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른 봄 서쪽 마당에 심은 키 작은 미스김라일락. 하필 세월호가 진도앞바다에 침몰했을 즈음 자잘자잘 꽃을 피운다. 출근할 때마다 퇴근할 때마다 속죄하듯. 심해 깊숙이 얼굴을 묻고 녀석들의 향기를 흠흠 맡는다. 숨을 쉬고 있는지 확인하는 거다. 구조 좀, 깔깔깔, 얘들아 살아서 만나자, 깔깔깔, 엄마 아빠 사랑해, 깔깔깔. 슬프거나 말거나 세상일 다위 아랑곳없이. 수면 위로 진하게 분내를 조잘조잘 밀어 올리는 목소리. 천지가 꽃철인데 울컥울컥 앞마당까지 만조다. 제자리에 있으라 제 · 자 · 리. 찾은 고통과 못 찾은 고통에 갇혀 나도 제자리, 한 발 나아가지 못하겠다."

- 나혜경 시인의 '미스김라일락'
 
라일락 꽃이 피었습니다.
 라일락 꽃이 피었습니다.
ⓒ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관련사진보기

   
4월 15일, 비는 많이도 적게도 아닌 오랜 시간 내렸다. 10년 전 그날을 기억하듯 눈물처럼 내렸다. 우산을 쓰고 한국지엠 부평공장을 걸었다. 따뜻한 봄날이면 향기 날리는 라일락 꽃향기에 이끌렸다. 공장 내 세월천 따라 심어진 18그루. 사시사철 노동자의 곁에 있었으나, 자세히 보지 못했다. 아니 관심을 두지 않았다가 맞을게다.

한국지엠 내 세월천은 인천지역 가장 오래된 라일락 군락지
 
장정구 녹색연합 전)정책위원장이 설명하고 있다.
▲ 라일락 장정구 녹색연합 전)정책위원장이 설명하고 있다.
ⓒ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관련사진보기

   
언제부터 이곳에 있었는지 모르는 라일락의 진실을 알고 싶었다.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전)정책위원장과 동행했다. 그는 인천지역의 하천과 생태를 연구 조사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시민활동가이다. 장정구 님은 오랜만에 찾은 세월천의 라일락을 마주하며 많은 이야기를 전해줬다.

"인천역사 부근 관광안내소 뒤에 심어진 수령 100년 이상으로 추정되는 라일락(서양수수꽃다리)이 2015년 고사했어요. 아마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라일락이었을 거예요."

"한국지엠 내에 세월천 따라 심어진 라일락은 수령이 60∼70년은 족히 넘는 것을 추정됩니다. 다른 아파트 화단에 심어진 라일락과 비교해서 두께를 보세요. 라일락은 수령이 오래될수록 줄기가 이렇게 비틀어집니다."


"몇 년 전에 이곳에 왔을 때는 라일락이 24그루가 있었는데 관리가 안 됐는지 18그루만 보이네요. 남아 있는 나무들의 상태도 그리 썩 좋지도 않습니다. 관심을 가지고 보호해야 하는데 말이죠."
 
수피가 세월을 보여주고 있다.
▲ 라일락 수피가 세월을 보여주고 있다.
ⓒ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관련사진보기

 
그는 세월천을 따라 함께 걸으면서 안타까운 마음을 감추지 않았다.

보호수 지정을 위해 한국지엠과 지역사회 노력해야

"제가 여러 자료를 검색해봐도 우리나라에서 수령 60∼70년 되는 라일락 군락지를 찾아보지 못했습니다. 외국에서 들어 온 도입종이라고 하더라도 보호 가치가 있는 고목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조사와 보호수 지정 등 보호 계획을 마련해야 합니다. 한국지엠, 노동조합, 인천시청, 부평구청이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실제로 인천에는 도입종인 자유공원 플라타너스는 2015년 인천시 보호수로 지정돼 관리하고 있어요. 이 나무는 높이 30.5m, 둘레 4.7m에 고유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플라타너스 나무예요. 수령 130여 년의 '자유공원 플라타너스'는 인천 개항 시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근현대사와 함께 한 자연유산으로서 가치가 인정된 셈이죠."

 
고사 직전의 라일락
▲ 라일락 고사 직전의 라일락
ⓒ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관련사진보기

   
세월천 심은 라일락은 어떻게 여기서 자라게 됐을까? 그는 나무의 수령과 유추 가능한 상상을 바탕으로 이야기했다. 

한국지엠의 역사와 함께 한 라일락 군락지

"부평공장은 일제강점기부터 그 역사가 시작됩니다. 해방 이후 새나라자동차, 신진자동차, 대우자동차, 지금의 한국지엠까지의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역사와 함께 하고 있지요. 라이락의 수령을 고려할 때 해방 이후 1950∼60년대에 심어졌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군락을 이루고 있는 라일락
▲ 라일락 군락을 이루고 있는 라일락
ⓒ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관련사진보기

 
그는 한국지엠에 일하는 노동자들에게 바람과 당부의 말도 있지 않았다.

"개인적으로 이곳에 라일락 후계목을 심었으면 좋겠어요. 라이락과 유사한 국내 고유종인 수수꽃다리가 북한에 자생해요. 한국지엠 노동자들이 통일의 염원을 담아 북한에서 자라는 털개회나무를 기증받아서 이 곳에 심으면 그 의미가 더욱 특별할 것 같아요. 그리고 이곳을 시민에게 개방행사도 하고요."
 
라일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전)정책위원장 라일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관련사진보기

   
그의 말을 듣고 이곳에 남북의 꽃과 나무로 노동자 통일광장을 조성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출퇴근 길, 무심코 지나쳤던 세월천 라일락 군락지. 이곳에서 따스한 봄날이면 만개한 노랑 개나리와 분홍빛 겹벚꽃과 향기로 어우러진 라일락꽃을 바라보며 고된 노동을 위로했을 선배노동자들을 생각했다. 두 눈을 지그시 감고.
 
세월천에 핀 겹벚꽃
▲ 겹벚꽃나무 세월천에 핀 겹벚꽃
ⓒ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관련사진보기


태그:#한국지엠, #세월천, #라일락, #보호수, #녹색연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