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후위기는 먼 미래의 위기가 아니다. 바로 눈앞에 왔다. 지구 평균 온도가 1.5도 상승하는데 남은 시간은 불과 7년 3개월이다. 말세론자의 주장이 아니다.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자료를 근거로 만든 기후시계가 알려주는 과학적 결과이다. 

영화 <돈룩업>에서는 과학자들이 혜성과의 지구 충돌을 주장해도 정치인과 언론, 기업가는 믿지 않다가 결국 지구의 종말을 맞이한다. 7년 3개월 남은 현실에서 우리나라 정치인과 언론, 기업가는 영화 속의 장면과 조금도 다를 바 없다.

기후위기를 정치적으로 대응하는 정치인과 그들을 따르는 시민들은 '7년 3개월'을 듣지 않고 믿지 않는다. 방송은 오로지 시청률만을 생각하고 다루지도 않는다. 7년 3개월 남은 이 시점에 방송마다 먹방 프로그램이고 맞히기 상품은 한우 세트, 그레타 툰베리의 표현대로 기후위기 절박성은 눈곱만큼도 없다.  

화석연료 퇴출, 재생에너지 확대

기후위기 대응 방법은 화석연료의 퇴출과 재생에너지 확대, 그리고 에너지 절약뿐이다. 수많은 기후위기 대응 토론회와 세미나에서 절약은 잘 다루어지지 않는다. 

2009년 타임지 신년호에서 '에너지 절약은 제5의 에너지'라는 보도를 한 바 있다. 보통 불을 '제1의 에너지', 석유를 '제2의 에너지', 원자력을 '제3의 에너지', 수소와 태양에너지를 '제4의 에너지'라고 부른다. 

1973년 '석유 파동(오일 쇼크)' 이후 절약한 에너지 총량은 지난 35년간 석유를 통해 얻은 에너지 총량을 넘는 수준이고 석탄이나 천연가스를 통해 얻는 에너지의 2배, 원자력발전소를 통해 얻는 에너지의 6배에 맞먹는 양이라고 보도했다. 

그리고 "에너지 절약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차선책이 될 수 있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절약하는 노력이 세계적으로 전개된다면 2020년까지 세계 에너지 수요의 20% 이상을 줄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에너지 연간 수입액이 2020년 기준 100조원

우리나라는 에너지 연간 수입액이 2020년 기준 100조 원이다. 2019년 국민 1인당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13.6톤, 1인당 전기 소비량은 1만 kwh를 넘는다. 

영국 4500kwh, 독일의 5900kwh의 두 배에 이를 만큼 전기소비량이 높다.  이것은 전기를 절약할 여력이 많다는 증거로 정부 정책만 올바르게 세우면 기후악당국의 불명예를 쉽게 벗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기업, 환경단체까지 절약은 외면한다. 경제 성장에 절약은 도움이 되지 못하기 때문일까. 싼 전기요금에 흥청망청 소비하기를 원한다. 

겨울에 반팔로 여름에는 긴팔로 지내기를 원하고 한 달에 전기요금 1050원 오른다고 모든 언론이 보도한다.  3∼4년 전부터 전기소비 절약이라는 말은 자취를 감췄고 개문 냉난방 단속도 사라졌다.

시민단체의 연중행사로 전등불 끄기 행사만 남아 있을 뿐이다. 형식적일 뿐 실질적인 전기 절약량은 너무나 미미하다. 

경남도 '중소기업 에너지 진단'   

2021년 경남도에서는 경남의 20개 중소기업에 에너지진단과 시설을 개선한 결과 연간 에너지 비용 3억 3300만 원을 절감하였다. 

경남도 예산 3억 원으로 그 이상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한 것이다. 이를 전력소비로 환산한다면 300만kwh를 절약한 셈이 된다. 경남의 전체 제조업체 3만 5000여 개 중 20%만 에너지진단을 받고 시설을 보완한다면 5억kwh의 전기를 절약하게 되고 이것은 15만 가구가 연간 쓰는 전기량과 같다. 

불과 20개의 중소기업이 에너지 진단만으로 이 정도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은 우리 주변에는 탄소를 쉽게 감축할 수 있는 길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에너지를 낭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남도는 앞으로 이 좋은 제도를 더욱 확대하여 탄소중립의 시대를 앞당기고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지키는데 앞장서기 바란다. 전기요금이 싸다보니 에너지 절약에 관심이 적은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인류의 미래가 걸린 기후위기 대응에 함께 한다는 마음으로 많은 기업이 참여하기를 기대한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2014년 9월 23일 유엔 총회에서 "내가 전구를 바꾼다거나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모는 것으로 기후 문제가 해결될 수 없고 산업계와 정부가 대단위의 결정적인 행동을 취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개인의 소비행태가 중요하고 생활 태도도 중요하지만 제도적으로 대단위 탄소감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1.5도 상승을 막지 못한다. 절약은 최고의 발전소가 확실하고 전기소비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인 우리나라에서는 더욱 그렇다. 

오일 쇼크가 에너지 절약을 촉진시켰듯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가격이 폭등하고 있는 지금이 절약이라는 묘약을 수용할 기회다. 전기요금 현실화와 기후기금 부과는 절약을 크게 촉진시킬 것이다. 이제 절약을 논의할 때가 충분히 됐다.

덧붙이는 글 | 박종권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공동대표


태그:#기후위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