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해 8월과 10월,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 일원에서 잡은 메기에서 수은 성분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돼 조업 중단 현수막이 1구역 일대 여러 곳에 게시됐다.
▲ 조업 중단 현수막 지난해 8월과 10월,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 일원에서 잡은 메기에서 수은 성분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돼 조업 중단 현수막이 1구역 일대 여러 곳에 게시됐다.
ⓒ 권기상

관련사진보기


지난해 두 번에 걸쳐 중금속에 오염된 물고기가 잡힌 경북 안동댐에서 조업으로 생계를 이어가던 어민들이 전면 폐업에 들어갈 전망이다. 평생직장을 잃을 위기에 놓인 어민들은 보상안이 현실성이 없다며 오염원 제거를 요구하고 나섰다. 

안동댐에서는 지난해 8월과 10월 상류인 도산면 선양리 일원 1구역에서 포획된 메기에서 수은 기준치 0.5mg/kg 이하의 두 배에 가까운 0.9mg/kg이 검출됐다.

이에 따라 이를 검사한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은 안동시에 해당 구역의 유해물질을 제거한 후 수산물 안전성이 확보될 때까지 조업 중단을 요구했다.

그러나 시는 댐 준설이나 퇴적층 제거 등 전례 없는 유해물질 제거가 어렵게 되자, 장기간 조업금지로 피해를 입은 어업인들에게 폐업보상을 하는 쪽으로 갈피를 잡았다.

시는 현재 안동댐에서 어업에 종사하고 있는 총 28명의 폐업 보상을 위한 용역발주를 오는 8월부터 8개월간 진행, 내년 초 감정평가를 통해 실질적인 보상을 하겠다는 계획이다.

안동댐 어민 "생계대책 없는 재난상황"

하지만 안동댐에서 물고기를 잡아 생계를 이어가고 있는 어민들은 그동안의 생계대책도 없이, 턱없이 부족한 폐업보상안이라며 현실성 있는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안동댐에는 현재 상류지역인 1구역에서 15명, 하류지역인 2·3·4구역에서 13명이 어업으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 이중 1구역 허가자 6~7명과 하류지역 어민들 포함 약 20명이 조업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전체 어업인 중 젊은 층인 40대 이하가 9명으로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어민들은 안동시가 지난해 10월 18일 이후 1구역 조업을 중단시키면서 지금까지 약 10개월 동안 폐업논의만 했을 뿐 생계대책 마련을 위한 논의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어민들은 여기에 더해 내년 폐업보상을 위한 감정평가 기간까지 포함하면 약 1년 6개월이 넘도록 생계대책을 마련해주지 않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시에서는 1구역을 제외한 곳에서 조업을 이어가라지만 이미 지난해 중금속 오염 물고기가 나온 탓에 판매율이 떨어지고 있어서 생계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 

1구역 어민 김아무개씨는 "현재 우리는 수입이 없는 재난상황"이라며 "갑작스럽게 조업을 못하게 해놓고 지원책으로 과거 3년치 수입의 300%라는 어처구니없는 폐업보상안만 제시했다. 중금속 물고기라고 알려져서 판매처 납품도 어려워 보상을 받지 않고 어업을 계속하기에도 녹록지 않다"면서 한숨을 지었다.  

안동시 담당자는 "오염원인 조사는 엄청 방대한 것이어서 시 자체적으로는 아직 계획이 없다. 환경부나 이 외의 곳에서 석포제련소를 지목하지만 제련소 하류지역에서 수은이 나온 것이 없어 단정짓지 못한다"라고 해명했다. 이어 "어민 전체를 조사해서 폐업보상으로 진행 중"이라며 "국내 다른 지역의 폐업보상 기준을 참고로 세무신고 내용과 각 어민들의 환경에 따른 보상이 달라질 수 있다"라고 전했다.   

한편 안동환경운동연합 김수동 대표는 "안동시에서 예산과 인력이 없어서 못하겠다는 것은 해서는 안 될 말"이라며 "환경부나 정부에 원인을 조사하고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요구를 해야 한다. 그것이 지자체에서 할 일이다"라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안동뉴스에도 실립니다.


태그:#안동댐, #중금속오염, #재난상황, #수은, #폐업보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