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봉준 장군의 마지막 거주지
 전봉준 장군의 마지막 거주지
ⓒ 박용규

관련사진보기


얼마전 전주에 사는 지인으로부터 전봉준 장군의 마지막 거주지에 안내판 하나가 없다는 말을 듣고, 사실 확인을 위해 지난 18일 정읍시 산외면 동곡리 동곡 마을을 답사하였다. 직접 가서 보니 지인의 말은 사실이었다. 변변한 표지판 하나가 없었다.

전봉준과 동학농민혁명 연구자라면 전 장군의 마지막 거주지가 '산외면 동곡'이라는 사실은 당연히 알 것이다. '전봉준 판결선고서(1895, 3, 29)' 원본에 따르면, 전봉준의 마지막 주소가 "전라도 태인 산외면 동곡(東谷) 거(居)"로 되어 있다. 지금 주소는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 동곡리이다. 직업은 '농업'으로, 신분은 '평민'으로, 당시 나이는 '41세'로 적었다.
 
국가기록원 원문뷰어로 출력한 전봉준 판결선고서(1895년3월29일).
 국가기록원 원문뷰어로 출력한 전봉준 판결선고서(1895년3월29일).
ⓒ 국가기록원

관련사진보기

 
전봉준 심문 내용이 기록돼 있는 '전봉준공초'에도, 주소가 "태인 산외면 동곡"으로 아래와 같이 기재되어 있다. 

"심문자 : 너의 성명은 무엇이냐.
전봉준 : 전봉준이다.
심문자 : 나이는 몇 살이냐.
전봉준 : 41세다.
심문자 : 어느 고을에 거처하고 있느냐.
전봉준 : 태인(泰仁) 산외면(山外面) 동곡(東谷)이다.
심문자 ; 하는 일은 어떤 일을 하는가.
전봉준 : 선비로 업(業)을 삼고 있다."1)
 

필자는 이날 지인과 함께 전봉준 장군의 마지막 거주지(주소: 전북 정읍시 산외면 동곡리 동곡마을 160-3)에 해당하는 집을 방문하였다. 집 주인인 박옥자 할머니께서 우릴 반갑게 맞아주었다.  

올해 91세인 박옥자 할머니는 "스물 한 살에 시집을 와서 지금까지 여기서 살아왔다. 남편은 군유공자로 임실 호국원에 계신다. 얼마 전에도 여남은 명이 우리 집을 찾아왔었다"라고 말씀하셨다. 

필자가 전봉준 장군 이야기를 하자, 할머니께서는 우리를 본채 옆의 집(현재는 헛간으로 사용)으로 데리고 가서 "시어머니로부터 '전봉준 가족이, 전봉준 아내와 자식들이 여기서 살았다. 여기서 살다가 집이 무너졌다'는 말을 들었다"라고 덧붙였다. 할머니는 전봉준 가족이 살았던 곳이라며 헛간 쪽을 가리켰다.

"여기서 살았다고 들었다"... 전봉준의 마지막 거주지 
  
 박옥자 할머니와 할머니가 가리킨 헛간. 할머니와 그 헛간을 배경으로 필자가 사진 한 장을 찍었다.
  박옥자 할머니와 할머니가 가리킨 헛간. 할머니와 그 헛간을 배경으로 필자가 사진 한 장을 찍었다.
ⓒ 박용규

관련사진보기

 
'전봉준 장군의 마지막 거주지'에 대한 연구는 이전부터 있어왔다. 신복룡 교수는 1981년 1월 16일 당시 정읍군 산외면 동곡리 원동골에 살고 있는 강금례와 그의 아들 박승규를 만났다.

신 교수는 박승규의 안내를 받아 원동골에 있는 전봉준의 구거(舊居)를 보았다고 기술하였으며, 전봉준의 옛집이 "양기와를 씌운 것이 매우 인상적이었다"2)고 서술하였다. 여기서 동곡리 원동골은 동곡리 동곡마을을 가리킨다. 산외면 면사무소 직원은 필자에게 '동곡 마을'을 다른 말로 '원동곡', '원동골'로 쓰기도 한다고 알려줬다. 

계속해서 신 교수는 자신의 책 <전봉준 평전>에서, 원동골 답사에서 얻은 최대 수확은 김개남의 종손녀인 김씨 노파(1902년생, 산외면 동곡리 원동골 거주)로부터 "전봉준이 전주화약 이후 이곳에 머물던 당시의 구전이며 그의 가족 관계"를 소상하게 들을 수 있었던 일이라고 밝힌다. '이곳'은 동곡리 원동골을 가리킨다. 1894년 전주화약(1894년 동학농민운동 중 농민군이 전주를 점령한 뒤 정부와 맺은 화약-편집자 주) 이후 전봉준이 산외면 동곡리 원동골, 즉 동곡 마을에 머물렀다는 것이다.

1984년 <주부생활> 김석환 기자는 산외면 동곡리 동곡마을에 살고 있는 박승규를 직접 취재한 적이 있다. 김 기자는 박승규의 안내를 받아 같은 마을에 있는 전봉준의 생전 거주지를 직접 보았다면서, 그 집을 사진으로 게재하였다.

김 기자는 그 사진을 <주부생활> 1984년 6월호에 실으며 "동곡리에서 거주할 때 전봉준이 살았다는 집. 지금은 주인도 바뀌고 집도 허물어져 간다"라고 설명하고 있다3). 필자는 김 기자가 사진을 게재한 '전봉준이 살았다는 집'의 위치가, 바로 현재 '전북 정읍시 산외면 동곡리 동곡마을 160-3' 장소와 일치한다고 본다.

전봉준 연구해온 학자 송정수의 확언

전봉준 장군의 가계 연구의 대가인 송정수 교수는 자신의 저서에 전봉준 장군의 마지막 거처지를 분명히 제시하였다. 그는 본인 저서 <전봉준 장군과 그의 가족 이야기>에서 마지막 거처지를 "동곡리 160-3번지"로 확인하였고, 사진까지 게재하였다.4) 

그러면서 송 교수는 "현재 이곳에 살고 있는 박옥자 할머니의 증언에 의하면, 1950년 초 시어머니로부터 이 집터에 (전봉준) 장군의 옛집이 있었다는 이야기를 들어왔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앞서 필자가 만났던 분이다. 

한편, 앞서 신복룡 교수가 1981년 1월 만났던 강금례(1905∼1983)와 박승규(1986년 사망)는 전북 정읍시 산외면 동곡리 122번지(동곡 마을)에서 일생을 보냈다. 필자는 강금례·박승규의 집과 전봉준 장군 마지막 거주지인 '동곡리 160-3번지'가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고, 같은 동곡 마을에 있음을 직접 확인하였다.

전봉준은 1895년 3월 29일(양력 4월 23일)에 사형 판결을 선고받았고, 다음날인 3월 30일(양력 4월 24일) 새벽 2시에 의금부 전옥서에서 교수형이 집행되어 순국하였다. 41세였다. 이후 전봉준은 '산외면 동곡'에 있는 아내와 자식들을 만나지 못한 채 숨졌다.

그의 가족들이 살던 산외면 동곡은, 동곡리 '지금실 마을'과 동곡리 '동곡 마을'로 나뉘어져 있다. 지금실 마을에는 현재 전봉준의 혁명 동지였던 김개남 장군의 집터를 소개한 표지판이 아래와 같이 세워져 있다. 안내 표지판이 있으면 찾기가 훨씬 쉽기에, 참 좋아보였다.

'전봉준 마지막 거주지'에도 표지판 세워야
  
(산외면 동곡리 지금실 마을 소재)
▲ ‘김개남 장군 고택터’ 표지판 (산외면 동곡리 지금실 마을 소재)
ⓒ 박용규

관련사진보기

 
현재 전봉준 장군이 태어난 탄생지(전북 고창읍 죽림리 당촌마을)에도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전봉준 장군이 한때 거주한 전북 정읍시 이평면 조소마을에는 '전봉준 장군 고택지' 표지판과 고택이 복원되어 있다. 그런데 전봉준 장군의 마지막 거주지에는 아직까지 표지판 하나가 없는 상태인 점이 아쉽다.

전북 정읍시청 산하에 '동학농민혁명선양사업소'란 부서가 있다. 나는 이 '동학농민혁명선양사업소'가 현지답사를 하여, 조속한 시일 내로 '전봉준장군 마지막 거주지' 표지판을 세워주기를 바란다. 필자가 전봉준 장군의 마지막 거주지로 보는 곳에 대해, 필자와 다른 의견을 가진 분이 있다면 그 반론 또한 환영한다. 

덧붙이는 글 | [각주별 참고자료]
1) <전봉준공초>; <동학사상자료집>제1권, 아세아문화사, 1979, 301쪽
2) 신복룡, <전봉준의 생애와 사상>, 양영각, 1983, 217∼218쪽. | <전봉준 평전>, 들녘, 2019, 402쪽.
3) 김석환, '전봉준의 핏줄이 살아있다(동학혁명이 일어났던 전북 정읍군 산외면에서 가난한 농부로 사는 외손자 박승규)', <주부생활>, 1984년 6월호, 
4) 송정수, <전봉준 장군과 그의 가족 이야기>, 혜안, 2021, 178쪽.


태그:#전봉준, #전봉준 마지막 거주지, #전봉준공초, #동곡리 동곡마을, #김개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고려대 한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과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려대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와 한글학회 연구위원을 역임하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