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요즘, 현대는 늘 세기말이거나 말세의 모습 자비가 전혀 없는 정부의 방침과 당최 말이 통하지 않는 공권력의 방법만 유상분배될 뿐 헌법의 요지는, 정부 말고 그 누구도 함부로 믿지말라는 것부디 까불거나 대들지 말라는 것 억울하고 외롭게 죽고 싶지 않다면

평소, 국가와 정부를 무서워하던 삐딱한 사람들은 목숨만 겨우 챙겨 먼지처럼 천지사방으로 흩어졌다 이승이 아닌듯한 머나먼 외계의 마을로 연기처럼 스며들었다 하다못해 벌레처럼 기어가거나 풀씨처럼 묻어간 경우도 있었다 거기 마을에서, 단 하나 뿐인, 단 한번 뿐인 한 평생을 풀이나 나무나 흙이나 질소처럼 살았다

삶의 겉모습은 마치 죽음의 완성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숨을 다 죽이고 살았다, 그래서 아무 일도 없었다, 평화로웠다는 말이다 일상의 소일거리는 주로 하늘에 떠 계신 하느님, 아니면 하나님이나 땅 속을 깊게 파고 누운 조상님을 믿는 짓 선생이나 선배, 그리고 군인과 공무원은 가급적 믿지 않았다 사실은 땅 위의 서로가, 땅위의 스스로를 믿었을 뿐

세월은 냇물처럼 흐르고 시간은 쏜 화살 처럼 날아갔다 그러나, 세월과 시간이 역사만큼 쌓이자 마을에 사고가 발생했다 완력과 욕심이 센 운동선수가 인상을 쓰고 주먹을 휘두르며 어서 마을을 국가와 정부로 재생하자고 선동하고 겁박했다 싸우고 싶지 않은 마을사람들은 그저 머리를 조아렸다 다시는 국민으로 살고 싶지는 않았으나그렇다고 나만 죽고싶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도 그렇지, 국가란 무엇인지 도무지 용서가 되지 않는다 완장의 신을 섬기는 정치인을 섬기는 유권자들은 상식이 있는지 돈의 신을 모시는 경제인을 모시는 봉급쟁이들은 염치가 있는지 학위의 신을 따르는 교수단을 따르는 학생들은 지성이 있는지 말의 신을 믿는 성직자를 믿는 신도들은 대체 제 정신인지 그런 것들을 내내 구세주로 알고 사는 국민들은 이성이 있는지 이따위 천민자본주의 간빙기의 애국적 사피엔스들은 과연 사랑이나 챙겨서 하며 사는지

아니, 도대체 왜 마을에서 그냥 마을사람으로 살면 안 되는지 왜 국가에서 국민으로 살아가려 그토록 기를 쓰는지 국가의 진실은 정말 무엇이고, 마을은 무엇에 쓰는 물건인지 나는 그것이 알고 싶어 거의 의문의 고독사할 지경이다
 
졸시 <국가나 마을이란 무엇인가> 전문으로 '마을의 탄생' 이야기를 시작한다. 인류사에서 '국가'라는 개념과 실체는 어쩌면 이런 배경과 사연으로 건국되지 않았을까. 그렇다면 국가나 도시의 단초였을, '마을'이라는 것은 어떻게, 왜 설촌됐을까. 국어사전이 규정한대로 '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한데 모여 사는 곳'을 마을의 본질적인, 정확한 정의라고 한다면 말이다.
 
‘마을’에 대한 도시민의 추억과 그리움을 복원한 ‘서울 돈의문박물관마을’
▲ 서울 돈의문박물관마을  ‘마을’에 대한 도시민의 추억과 그리움을 복원한 ‘서울 돈의문박물관마을’
ⓒ 정기석

관련사진보기

  
인류사 세계 최초의 마을은 서아시아 어디쯤

고고학계 일각에서는 세계 최초의 마을 또는 도시는 서아시아 요르단강 서안에 있는 '예리코'라고 주장한다. 기원전 9000년경부터 요르단 강변에 사람이 모여들어 살기 시작했고, 이후 1000년 여에 걸쳐 주택을 짓고 도로를 닦고 거대한 돌로 성벽을 쌓아 마을을 두르는 형태의 도시로 진화됐다고 한다. 2000~3000명에 이르는 주민들이 주로 밀과 보리를 재배하며 마을이라는 경제적·사회적 공동체를 이루며 정착생활을 영위했다는 것이다.

엄밀한 의미로 최초의 마을은 예리코가 아니라 기원전 7100년쯤부터 형성된 튀르키에 '차탈회위크(Çatalhöyük)'는 학설도 있다. 예리코가 마을 또는 도시의 모양과 규모를 갖춘 건 기원전 2700년 무렵이라는 것이다. 한편에서는 기원전 6500년 무렵 북부메소포타미아의 카부르강 유역에 세워진 '텔 브라크'를 세계 최초의 도시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차탈회위크는 기원전 7100년쯤부터 기원전 5600년 무렵까지, 오늘날 튀르키예 콘야도 퀴칙쾨이 지역에 있었던 신석기 시대의 도시 유적이다. 인류 역사상 최초의 문명인 수메르 문명이 세워지기 훨씬 이전인 신석기 시대에 해당한다. 평균적으로 인구 5000~7000명 사이를 유지했고 전성기에는 1만 명 남짓까지 살았다고 추정한다. 

가옥 유적들의 크기와 형태가 거의 모두 비슷하며, 발굴된 유물과 인간 유골을 통해 추정되는 영양상태 등을 볼 때 경제적 부의 불평등을 유추할 흔적은 거의 없다고 한다. 특별한 사회적 지위 등의 격차가 있었다는 판단자료도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체로 상당히 평등주의적인 사회상을 가지고 있었다고 추론할 수있다. 다만, 수렵채집 사회에서 농경 정주사회로 점진적으로 전환되면서 경제적 불평등과 위계적 권력구조를 지닌 '계급사회'로 변화되지 않았을까 추정해볼 뿐이다.
 
6.25 한국전쟁을 피해 함경도에서 남하한 피란민들이 형성한 ‘속초 아바이마을’
▲ 속초 아바이마을  6.25 한국전쟁을 피해 함경도에서 남하한 피란민들이 형성한 ‘속초 아바이마을’
ⓒ 정기석

관련사진보기

  
한반도에서 어느, 한 마을이 탄생하고 나서

'강정마을'은 제주도 서귀포시의 행정동인 대천동(大川洞)에 속한 법정동인 강정동을 이루는 마을이다. 총 5600여 가구, 1만2000여명의 마을주민이 농업과 어업을 병행하며 생활하는 총 1500ha 정도의 큰 마을이다. 강정천, 올레길, 해오름노을길 등 경관, 생태, 문화 등 천혜의 마을공동자원과 전통문화자산을 바탕으로, 크루즈터미널, 커뮤니티센터, 어업인판매복지시설, 생태공원 등 마을공동체회복을 목적으로, 마을회기업을 중심으로 마을공동체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강정마을의 설촌기원은 세종 21년인 143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마·보병 군인 56명이 주둔한 군사방어시설인 동해방호소의 주위에 촌락이 형성, 강정마을을 이루는 기초가 됐을 것으로 보인다. 얄궂게도 군사전략적인 입지때문에 군사방어시설로 설촌된 마을의 역사가 2016년에 조성된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으로 불리는 해군군사기지로 이어지는 운명의 전조는 아니었을까.

1709년의 고지도상에 새수촌과 고둔촌, 강정촌이 나타나고 있다. 18세기 말에는 <제주읍지>에 비로소 강정리(江汀里)라는 표기가 등장한다. 19세기 말에 영남리(瀛南里)라 불렸다. 염둔, 내팟, 종복이왓, 서치모르, 활오롬, 틀남밧 등으로 부르던 한라산 중산간마을을 합쳐, 한라산을 일컫는 영주산의 영(瀛)과 남쪽을 뜻하는 남(南)을 결합해 만든 새로운 이름이다. 1948년 4.3 때 마을이 소개되자 마을사람들이 강정리 쪽으로 내려와 살았다. 지금 영남리는 이른바 '잃어버린 마을'로 불린다.
 
1493년 군사방어시설로 설촌, 오늘날 해군군사기지가 들어선 ‘서귀포 강정마을’
▲ 제주 강정마을  1493년 군사방어시설로 설촌, 오늘날 해군군사기지가 들어선 ‘서귀포 강정마을’
ⓒ 정기석

관련사진보기

  
이렇듯 동서고금을 통털어 '마을'이란 고대부터 현대에 걸쳐 사람들이 이루고 일군 공동체집단의 정주생활 근거지 또는 군락을 뜻한다. 마을은 '함께 모여, 먹고 살만한' 특정한 입지 조건을 가진 곳에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모여 살면서 형성됐다.

예로부터 따로 특별하게 의도한 모종의 기획이나, 별도의 사업계획을 세우지 않고서도 그야말로 자연스레 생긴 '자연마을'이야말로 마을의 원형이고 진실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도시화, 산업화가 진행된 대도시 지역조차 '마을'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이 '도시형 마을'은 상식적으로 통용되는 '마을'과는 뜻과 목적이 다르다. 도시는 행정적으로, 개념적으로 '동네'라고 부르는 게 타당하고 합리적이다. 여기서 동네는 '자기가 사는 집의 근처'로 인식되는 범위를 말할 따름이다. 어차피 도시의 생계공동체는 '자기 집'을 우선하고 중심으로 구성되고 작동될 수 밖에 없는 구조와 체계에 놓인다. 가족, 친인척, 동지 등에 바탕을 둔 사회생활공동체, 계, 두레 등으로 서로 묶인 농업(생업)경제공동체를 자연스레 이루었던 '마을'의 원형이나 본질과는 괴리가 있고 거리도 멀게 마련이다.

오늘날, 굳이 도시가 아닌 지역에서조차 '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한데 모여 사는 곳'을 뜻하는 '마을'의 원형과 진심을 찾기는 쉽지 않다.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국가의 도시 안에서 물론이고, 인구와 지역 자체가 소멸위기로 내몰리는 농산어촌 지역에서도 '생활공동체, 경제공동체로서 마을'의 모습과 기운은 급격히 변질되고 퇴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을학각론' 이야기의 출발을, 마을의 탄생부터, 마을의 진화, 마을의 현주소에 이르는 마을의 역사에서부터 거칠게나마 거슬러올라가 되짚어보려는 이유다.
   
지난해 행복마을만들기콘테스트 대통령상을 받은, 18세기 이전 화전민이 일군 ‘인제 하추리 도리깨마을’
▲ 인제 하추리 도리깨마을  지난해 행복마을만들기콘테스트 대통령상을 받은, 18세기 이전 화전민이 일군 ‘인제 하추리 도리깨마을’
ⓒ 정기석

관련사진보기

   

태그:#마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마을연구소(Commune Lab) 소장, 詩人(한국작가회의)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