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2013년 말 신드롬을 일으켰던 '안녕들하십니까?' 대자보를 기억하는가. 사회문제를 꼬집었던 고려대학교 학생의 외침에 많은 사람들은「안녕하지 못하다」라는 내용의 대자보로 답했다. 3년이 지난 지금,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에 다시 서로의 '안녕'을 묻는 대자보가 붙여졌다. 철도노동자 아버지와 20살 아들이 서로 묻는 '안녕'은 지난 9월 29일 교정에 붙여졌다. 자신을 '철도노동자의 아들'이라고 소개한 이용우(건국대 철학·16학번) 학생은 "쳐진 아버지의 어깨에 힘이 되고 싶었다"며 "최근 철도파업의 정당성을 많은 학우들이 알아주셨으면 좋겠다"고 대자보를 위해 팬을 든 이유를 말했다.-기자말

철도노동자 아버지와 아들이 대자보를 통해 서로의 안녕을 묻고 있다.
▲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대자보 철도노동자 아버지와 아들이 대자보를 통해 서로의 안녕을 묻고 있다.
ⓒ 정두용

관련사진보기


[50대 아버지의 편지] 철도노동자의 "안녕들 하십니까?"

학생 여러분 안녕들 하십니까. 저는 지난 (9월) 27일부터 파업에 들어간 철도노조 조합원입니다. 또한 건국대 16학번 학생의 아버지이기도 합니다. 어릴 적 아빠가 파업을 할 때면 걱정이 돼서 말 수가 줄어들고 거리를 두던 아이가 이번에는 제게 먼저 다가왔습니다. 반갑고 고마워서 아들에게 몇 자 적어보았습니다.

아들에게

프로필 사진을 바꿨더구나. 낮에 열린 아빠의 파업 출정식 사진으로 프로필 사진을 바꾸고 나보고도 바꾸라고 그랬지. 아빠의 파업에 걱정하고 불안해하기 보다는, 이제 아빠의 이야기도 들어줄 수 있는 나이가 되었구나. 고맙다 친구^^

아빠가 파업에 나선 이유는, 정부가 노동자의 임금체계를 강제로 바꾸려는 것을 막기 위해 서다. 정부가 강요하는 '성과연봉제'는 단순히 임금 구성 비율을 바꾸는 데에 그치지 않는다. 공공기관의 설립취지와 존립근거를 스스로 부정하라는 거다.

성과 연봉제의 성과를 인정 받기위해서는, 제일 먼저 돈이 안 되는 안전을 버리고, 그 다음엔 계량화 할 수 없는 공공서비스를 버리고, 전기요금 누진제와 같이 서민들의 부담을 가중시켜서라도 숫자로 표시되는 수입을 늘리라는 것이다.

철도노동자로 파업을 진행하고 있는 아버지의 편지
▲ 아버지의 대자보 철도노동자로 파업을 진행하고 있는 아버지의 편지
ⓒ 정두용

관련사진보기


그럴수는 없어서, 철도의 최우선 가치인 안전과 공공서비스를 내팽개칠 수 없어서 헌법에 보장된 노동자의 권리를 행사 중이다. 하지만 노동자의 권리 향상이 불편한 사람들에 의해서 노동자의 단체 행동은 늘 불법으로, 늘 이기적인 행위로 매도되곤 한다. 그러다 보니 우리의 일자리는 더 위험하고 더 불안정한 곳으로 바뀌고 있다.

아들아

가뜩이나 먼 거리를 통학해야 하는 너의 등굣길이 아빠의 파업으로 인해 조금 더 늦어질 수도 있겠다. 고장난 녹음기를 틀어놓은 듯 매번 되풀이되는 '귀족 노조의 철밥통 지키기'라는 정부와 일부 언론이 너를 불안하게 할 수도 있겠다. 그래도 누군가 앞장서서 왜곡된 인식을 바로 잡을 때만이, 너와 너희세대에게 물려질 일자리가 지금보다 '안전하고 안정된' 곳이 될 수 있을 거라고 믿는다.

정부는 여전히 동료들의 손을 뿌리치고 싸우고 경쟁해서 동료를 낙오시키라고 합니다. 벼랑 끝으로 내몰리는 철길이 안전할 수는 없습니다. 늘 퇴출위험에 쫓기는 사람들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편안할리도 없습니다. 그래서 안녕하지 못한 철도노동자들이 파업에 나섰습니다. 학생 여러분의 안전과 안녕을 기원합니다.

[20살 아들의 답장] 안녕하지 못한 철도노동자 아빠에게


놀랐어. 아빠가 우리 학교에 대자보를 붙이다니.

어릴적 아빠가 파업을 하면 왜 파업을 하는지 보다는 아빠는 괜찮을지, 엄마 걱정시키는 파업은 언제 끝날지 만이 내 관심사였어. 아무래도 파업을 하면 월급은 안 나오고 또 잘못하면 아빠가 징계를 받게되니 아빠가 파업하는 게 싫었어. 무서웠어.

그러다가 고1 때인 3년 전, 철도노조가 파업을 할 때 처음으로 친구들과 철도 파업을 가지고 이야기 한 적이 있어. 심정적으로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공공성이 지켜져야 한다는 철도노동자들의 주장이 정당하다고 생각했어. 하지만 경쟁 체제를 갖춰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정부의 말도 꼭 틀린 거처럼 보이지는 않았어. 입시경쟁에 익숙했던 대한민국 고등학생이어서 그랬는지는 몰라도 경쟁체제가 '그렇게 큰 문제인가?'라고 생각했어. 그래서 아들로서 아빠를 응원했지만 철도를 이용하는 학생으로서는 물음표를 남겨뒀어.

철도노동자로 파업을 진행하고 있는 아버지에게 아들이 안녕을 묻고 있다
▲ 아들의 대자보 철도노동자로 파업을 진행하고 있는 아버지에게 아들이 안녕을 묻고 있다
ⓒ 정두용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이제는 생각이 많이 달라졌어. 내 또래 아이들을 데려간 세월호 참사를 겪고, 남의 일 같지 않은 구의역 사고를 접하면서 효율성이라는 가면에 감춰진 또 다른 얼굴을 보게되었어. 둘이 일해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곳에 덩그라니 혼자 남겨두는 게 효율성은 아니잖아. 힘 없고 약한 사람들만, 흙수저들만 하나뿐인 목숨을 걸고 경쟁을 하라고 하는게 효율적인거야?

그건 아니잖아. 우리도 비정규직인 일자리가 아닌 안전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가질 수도 있잖아. 그리고 누구나 누려야 할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공공성의 혜택을 어리다고 돈이 없다고 포기해야 되는 건 아니잖아. 그래서 철도노동자들의 파업을 응원해. 아빠의 아들로서가 아니라 철도를 이용하는 학생으로서 안전과 공공성을 지키려는 아저씨들의 승리를 기원해.

그래서 아빠의 파업에 관한 기사도 찾아보고, 내가 알아서 프로필 사진도 바꿨어. 조금 더 공부를 해서, 친구들과도 많이 얘기해볼 작정이야. 그런데 아빠는 파업 첫날부터 일찍 잠을 자고 있더라. 그래서 아빠를 깨우고, 프로필 사진을 바꾸라고 한 거야. 나이 먹어서 하는 파업, 예전같지 않지. 그래도 힘내.



태그:#철도노조, #파업
댓글5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장지혜 기자 입니다. 세상의 바람에 흔들리기보다는 세상으로 바람을 날려보내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