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급한 일이 생겼을 때 마을주민이 활용하라고, 85세 이상 되신 어르신 자녀 연락처를 회관 벽에 붙여놓았다.
 급한 일이 생겼을 때 마을주민이 활용하라고, 85세 이상 되신 어르신 자녀 연락처를 회관 벽에 붙여놓았다.
ⓒ 최육상

관련사진보기

 
마을회관 한쪽 벽에 붙어있는 긴급 연락처가 눈에 먼저 들어왔다. 전북 순창군 금과면 대성마을 김기호(69) 이장과 대화는 연락처를 붙이게 된 사연으로 시작했다.

"이 분들이 우리 마을 85세 이상 되신 어르신이에요. 혹시 급한 일이 생기면 주민들보고 전화를 드리라고 자녀분 연락처를 붙여 놓았어요."

지난달 19일 마주한 김기호 이장은 "마을에서 내가 가장 젊고 어린 막내"라며 밝게 웃었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은 김 이장에게 딱 들어맞았다. 마을의 막내, 예순 아홉 살 이장은 대화 내내 유쾌했다.

김 이장은 "여기가 고향인데, 광주에서 아이들 가르쳐 결혼시키고 다시 마을로 돌아온 지 이제 5년 됐다"며 "마을 나갔을 때가 서른다섯인가 여섯이었고, 예순 네 살에 돌아와 작년부터 이장을 했다"고 막내 이장의 정체를 밝혔다.

"제가 원체 어렵게 살았어요. 그때 당시는 논도 적고 해서 담배 농사도 짓고 누에도 치고 그랬어요. 내가 아들 하나, 딸 둘이에요. 막둥이 딸이 초등학교 1학년일 땐데 저는 당시 '없이 살아도 얘들은 가르쳐야 하지 않느냐' 해서 큰 아들을 5학년부터 어머니랑 형님이 계신 광주로 보냈어요."

소 여덟 마리 팔고 광주 전세방으로

아들을 먼저 보내놓은 다음, 딸 둘을 데리고 광주로 나가게 된 계기는 농촌 시골의 척박함 때문이었다. 김 이장은 딸 이야기에 눈가가 촉촉해졌다.

"1990년인가, 그 땐 우리 마을 들어오는 길이 포장이 안 됐어. 자갈도 없고 순 황토 땅이야. 비가 오면 장화를 안 신고는 못 가. 어느 날 우리 딸이 신발을 들고 비를 쫄쫄 맞으면서 울고 와. 내가 '너희들을 가르쳐 놓고 다시 와야겠다'고, 이튿날 소 여덟 마리 있는 걸 싹 팔았어요. 어떻게 2000만 원을 만들어서 광주에 전세방을 얻었어요."

김 이장은 살던 집을 그대로 두고 떠났다. 아내가 광주에서 오가며 농사를 지었다. 김 이장도 광주에서 일을 하다 주말이면 틈틈이 농사일을 도왔다. 부부는 억척스럽게 벌어서 자녀 뒷바라지를 했다.

생신ㆍ제사 때마다 마을주민 아침 대접

예부터 대성마을은 부모님 생신이나 제사가 있으면 아침에 주민들에게 식사를 대접했다고 한다. 김 이장은 "마을 주민이 모두 와서 아침밥을 드시게 아주 의무적으로 번갈아가면서 한 곳은 대성부락밖에 없었다"면서 "키우는 닭도 잡고, 잘 살든 못 살든 있는 대로 대접했다"고 푸근했던 과거를 회상했다.

그러나 본인 역시 농촌의 빈곤함 탓에 도시로 떠나있었듯, 세상이 변하고 자식들 가르치기 위해 먹고살기 힘들던 시골 마을을 하나둘 떠났다.

"나 어렸을 때만 해도 쉰다섯 가구가 있었어. 우리 마을이. 지금은 이십오 호, 마을 주민은 총 30명 정도 돼요. 여자 분이 열여섯, 남자 분이 열 넷. 여든 살 넘으신 분이 여덟, 아흔 살 자신 분이 한 분이야. 제가 부락에서 제일 어려요. 막내야 막내. 하하하."

김 이장은 막내라는 말을 하며 정말 사람 좋은 웃음을 지었다. 그는 "인자, 한 사람이 두릅나무 심고 마을로 들어올 가능성이 많다"면서 "그 사람은 예순 두 살, 이번에 대기업을 퇴직했는데 내가 막내 벗어나려고 살살 꼬시는 중"이라고 한바탕 또 웃었다.

코로나19로 마을회관과 경로당은 모두 문을 닫았다. 이전에 만났던 몇몇 이장은 모두 어르신을 한 명 한 명 찾아다니며 마스크 등을 나눠드렸다고 했다. 김 이장은 발상을 바꿨다.

"저는 될 수 있는 한 뭐든지 회관에 와서 가져가시라고 해요. 왜? 당신 것만이라도 가지러 나오면 그만큼 운동이 된다, 저는 그렇게 생각해요. 노인들을 생각하면 갖다 드리는 것이 예의지만, 우스운 소리로 '나는 운동을 좀 하쇼, 한 발이라도 떼는 것이 더 오래 사니까' 그러면 다들 웃고 나오셔. 하하하."

이장 맡은 지 1년 여 만에 대형사고(?)
  
김기호 이장은 올해 초 설을 앞두고 마을에 모아 놓은 자금으로 일종의 ‘마을 자체 재난지원금’을 가구마다 70만원씩 배분했다.
 김기호 이장은 올해 초 설을 앞두고 마을에 모아 놓은 자금으로 일종의 ‘마을 자체 재난지원금’을 가구마다 70만원씩 배분했다.
ⓒ 최육상

관련사진보기

 
김 이장은 이장을 맡은 지 1년 여 만에 대형 사고를 쳤다. 마을에 모아 놓은 자금을 털어냈다.

"마을에 자금이 좀 있었어요. 아들딸들이 다녀가면서 회관에 하나씩 준 봉투하고, 외지로 나가신 분들이 우리 면 행사 때마다 주신 돈들을 모아 놓았어요. 제가 연초에 그랬어요. 코로나 때문에 너무 힘드니까 돈을 호당 칠십칠만 원씩 풀어서 드린다고. 모두 좋아라고 하셨죠. 호당 칠만 원씩은 장학재단에 장학금으로 맡겼고, 칠십만 원씩 현금으로 드렸어요."

설을 앞두고 배분한 일종의 '마을 자체 재난지원금'은 어르신 병원비와 약값, 명절 차림 준비, 손자손녀 세뱃돈 등으로 요긴하게 쓰였다고 한다.

대성마을 막내, 예순 아홉 살 이장

김 이장은 친환경우렁이농법으로 농사를 짓는다. 친환경 쌀은 이곳 친환경영농조합에서 일괄 수매해 유기농 퇴비와 우렁이 등 각종 비용을 제하고 수익금만 통장에 넣어준다. 김 이장은 "열심히 농사만 지으면 된다"며 웃었다.

"우렁이는 모내기하고 논에 물을 잡았을(채웠을) 때 풀어요. 보통 5월 25일 경 우렁이를 푸는데 신기하게 풀만 먹어치워요. 우렁이 수명은 논에 물을 잡아 놓는 기간인 25일 정도에요. 그 기간이 지나면 모가 쓰러지지 말라고 논의 물을 빼거든요."

김 이장은 면사무소에 문의해 경로당 보조금 사용을 코로나 맞춤형으로 바꾸기도 했다.

"제가 '경로당 간식비를 꼭 회관에서만 먹어야 하는 건 아니지 않느냐, 제과점에서 빵을 사다가 한 분씩 나눠드리면 되지 않느냐'고 물어서 답을 받았어요. 음료수랑 사서 전부 다 돌리려고 해요. 회관에서 받아 가쇼, 그래야 얼굴이라도 한 번 더 보고 웃으시지. 하하하."

겨울에 길이 얼었을 때는 일일이 어르신 댁에 가져다 드리고, 날이 풀렸을 때는 어르신이 뭐든 회관으로 오셔서 직접 받아 가시라고 한다는 김 이장. 그는 푸른 하늘을 바라보며 말을 맺었다.

"지금 날씨 좋잖아요. 여기는 주차장도 넓고 공기도 좋고 서로 접촉이 안 되게 한 분씩 회관에 나오셔서 뭐라도 받아 가시면 좋죠. 이럴 때 바람 한 번씩 쐬시고."

덧붙이는 글 | 전북 순창군 주간신문 <열린순창> 4월 29일 보도된 내용을 수정, 보완했습니다.


태그:#전북 순창, #금과면 대성마을, #마을이장, #순창군, #김기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전북 순창군 사람들이 복작복작 살아가는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