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조선일보 창간 88주년 특집기사
 조선일보 창간 88주년 특집기사
ⓒ 민주언론시민연합

관련사진보기


3월 5일은 <조선일보>가 스스로 '창간기념일'이라고 '기념'하는 날이다. 올해로 <조선일보>는 창간 88주년을 맞았다고 한다. <조선일보>는 3월 5일자 신문을 100페이지로 발행하고 본지에서만 10개 지면을 털어 창간 기념 기사를 쏟아냈다.

그 가운데 특히 25면 전체에 실린 <건국 60년… 역사의 현장마다 조선일보가 있었다>는 <조선일보>의 과거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들은 도저히 평상심을 유지한 채로는 읽을 수 없을 정도로 황당무계한 기사이자, 역사 앞에 반성할 줄 모르는 그들의 뻔뻔스러움을 그대로 드러낸 기사였다.

"건국 60주년, 1948년부터 2008년까지 대한민국의 현대사는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자유와 평등의 원칙을 정착시켜 나간 험난한 피와 땀과 눈물의 여정이었다"며 건국 이후 역사를 나열했지만, 그 이전 시기에 보여 준 <조선일보>의 친일 역사는 쏙 빼버렸다.

자신들의 과거 행태를 은폐·왜곡 보도하는 조선일보

'5·16 군사쿠데타'가 일어나던 때 <조선일보>의 기사를 두고 "군부의 검열에도 '쿠데타' 용어 사용"이라는 제목을 달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1면 제목과 사설에서 헌정 중단 사태를 빚은 군부의 불법 행동을 의미하는 '쿠데타'라는 용어를 쓴 것"은 "독자들로 하여금 행간에 숨은 뜻을 읽게 하려는 노력이었다"고 포장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조선일보>의 변명인지 착각인지 헤갈리는 주장은 자기 존재의 부정에 불과하다. 실제 <조선일보>는 불과 한 달여 전 현직 정치부 차장이 쓴 칼럼(1월 30일자 김창균 칼럼 '08학번에 들려주는 80학번의 추억')에서조차 "5·16 군사혁명 세력이 그 시대의 유행이었던 사회주의 자립노선 대신 수출 주도노선에 올라탄 것"이라고 설명하는 등 21세기가 된 지금까지도 '5·16'을 쿠데타가 아닌 '혁명'으로 부르고 있다.

유신이 선포된 1972년 기사를 소개한 대목도 어처구니없다. 조선은 당시 자사 보도에 대해 "'유신'에 대한 진의 파악이 어려웠던 가운데 이 조치를 지지하는 기사와 광고만이 지면에 살아남았다"며 유신을 찬양한 기사가 나온 이유를 유신정권의 검열 탓으로 돌렸다.

유신이 선포된 바로 다음 날인 1972년 10월 18일 사설 '평화통일을 위한 신체제'에서 "앞으로의 보다 보람되고 영광스러운 삶을 얻기 위하여 진정 알맞은 조치임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가장 적절한 시기에 가장 알맞은 조치"라고 자발적·적극적으로 유신을 합리화시켜준 '군부독재 부역신문'이 과거에 대한 반성은 전혀 하지 않고 '어쩔 수 없었다'는 변명으로 일관한 것이다.

이밖에도 <조선일보>는 87년 6월 항쟁과 관련해 당시(6월 12일) 기사 제목에 "'개헌 논의 재개하라'는 제목을 달았다"며 마치 자신들이 시민들의 '호헌철폐'에 동참한 것처럼 표현하고 있다. 또한 IMF 국가부도 이틀 전까지 "외환위기 아니다"며 앞장서 위기 상황을 축소 은폐했으면서도 "지면을 통해 국민들이 용기를 되찾을 수 있도록 노력했다"고 자평하기도 했다.  '이회창 대통령 만들기'를 했다고 비판받았던 97년 당시 대선보도에 대해서는 "후보들의 정책과 국가관을 국민에게 소상히 알리려 노력했다"고 강변하기도 했다.

5·18 광주항쟁 당시 보도마저 반성하지 않는 뻔뻔스러움

광주항쟁 관련 조선일보 기사
 광주항쟁 관련 조선일보 기사
ⓒ 민주언론시민연합

관련사진보기


이만큼의 왜곡과 지난 역사에 대한 호도만으로도 모자라, 5·18 광주항쟁에 대한 표현에 와서는 자기 부정의 극치를 보여주었다. <조선>은 5·18 광주항쟁 당시 자사의 보도를 단 201자로 왜곡 정리했다.

<조선>은 우선 80년 5·18 광주항쟁 당시 자신들의 기사가 "통제 속에도 상황 전하려 애써" 본 것이라고 표현했다. 기사는 당시 "통제로 인해 기사가 나올 수 없었던 21일자에도 '신현확 내각 일괄 사표' 기사에 '최근 소요사태 인책'이란 부제를 달아 간접적으로 광주의 비극을 전하려 애썼다"고 주장했다. 또한 "31일자에는 '광주 시민 전체를 폭도로 몰지 말라'는 현지 반응을 실었다"며 마치 당시 <조선>이 광주 시민의 입장을 대변한 것처럼 평가하기까지 했다.

<조선일보>는 주필을 지낸 김대중 기자가 쓴 1980년 5월 25일자 '바리케이드 너머 텅빈 거리엔 불안감만,「무정부 상태 광주」1주'에서 "쓰러진 전주, 각목, 벽돌 등으로 쳐진 바리케이드 뒤에는 총을 든 난동자들이 서성거리고 있는 것이 멀리서 보였다"며 광주시민을 난동자로 표현하는가하면, 같은 날 사설에서는 "(남파 간첩들이) 민심을 흉흉케 함으로써 사태를 격화시켰으리라는 것도 십분 짐작이 가기도 한다"며 "피 흘림을 보고, 불길이 솟고 군중의 격앙된 심리상태에서 이성을 잃게 되면 냉철한 판단력이 요구되는 분별력이 없는 법이다"고 주장해 광주항쟁을 이성을 잃은 사람들의 분별없는 난동으로 표현하기까지 했다.

또 5월 28일 사설에서는 "30년 전 6·25의 국가적 전란 때를 빼고는 가장 난삽했던 사태에 직면한 비상계엄군으로서 군이 자제에 자제를 거듭했던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다"며 "신중을 거듭했던 군의 노고를 우리는 잊지 않는다"고 학살자들을 두둔하고 미화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노골적이고 낯 뜨거운 '전두환 찬양'에 여념이 없었던 <조선일보>가 "간접적으로 광주의 비극을 전하려 애썼다"고 '자평'하고 있으니 도대체 이것이 있을 수 있는 일인가.

<조선일보>의 변화를 촉구한다

<조선일보> 직원들은 집단적인 기억상실증에라도 걸린 것일까?

민언련은 지난 2003년 <조선일보>가 창간 83주년을 맞아서 낸 '창간특집기사'에 대해서도 "왜곡으로 점철된 기사"라며 "창간특집기사에서조차 자신을 합리화하기 위해 왜곡보도를 일삼는데 대해 우리는 분노를 넘어 안쓰러움을 느낀다"고 논평을 통해 충고한 바 있다.

5년이 지난 지금도 그때 버릇은 여전히 고쳐지지 않았고, 오히려 더욱 심해졌다.  <조선일보>가 아무리 추악한 자신의 과거를 감추고 싶어 하더라도 역사의 심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 <조선일보>가 변화하지 않는다면 '창간 100주년'이 되더라도 축하는커녕 비난만 자초할 뿐이다.


태그:#조선일보, #민언련, #518, #광주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