록 2024.03.28 09:46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전국의대교수협의회 회장단과 간담회를 한 후 윤석열 대통령은 강경 태도를 벗어나 미복귀 전공의들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을 두고 "당과 협의해 유연한 처리 방안을 모색해 달라"고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당부했다.
 
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2천 명이라는 의대 증원 수만은 고수하겠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7일 취재진으로부터 증원 인원 조정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2천 명 증원은 대학별 배정이 완료된 상황"이라며 선을 그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이러한 정부의 증원 수 고수 방침에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안철수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26일 "정부는 꼭 2천 명이 아니면 안 된다. 한 명도 물러설 수 없다'는 태도를 버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천 선대위원장인 윤상현 의원 또한 2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2천명이라는 숫자에 얽매여 대화의 끈을 놓치지 않도록 당 지도부가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해하기 힘든 2천 명 고수 방침에 누리꾼들 "천공 본명 이천공... 설마 또" 
  

한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2천 명이라는 정부의 증원 수에 주목했다. 비단 의대 증원뿐만 아니라 정부가 주도하는 사업 중 숫자 2천과 관련된 것이 많다는 것. 누리꾼들이 언급한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 ⓒ 구글 검색 갈무리

 
한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2천 명이라는 정부의 증원 수에 주목했다. 비단 의대 증원뿐만 아니라 정부가 주도하는 사업 중 숫자 2천과 관련된 것이 많다는 것. 누리꾼들이 언급한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
 
▲의대 증원 2천명 ▲늘봄학교 2천개 증설 ▲6급 이하 공무원 직급상향 2천 명 ▲학폭 수사관 2천 명 투입 ▲비수도권 청년 취업지원 2천 명 ▲장병급식비 2천 원 인상 ▲2024 국민 신년음악회 초청 인원 2천 명 ▲대구 로봇테스트필드 2000억 원 투입 ▲인천대교 통행료 2천 원으로 인하
 
심지어 일부에서는 27일 윤 대통령이 서울 중구 명동성당에 있는 무료급식소 '명동밥집'에 쌀 2톤(2000kg)을 후원한 것 역시 숫자 2000과 연관이 있는 것 아니냐고 언급했다.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의 멘토를 자처한 천공이 2019년 본명을 이천공으로 개명한 것을 언급하며 천공과의 연관성을 얘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한 에펨코리아, 클리앙 등 인터넷 커뮤니티의 댓글 반응은 뜨겁다. "다른 사람이면 말도 안 된다 할 텐데 손바닥에 왕자 쓰고 토론 나가던 사람이라"(에펨코리아, wm****), "내 그럴 줄 알았다 미신 아니면 저 똥고집 말이 안 되지"(에펨코리아, 솔***), "천공이 2천이 길한 숫자라고 어딘가에서 지껄였을 것"(클리앙, 다크***) 등 믿기 힘든 얘기지만 과거 윤 대통령의 행적을 생각하면 혹시 모른다라는 반응이 다수였다.
 
또 일부 누리꾼들은 2천이라는 수가 대부분 증원, 증액 등 혜택 사업인 점을 언급하며 정부가 2천이라는 숫자에 무의식적으로 긍정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 아니냐고 의구심을 제기했다.

윤 대통령 억울할 수 있지만... 정부의 아집 향한 국민의 충고로 생각하라
 
정부가 시행하는 사업은 그야말로 부지기수다. 그중 특정 숫자를 지목해 관련성을 찾다보면 사례가 다수 발견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우연의 일치임에도 누리꾼들이 이런 얘기를 하는 이유에 주목해야 한다. 의대 증원과 관련해 유연하게 나서겠다면서도 2천 명이라는 증원 수를 고수하는 정부의 이해하기 힘든 태도에 누리꾼들이 나름의 해답을 찾아 나선 셈으로 봐야 한다.
 
그렇게 나온 나름대로의 해답이 바로 '대통령의 멘토' 천공과의 연결이다. 대통령실 이전 문제부터 서울-김포 편입론에 이르기까지 윤석열 정부의 이해하기 힘든 행보마다 천공과의 연관성이 제기된 바 있는 상황에서 천공의 본명이 이천공이라는 사실이 기폭제가 된 것이다.
 
물론 누리꾼들의 의혹 제기는 뚜렷한 물증이 없는 심증에 기반한 것이다. 나쁘게 말하면 음모론적이고 가짜뉴스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가 시중에 떠도는 근본적인 원인은 계속되는 의료 파국으로 환자들이 고통에 처하고 있음에도 2천 명이라는 수를 고집하며 의사들과 대화의 물꼬를 틀 생각조차 하지 않는 정부에 있다.
 
언론이라면 방심위를 통해 가짜뉴스라고 제재할 수 있다. 허나 알음알음 퍼지는 얘기들마저 가짜뉴스라고 제재하고 처벌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윤 대통령으로서는 나름의 신념을 갖고 추진한 사안에 대해 이런 얘기가 나도는 것이 억울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억울함을 해결할 사람은 결국 윤 대통령 자신밖에 없다. 아집을 버리라는 국민의 충고라고 생각하길 바란다.
 
 
 
  •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