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주변에 아주 바지런한 후배 교사가 있다. 수학을 가르치는 이 김 선생은 인터넷 아이디를 전공과는 한참 거리가 먼 '탑도리'로 쓴다. 짐작했겠지만 그는 탑에 대한 공부가 깊어 그 내공이 이미 수준급이다.

내가 탑을 새롭게 바라보게 된 것은 유홍준의 '답사기'를 읽고, 해질녘의 '감은사탑'을 마음속에 담아 두면서부터지만, 탑에 대해 두어 마디라도 지껄일 수 있게 된 것은 두어 번 그와 함께한 '탑 기행' 덕분이다.

▲ 낙산리 3층석탑. 보물 469호. 통일신라시대의 ‘아름답고 장엄한’ 석탑이다. 죽장리 5층석탑과 같이 모전석탑 계열이다. 구미시 해평면 낙산리에 있다.
ⓒ 장호철
그는 탑의 구조에서부터 역사, 시대별 양식과 특징 등을 뚜르르 꿰는 사람이지만, 나는 여전히 탑을 '멋있는 탑'이나 '마음에 드는 탑' 정도로 가려서 바라보는 '초짜'이고, 다만 탑이 침묵으로 증언하는 오래된 시간과 역사를 느꺼워하는 사람에 불과하다.

애당초 내게 탑에 관한 남다른 관심이 있었던 것은 물론 아니다. 그것은 내가 살고 있는 땅의 풍경과 숨결을 더듬어보다 얻은 가외의 소득에 가깝다. 안동과 인근 지역을 돌다가 나는 버려진 유적처럼 서 있는 아름다운 탑 여러 기를 만날 수 있었던 것이다.

탑들이 감내한 숱한 세월과 그 시간의 지층 속에 서려 있는 서원

▲ 죽장리 5층석탑. 국보 130호. 통일신라시대. 높이 10m로 5층석탑으로는 국내서 가장 크다. 지붕돌 경사면이 층단을 이루는 형태여서 모전석탑 계열로 본다. 구미시 선산읍 죽장리에 있다.
ⓒ 장호철
바람처럼 스쳐가는 풍경일지라도 사진에 담기면 그것이 전해주는 사연은 새록새록 깊어지기도 한다. 그렇듯 우연히 만난 탑들을 이미지로 갈무리하게 되면서 나는 그 탑들이 감내한 숱한 세월과 그 시간의 지층 속에 여전히 서려 있는 서원(誓願)을 하나씩 이해하게 되었던 듯하다.

무심한 이에겐 한 무더기의 돌 구조물에 지나지 않을 터이지만, 탑이 전하는 사연은 부처의 나라를 꿈꾸는 서원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한 시대의 흥망성쇠뿐만 아니라, 그 시대가 담고 있던 정신의 지향과 민심의 흐름 따위를 알려주기도 한다. 탑의 양식적 특징을 통해서 한 시대의 미적 규범이나 그것을 규정짓는 변수 따위를 짐작할 수도 있음도 물론이다.

고려의 건국은 석탑의 발전 과정에서 일정한 전환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 신라시대의 탑이 신라의 정치적 통일에도 주로 왕도 경주 인근에 밀집해 있었던 데 반해, 고려에 들어와서는 전국적으로 확산 분포된 것이다. 이는 절정에 이른 불교의 교세, 태조의 훈요십조에도 반영되어 있는 도참사상의 영향, 국가적인 조영(造營)에 의해 탑이 세워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 개심사지 오층석탑. 보물 53호. 예천읍 남본리, 삼거리의 논 한가운데 서 있다. 지방민들의 발원으로 지어진 탑으로 고려시대 석탑의 양식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 장호철
신라는 왕도 중심으로 일률적으로 탑을 지었던 데 비해 고려에서는 각 지방 토착세력이 건탑에 관여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대의 조탑 활동에 순수한 지방 세력과 민중이 대거 참여했다는 사실은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안에서 발견된 조성형지기(造成形止記)와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의 명문 등으로 증명된다. 탑이 국가나 왕실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지방민의 발원에 의하여 지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보물 357호. 현재 국립대구박물관에 있다. 탑에서 발견된 문서에 탑의 인연·시납, 공사의 사실 등이 기록되어 있다.
ⓒ 문화재지식정보센터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고려시대의 탑에서 과거의 일률적 규범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식적 특징을 드러내는 실마리가 되었다. 지방적 특색을 별로 찾아볼 수 없었던 전 시대와는 달리 이 시대에 이르러서는 지방별로 특징적 양식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경북 예천군 예천읍 남본리의 개심사지(開心寺址) 오층석탑(보물 제53호)은 바로 그러한 조형 양식상의 변화를 보여주는 고려 석탑이다. 이 탑에 드러난 변화는 물론 전체적인 변형이 아니라, 기단에 그 윗면의 몸돌을 받치기 위한 연꽃무늬의 괴임돌을 놓아 마치 공예탑과 같은 인상을 주는 정도의 부분적인 변화다.

개심사는 신라말이나 고려 초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나 그 역사나 폐사연대는 전하지 않는 절인데, 탑 주변에 절터의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1010년(현종 원년)에 세워진 이 탑은 예천읍의 동쪽을 흐르는 한천 건너편 논 가운데 서 있다. 높이 433㎝. 기단 폭 215㎝. 그 규모가 작은 편이 아닌데도 전체적으로 주는 인상은 '아담하다'.

고운 흙모래처럼 차분한 빛깔 띠고 있어 주변 풍경에 살갑게 녹아들고...

▲ 개심사지 오층석탑. 전 시대와 달라진 것은 이층 기단에 그 윗면의 몸돌을 받치기 위한 연꽃무늬의 괴임돌을 놓아 마치 공예탑과 같은 인상을 준다는 것이다.
ⓒ 장호철
이 같은 인상은 체감률이 높지 않아서 느껴지는 비례감이나, 층마다 4단의 받침을 둔 지붕돌[옥개석]에 뚜렷한 반전(反轉)이 탑의 몸피를 날렵하게 보이게 한 데서 말미암은 듯하다. 탑의 돌 빛도 그런 인상에 일조한다. 해거름 햇살 속이어서일까. 그것은 고운 흙모래처럼 차분한 빛깔을 띠고 있어 주변 풍경에 살갑게 녹아들고 있었다.

탑의 기단은 2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을, 위층 기단은 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 팔부중상(八部衆像)을 새겨놓았다. 이 위층 기단의 갑석(기단의 윗면을 덮는 석판)의 밑면에 이 탑의 조성연대를 기록한 석탑기(石塔記)가 있다.

석탑기의 명문에 따르면 이 탑은 1010년 이월 초하루에 짓기 시작하여 이듬해 사월 초파일에 완성되었다. 조탑에 참여한 것은 예천군과 그 속현인 다인현(현재는 의성군)의 향도였던 미륵향도(彌勒香徒), 추향도(椎香徒) 1만여 명이었으며, 지방 호족들에 의해 광군(光軍) 조직까지 동원되었다 한다.

일찍이 김유신의 화랑도 조직인 용화(龍華) 향도로부터 비롯된 향도의 활동은 불상·종·석탑·불화·사찰의 조성 등으로 주로 불교신앙과 관련된다. 그 구성원은 승려와 일반 신도였는데, 그중에는 촌주(村主) 등 지방 유력 층도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지방 세력들은 향도를 자신의 세력기반을 확충하는 데 이용했다.

고려 전기에는 향도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게 되었는데, 향도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정치 공동체화되는 사례로 이 탑의 건립에 참여한 두 향도의 경우를 들기도 한다. 이 탑의 건립에 지방 통치를 맡고 있었던 호족들이 조직한 지방군으로, 일종의 예비군이라 할 수 있는 광군이 동원되었다는 것은 나말여초의 주요 세력이었던 지방 호족의 위상을 가늠케 해 준다.

6년이 모자란 1천년 세월에 그 발원은 어디에 머물렀는가

▲ 예천읍 시가지 전경. 왼쪽이 내성천 지류인 한천. 개심사지 오층석탑은 강 이쪽에 있다.
ⓒ 김수철
해거름 무렵의 예천 삼거리는 한산하다. 예천은 면적 661㎢, 인구 5만여 명(2004), 동쪽은 안동시·영주시, 남쪽은 의성군·상주시, 서쪽은 문경시와 접하고 북쪽은 충청북도 단양군과 경계를 이룬 1읍 11면의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다. 동북쪽은 소백산맥의 산악지대, 서남쪽에는 낙동강과 내성천변에 일부 평야를 끼고 있다.

'수주촌(水酒村)'이라는 이름으로 기록(삼국사기)에 처음 등장한 예천이, 지금의 이름을 갖게 된 것은 통일신라 경덕왕 때다. 고려 태조 때 보주(甫州)와 양양(襄陽) 등으로 불리다가 조선조 태종 때에 다시 옛 이름을 되찾았다. 예천에는 고려 태조와 관련된 전설이 전하는데, 후삼국통일 과정에서 여러 차례 왕건과 인연을 맺은 안동 지역과 견주어지기도 하는 대목이다.

▲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보물 426호. 통일신라 후기 작품이다. 뒤에 보이는 불상은 동본리 석조여래입상(보물 427호). 절터임이 분명하나 도량의 흔적은 묘연하다.
ⓒ 장호철
태조가 삼한 통합의 큰 뜻을 품고 당대의 고승 두운대사를 방문하고자 예천에 왔을 때, 쌍룡이 나타나 절로 가는 길을 인도하였다 하여 명명된 용문산, 용문사(龍門寺)가 이 지역에 있다. 왕건이 세운 고려왕조가 각 지방에 할거하고 있던 호족세력과의 연립 정권이었다는 사실과 그것은 어떤 인과 관계를 맺은 것일까.

지방 호족들과 독실한 불자들의 조직인 향도 1만명이 발원해 세운 탑 주변을 어슬렁거리며 거기 고인 세월과 역사의 부침을 헤아려 본다. 석탑기의 명문에 이르기를 탑은 "사방으로 널리 몸과 마음을 위하여(四弘爲身心), 위로 부처님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上報之佛恩), 국가를 위하고 공덕을 바르게 하기 위하여(爲國正功德), 일체의 만물에 퍼지게 하기 위하여(普及於一切)" 세운다고 했으니 6년이 모자란 1천년 세월에 그 발원은 어디에 머물렀을까.

읍내를 가로지르는 한천 북쪽 둑 너머 석조여래입상(보물 427호)앞에 동본리 3층석탑(보물 426호)이 서 있다. 탑과 불상이 남아 있으니 절터였음이 분명하지만, 도량의 흔적과 그 이름은 묘연하다. 규모가 그리 크지는 않지만, 몸돌이 줄어드는 비율과 지붕돌의 크기 등에 '짜임새가 있는 아름다운 탑'으로 평가받는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수가 줄어들고 있는 점이나 각 부분의 아래에 새긴 괴임돌이 간략해진 점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에 건립된 탑으로 문경시 가은읍에 있는 봉암사의 석탑들과 비슷한 형식이라 한다. 개심사지의 오층탑에 비하면 나이를 좀 더 먹은 셈인데 그래서인가, 이 화강암 탑은 매끈하기보다는 좀 거칠고 질박한 느낌이다.

한미FTA 반대 현수막에 서린 농심은 지치고 고단하다

▲ 시가지에서 삼거리로 빠지는 한천교. 예천군 깃발과 함께 노란 색 FTA 반대 깃발이 나부끼고 있고, 인도엔 허리가 몹시 굽은 안노인 한 분이 힘겹게 걷고 있다.
ⓒ 김수철
무엇보다 탑 오른쪽을 막아선 한천의 둑길과 보호구역을 삥 둘러싼 철책 때문에 탑은 옹색하고 답답해 보인다. 탑 뒤편은 비닐하우스, 왼편은 주택가가 이어지고 있다. 예천에 살고 있는 이들에 따르면 예천은 통일신라 때부터 절집이 지천으로 세워져 있었다 한다. 얼마만큼 근거 있는 얘기인지는 확인할 길 없으나, 이 땅 어디인들 불국토를 꿈꾸지 않은 고을이 어디 있으랴.

다시 삼거리로 나와 길게 그림자를 늘어뜨린 개심사지 5층탑을 한참 동안 바라보았다. 동본리와 지척에 새로이 5층탑을 쌓으며 이 땅의 1만여 불자들이 그린 '부처님의 나라'는 여전히 멀다.

시가지 곳곳에 내걸린 한미FTA 반대 현수막에 서린 농심은 지치고 고단하다. 볼품없이 세워진 인근의 낮은 빌딩과 음식점 따위에 둘러싸였지만 돌탑은 외롭고 고적했다. 마지막 석양을 온몸으로 비켜 받으며 돌탑은 바야흐로 그가 건너온 천 년의 세월 속으로 침잠하고 있었다.

태그:#구미 낙산리 3층석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쉰이 넘어 입문한 <오마이뉴스> 뉴스 게릴라로 16년, 그 자취로 이미 절판된 단행본 <부역자들, 친일문인의 민낯>(인문서원)이 남았다. 몸과 마음의 부조화로 이어지는 노화의 길목에서 젖어 오는 투명한 슬픔으로 자신의 남루한 생애, 그 심연을 물끄러미 들여다보고 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