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사대체 : 27일 오후 4시 20분]

▲ 기자들이 긴급 최고·중진연석회의를 마치고 나오던 박근혜 대표를 따라가며 촬영하자, 박 대표가 발걸음을 멈추고 "일 났나요?"라며 불쾌감을 표시하고 있다.
ⓒ 오마이뉴스 이종호

'DJ 치매' 발언 전여옥 의원 윤리위 제소
열린우리·민주 의원 154명 명의로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이 'DJ 치매' 발언과 관련해 전여옥 한나라당 의원을 국회 윤리위에 제소했다.

노웅래 열린우리당 공보부대표와 이상열 민주당 대변인은 27일 오후 "전 의원이 22일 대전에서 열린 한나라당 당원교육 행사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해 국회의원의 품위를 저버리고 허위사실을 유포한 당사자이고, 특히 국회의원의 직무를 유기한 채 허위사실을 유포했다"면서 "열린우리당 143명과 민주당 11명의 명의로 국회 윤리위에 제소했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6·15 공동선언을 통해 남북 화해 협력의 기틀을 마련한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한 폄하발언은 대단히 유감스럽다"며 "윤리위는 즉각 조사에 착수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이 최연희 전 한나라당 사무총장의 성추행 사건으로 초긴장 상태다.

지난 23일 전여옥 의원의 'DJ치매 발언'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가운데, 당의 살림을 책임지는 사무총장으로 5·31 지방선거의 중앙당 공천심사위원장까지 겸임하고 있는 인물이, 하루가 멀다하고 각종 성폭행 사건이 터져 나와 사회 전체가 술렁이는 상황에서 초대형사건을 저질렀기 때문이다.

지방선거가 100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 사건의 파문이 어디까지 번져갈지 당 전체가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이미 당밖은 물론, 당내에서도 당직 사퇴 수준을 넘어, 제명 등 당이 취할 수 있는 최고수준의 징계인 제명조치를 내려야 한다는 의견들이 공개적으로 나오고 있다.

사건 소식이 정해진 27일 오전 한나라당내 중도개혁보수를 지향하는 '푸른정책연구모임(푸른모임)'은 긴급회의를 열고 최 총장의 성추행 사건에 대해 논의한 뒤 임태희·권영세 공동대표가 박근혜 대표를 면담했다.

임 의원과 권 의원은 이 자리에서 박 대표에게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처리해야 하고, 국민들이 납득할 만한 수준으로 당이 석고대죄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들은 또 "의총을 소집해 자정 결의대회를 열고,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당 전체적으로 도덕적인 재무장을 하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박 대표는 "의원들의 요구를 잘 알고 있다"면서 "심각하게 대처하겠다"고 답변했다고 임 의원은 전했다.

임 의원은 '읍참마속의 조치는 제명요구인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고개를 끄덕거리면서 "당에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조치를 말한다"고 밝혔다.

진수희 의원 "술자리 합석한 당직자도 사퇴해야"

▲ 이재오 원내대표가 침통한 긴급 최고·중진연석회의를 마치고 나오고 있다.
ⓒ 오마이뉴스 이종호
이어 한나라당 여성위원회 의원들도 최 전 사무총장에 대해 강도높은 징계를 요구했다. 당내 16명의 여성의원을 대표해 박순자 여성위원장과 김애실, 이계경, 진수희, 박찬숙 의원도 '푸른모임'에 이어 박 대표와 이 원내대표를 면담해 "즉각 당 윤리위를 소집해 강력한 징계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다.

이중 진수희 의원은 개인자격으로 최 의원의 의원직 사퇴와 술자리에 동석했던 모든 당직자들의 당직사퇴를 요구하는 성명서를 내기도 했다.

이재오 원내대표도 "당 윤리위에서 할 수 있는 처리는 제명, 탈당 권유, 당원권 정지, 경고 등 4가지가 있다"면서 "윤리위의 결정에 따르겠다, 유야무야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한나라당 사무처 노동조합(위원장 구본근)도 이날 오후에 성명을 내고 ▲이번 사건을 당윤리위에 회부해 신속하고 엄정한 징계조치를 취할 것 ▲당 차원에서 국회윤리위에 제소할 것 ▲최연희 의원의 즉각적인 국회의원직 사퇴 등을 요구했다.

노조는 또 "당 지도부는 이번 사건의 중대성을 감안해 국민이 납득할 만한 조치를 취하고, 재발방지책을 마련하는 길만이 유일한 해결책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상황이 급박하게 전개되면서 박 대표는 긴급 최고·중진연석회의를 소집했다. 이재오 원내대표와 이방호 정책위원장, 이강두·원희룡·김영선 최고위원 등과 김덕룡 전 원내대표, 박희태 국회부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박 대표는 "당 윤리위(위원장 이해봉)를 소집해 엄중문책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또 윤리위가 끝난 뒤 곧바로 의원총회를 열어 후속대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이 회의에서는 "최연희 의원을 제명하고, 의원직 사퇴까지 끌어내야 한다"는 의견 등이 쏟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오후 2시 30분부터 시작된 당 윤리위 회의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박 대표도 대단히 예민한 반응을 보였다. 박 대표는 이날 낮 12시 30분경 긴급 최고·중진연석회의를 마치고 나오던 자신을 따라가며 촬영하는 기자들에게, 발걸음을 멈추고 "일 났나요?"라며 불쾌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당 일각에서는 "비정한 말일 수도 있으나 최 전 사무총장 본인이 개인적으로 의원직 사퇴나 탈당를 얘기하기에 앞서 당에서 먼저 제명 처리를 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5·31 지방선거 직전에 이런 일이 터졌다면 어떻게 할 뻔 했느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피해 기자가 최 전 사무총장에게 고소 등 법적조치를 취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주목하는 모습이다.

한나라당 홈피 한때 중단... 최연희 의원 홈피는 폐쇄

최 전 사무총장의 성추행을 비난하는 글이 쏟아지면서 한나라당 홈페이지도 한때 마비 상태에 빠졌다. 한나라당은 홈페이지에 '홈페이지 시스템의 과부하로 인해 홈페이지 서비스가 일시 중단됩니다'라는 공지문을 띄웠다. 오후 4시쯤 사이트는 정상화됐으나 자유게시판은 계속 기능이 정지됐다.

한나라당 디지털 정당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최연희 총장 사건으로 동시 접속자가 폭주하면서 오전 11시께부터 마비상태에 빠졌다"고 말했다. 최연희 의원의 홈페이지도 폐쇄됐다.

한나라당 자유게시판에는 마비 직전인 오전 11시께까지 약 130여개의 비난글이 쏟아졌다. 최 전 사무총장을 비판하면서 그의 출당을 요구하는 내용이 많았다.

iamdino는 '이번 사태에 한나라당의 살 길은'이라는 글에서 "최씨의 출당만이 살길입니다, 괜히 어설픈 처방으로 한나라당이 죽는 경우는 없어야 합니다"라며 "이상한 처방이 나온다면 한나라당을 떠나렵니다"라고 말했다.

'최 의원, 당신은 진정한 애국자요'라고 비꼰 shlee003는 "일반인이 아니라 소위 사회 지도층, 더욱이 최대 야당의 사무총장께서 솔선 수범하셨으니 그 파장이 일파만파로 확대되어 이번에야 말로 성폭력과 관련된 해결 방안이 반드시 마련될 수 밖에 없으니 진정으로 국민을 생각하는 애국의 길이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라며 "당이 살고자 한다면 당에서 최의원을 출당 조치하고, 해당 기자와 협력하여 한나라당이 검찰에 고발하도록 하시오"라고 촉구했다.

'최 의원님의 행동에 대한 전여옥님의 말씀을 꼭 듣고 싶습니다!'(글쓴이 eunsujisu)는 글도 있었다. "온 국민이 성폭행과 성희롱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이 때도 이렇게 행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은 그동안 얼마나 많은 이런 관행이 있었던가를 알 수 있지 않나요? 이 부분에 대해 전여옥님의 의견을 꼭 듣고 싶습니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최연희에게 전자팔찌를 채워라'(글쓴이 pppbbb), '동아일보 화이팅'(글쓴이 n0n0n0) 등의 글이 관심을 끌었다.

후임 사무총장에 허태열 의원

한편, 박근혜 대표는 최연희 의원 후임 사무총장 겸 중앙당 공천심사위원장에 허태열 의원(부산 북·강서을)을 임명했다. 부산 출신으로 재선인 허 신임 사무총장은 부천시장, 의정부시장, 충북도지사를 지낸 정통 행정관료 출신이다.

▲ 이계경, 진수희 한나라당 의원등 여성의원들이 여기자를 성추행한 최연희 의원을 사퇴시킬 것을 주장하며 박근혜 대표를 면담한 뒤 이재오 원내대표실에 들어서고 있다.
ⓒ 오마이뉴스 이종호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