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집단가무 놀이 형태의 볏가리대. 한해의 안녕과 풍요를 빌며 공동체 의식을 다지는 계기가 된다.
ⓒ 태안농협기술센터
음력 1월15일 정월대보름은 '가장 큰 보름'이란 뜻으로 예로부터 새해의 안녕과 풍요를 비는 뜻 깊은 날로 여겨왔다. 중국에서는 정월대보름을 도교적 관점에서 '천관(天官)'이라 하였는데 이는 '복을 내리는 날'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이 날 행해지는 세시풍속이 우리나라 전체 세시풍속의 1/4이 넘을 정도니 농경문화 중심의 우리나라에서 정월대보름이 얼마만큼 중요한 의미를 가졌는지 짐작할 수 있다.

특히 농경문화는 놀이의 발전을 가져왔는데 이는 고된 노동을 하면서도 강인함과 여유를 잃지 않은 우리 조상들의 낙관적인 생활태도를 반영하는 것이다. 그 결과 놀이 안에는 생활의 지혜와 삶의 애환이 고루 반영되어 있다. 며칠 앞으로 다가온 정월대보름날 모처럼 한자리에 모일 가족, 친지들과 함께 잊혀진 우리 세시풍속 놀이를 재현해보자.

돈치기
정초에 받은 두둑한 세뱃돈을 밑천으로 어른과 아이들이 편을 갈라 하는 놀이다. '척전놀이'라고도 하는데 5~6m 떨어진 땅바닥에 반달 모양을 그리고 그 안에 동전 크기의 구멍을 파서 제각기 돈을 던져 구멍에 가까운 순서대로 차례를 정한다. 첫 번째 주자가 여러 사람의 돈을 한 손에 쥐었다 구멍을 향해 던지면 구멍에 들어간 돈을 가지고 남은 동전 중에서 하나를 지정하여 그것을 맞추는 사람이 이긴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란 책에 '아이들은 돈 대신 사금파리를 돈 삼아 던지기도 한다'는 기록에 따라 조선 후기에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

방놀이
함경남도 북청 지방의 놀이로 정월보름날 밤에 마을사람들이 한 곳에 모여 즐기는 일종의 장기자랑이다. 어른들은 윗자리에 앉고 아이들은 아래쪽에, 부인들이 다른 한쪽에 자리를 잡고 앉으면 말 잘하고 지도력 있는 이가 '춤도감'이 되어 놀이를 진행한다. 먼저 아이들이 한번씩 춤을 추고 나면 처녀 총각들이 차례로 불려나간다. 그 다음에 '며느리 춤 보자'고 어른들이 소리로 청하면 새 며느리들이 차례로 불려나간다. 이어서 젊은 아낙들이 '시어머니 춤 좀 보자'고 청하면 시어머니들이 하나씩 불려나가 춤을 추고, 시어머니 측에서도 '시아버지 춤 좀 보자'고 청하면 시아버지들이 하나씩 불려나간다. 부끄러워서 망설일 경우 할 때까지 춤도감이 문을 막고 못 나가게 하거나 어른들에게 꾸지람이나 무안을 들었다. 어떤 고장에서는 처녀들이 춤추기 시합을 겨루어 장원을 뽑고 상을 주기도 했다.

▲ 놀이 속에 삶의 지혜가 돋보이는 쥐불놀이 현장
ⓒ 태안농협기술센터

봉죽놀이
어촌에서 풍어를 기원하며 행하던 집단 가무놀이이다. '봉죽'은 긴 대나무 장대 중간에 짚을 감고 종이꽃과 오색기(五色旗)를 단 깃발을 가리키는데 이 뱃기를 각자 배에 꽂고 한자리에 모인 뱃군들이 북잡이와 꽹과리잡이의 장단에 맞추어 봉죽타령을 기본으로 삼고 즉흥적인 춤과 소리를 엮어간다. 이 놀이는 서해안 조기잡이와 관련이 깊은데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 연평도, 천수만, 안면도 일대에서 널리 행해졌으며 첫 출어를 할 때도 용왕제를 지낸 후 마을사람들이 모여 봉죽놀이를 즐겼다. 놀이의 목적은 뱃길이 무사하고 고기가 많이 들어 풍어를 누리게 해달라고 조기의 신인 임경업 장군 전에 기원하는 것이다. 황해도와 경기도 일부지역에서는 고기가 많이 잡히면 '봉죽 받았다'라고 표현한다.

시절윷놀이
황해도 장연지방의 농민들이 즐기던 집단 가무놀이다. 놀이의 이름은 가무놀이에 앞서 한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윷놀이를 하는 규칙에서 비롯되었다. 놀이 가운데 씨 뿌리는 동작이 많아 '종군(種軍)놀이' 또는 '부종군(付種軍)놀이'라고도 한다. 정월대보름을 사흘 앞두고 지식과 덕망을 갖춘 사람을 '소탄관'으로 뽑고 큰 집 사랑방을 준비 장소로 정한다. 소탄관은 꽃으로 꾸민 구럭(그물처럼 성기게 짜서 만든 모자의 일종)을 쓰고 짚으로 뜬 부채를 든 모습으로 소를 타며 소도 가지각색의 천과 꽃으로 치장을 한다. 대보름날 아침에 남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면 '산'패와 '들'패로 나눈 각 편에서 윷놀이 대표를 뽑아 놀기 시작한다. 농악대는 자진가락으로 흥을 돋우고 양편을 응원한다. 윷놀이가 끝나면 소탄관이 앞장서 마을을 도는데 농기구를 든 사람들과 농악대가 그 뒤를 따르며 노래를 부르고 동헌(東軒) 앞에 이르러 한바탕 춤을 추고 멈춘다. 가을걷이나 타작을 표현하는 노래나 춤에서 절정을 이루다가 놀이가 거의 끝날 때쯤 다시 한번 난장을 벌인 다음 동이 트면 몸에 있던 치장품을 불에 던져 태운다.

▲ 설날 받은 용돈이나 사금파리를 돈 삼아 즐겼던 돈치기 놀이 풍경
ⓒ 서울육백년사

칠교놀이
중국에서 전해진 칠교놀이는 이름 그대로 7가지 나무 조각을 이용해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놀이다. 때와 장소에 상관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게임으로 가로세로 10cm 가량의 얇은 나무판을 잘라 삼각형 다섯 개와 마름모꼴 한 개, 사각형 한 개로 나눈 뒤 7조각을 모두 이용해 동식물, 기물, 건축물, 글자 등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손님 대접을 위해 주인이 음식을 준비하는 동안 즐기는 게임이라 하여 '유객판'이라고 했고 또 여러 가지 지혜를 짜내서 갖가지 모양을 만든다 하여 '지혜판'이라고도 했다. 이 놀이는 동양 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성행했는데 우리나라에는 장서각 소장 고서 중에 300가지의 칠교 모양을 그린 '칠교해(七巧解)'가 전해지며 중국 청나라 때(1803)는 이 놀이에 관한 책이 처음으로 발간되어 아주 오래전부터 즐기던 놀이임을 알 수 있다. 영국 캠브리지 대학 도서관에는 '칠교신보'라는 책이 보존되어 있으며 미국 작가 애드라 앨런 포우와 프랑스의 황제 나폴레옹도 이 놀이를 즐겼다는 기록이 있다.

해삼잡기
마을의 농부들과 아이들이 밭두렁에 불을 피워 콩을 볶아 먹고 횃불을 휘두르며 '해삼잡자', '콩밭에 불이야'라고 외치며 뛰어다니는 놀이이다. '해삼'이란 노란 실처럼 생긴 풀을 일컫는데 여름에 빠르게 성장하여 콩밭과 콩 넝쿨을 온통 덮어 열매를 맺지 못하게 한다. 콩은 자투리땅이나 척박한 땅에 40cm가량 일정한 간격으로 세 알 씩 심어 흙으로 가볍게 덮어주기만 하면 비교적 손쉽게 자라는 밭작물로 정월대보름에 이렇게 해삼잡기를 하면 해삼풀이 나지 않고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먹을거리 하나도 귀하게 여기는 조상들의 소박함이 배어나는 풍속이다 .

▲ 7가지 나무 조각을 이용해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칠교놀이
ⓒ 최선미
쥐불놀이
쑥방망이에 불을 붙여 논이나 밭둑에 불을 놓는 놀이다. 이것은 농작물을 갉아먹는 쥐를 쫓아내고 마른 풀에 나붙은 해충을 죽이며 마른풀을 미리 없애 일손을 덜고 새싹을 왕성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쥐불의 크고 작음에 따라 그해의 풍흉 또는 마을의 길흉을 점치기도 하는데 불의 기세가 크면 좋다하여 이웃한 마을끼리 편을 먹고 불놀이를 하기도 한다. 여기서 이긴 마을은 쥐들이 진 마을 쪽으로 다 달아나 농작물 피해를 덜 입으며 그해 농사가 풍년이 될 것이라 믿었다. 함경도에서 전라도에 이르기까지 널리 성행하는 대표적 세시풍속 중 하나이다.

때마다 명절에 행하는 갖가지 세시풍속은 저마다 고유한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위의 놀이에서 보듯이 정월대보름 놀이엔 한해의 번영과 가족을 비롯한 이웃간의 복을 비는 간절한 마음이 녹아있으며 무엇보다 삶의 지혜가 담겨있다. 잊혀져가는 우리 세시풍속을 익히고 즐김으로써 옅어지는 공동체문화를 되살려보는 것은 어떨까.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월간 <더불어세상>에 게재된 바 있습니다. '사람이 희망'임을 실천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살아보니 삶은 정말 여행과 같네요. 신비롭고 멋진 고양이 친구와 세 계절에 걸쳐 여행을 하고 지금은 다시 일상에서 여정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바닷가 작은 집을 얻어 게스트하우스를 열고 이따금씩 찾아오는 멋진 '영감'과 여행자들을 반깁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