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일제강점기 군산의 병원, 치과, 한의원, 약국 신년광고(1936년 1월 ‘동아일보’)
 일제강점기 군산의 병원, 치과, 한의원, 약국 신년광고(1936년 1월 ‘동아일보’)
ⓒ 조종안

관련사진보기


군산 관련 자료와 보도 등 여러 기록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군산 지역 개업의 중 상당수가 의전(醫專)을 거치지 않고 의사면허를 취득한 것으로 나타난다. 1916년 군제의원을 개원한 정순문(鄭順文), 1932년 의사 시험에 합격한 김형식(金亨植), 1934년 치과의사 시험에 합격한 이민오(李敏五) 등이 대표적이다. 그중 김형식은 지경(대야) 지성당의원 원장과 옥구군 공의(公醫)를 겸하였다.

초등학교 진학률이 20%에도 미치지 못하던 1920~1930년대, 군산의 사회단체와 시민활동가들은 공교육을 받지 못한 무산 아동 교육을 위해 유치원, 야학, 청년학교 등을 설립하였다. 그들은 운영자금이 부족할 때면 동정음악회 개최나 통합 방식으로 유지하였다. 의료인도 다수 동참하였다. 후원회 가입, 위생검사, 성금 기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했던 것.

군산 의사들은 민간단체가 주관하는 '위생 강연회' 연사로 나서거나 보통학교(초등학교) 교의(校醫)를 맡기도 하였다. 1923년 4월 19일 저녁 동광청년회관에서 열린 강연회에는 권태형(안동의원 원장), 김세찬(옥산의원 의사), 현제국(세브란스의전 출신 의사) 등이 '전염병 발생 원인과 예방, 소독' 등을 주제로 강연을 펼쳐 큰 호응을 얻었다.

조선인 의료 인력이 크게 부족했던 일제강점기, 군산에서 병원을 개업한 의료인은 의학전문학교 출신 의학사(醫學士)보다 다양한 의료시설에서 조수 경력을 쌓아 의사 시험에 합격한 개업의가 훨씬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출신지도 서울을 비롯해 대구, 청주, 전북 고창, 충남 서천, 전남 목포 등 외지인이 많아 눈길을 끌었다.

그중 이장희(李章熙) 인제의원 원장, 강세형(姜世馨) 세창의원 원장, 권태형(權泰亨) 안동의원 원장 등의 흔적을 따라가 본다. 세 사람의 공통점은 당시로는 보기 드문 의학사 출신으로 광복 후에도 군산에서 병원을 운영했다는 것. 이들은 지역 주민들로부터 신망도 두터웠던 것으로 알려진다.

'산부인과의 거벽(巨擘)' 이장희 원장

이장희 원장은 대구 출신이다. 1933년 4월 대구의전(大邱醫專) 졸업하였다. 그해 나이 스물여섯. 그는 졸업과 동시에 군산도립의원에 발탁되어 산부인과 의사로 1936년 7월까지 진료에 임하였다. 임상 연구에 몰두하던 그는 그해(1936) 여름 군산도립의원을 사임하고 군산부 개복정(개복동)에 인제의원(仁濟醫院)을 개원한다(1934년 군산부 지도에서도 '인제의원' 확인됨).

이 원장은 1937년 봄부터 '군산부 촉탁의'를 겸하였다. 과거 신문들은 "이 원장은 '산부인과의 거벽'으로 성격은 중후하고 겸손한 전형적인 신사이다. 바쁜 중에도 학문 연구를 게을리하지 아니하며, 군산 의료계에서 가장 젊고 개업의 기간도 짧지만, 시민들로부터 신망이 두텁고 의술이 뛰어나 매일 환자가 답지하고 있다"고 전한다.

당시 개복정은 1정목(저지대), 2정목(고지대)으로 나뉘어 있었다. 1정목은 영화관 두 곳(군산극장, 희소관)에 악기점, 양복점, 사진관, 여관, 식당 등이 즐비한 상가였다. 그러나 2정목은 콩나물시루를 연상케 하는 수백 호의 토막집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데다가 변소 분뇨가 넘쳐흘러 통행인이 숨쉬기 어려울 정도로 위생시설이 전무한 빈민촌이었다.

인제의원은 1정목과 2정목 경계(도로변)에 위치하였는데, 2정목에는 일찍이 '은근자 마을(윤락가)'이 조성되어 당시에는 '화류병'이라고 불리던 여러 질병을 앓던 환자도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윤락가는 광복 후에도 형태를 바꿔가며 영업하다가 개복동화재사건(2002년) 이후 사라졌다. 인제의원 역시 광복 후에도 존재했으나 언제 폐원했는지 정확한 연도를 확인할 수 없어 아쉬움으로 남는다.

소아과의 태두(泰斗), 강세형 원장

 
세창의원 최근 모습
 세창의원 최근 모습
ⓒ 조종안

관련사진보기

 
강세형 원장은 군산이 고향이다. 1921년 경성세브란스의전 졸업하고 동(同) 병원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다가 1922년 의사 시험에 합격한다. 그리고 그해(1922) 충남 강경에서 개업했다가 1924년 2월 군산으로 이전, 지금의 중앙로 2가에 세창의원(世昌醫院) 개원하였다. 그는 지역에서 드물게 군산영명학교(특별과) 출신 의학사로 알려진다.

강 원장은 1931년 4월 좌담회(주제: '지방 여론을 청함')에 참석, 중등학교 설치와 공중위생 개선을 요구하였다. 일제는 1923년 군산에 있던 농업학교를 타지로 옮기고 중학교를 설립한다. 그러나 조선인 아동은 받아주지 않았다. 이에 강 원장은 "언제든 '씨를 뿌려야 열매를 맺는 것'이니 이번에 조선인 본위 중등학교 설치 운동을 하면 좋겠다"고 제의하였다.

이어 강 원장은 "군산은 공중위생인 하수구가 조선인 동네에 불충분하다. 모기와 날파리 때문에 야간에는 사람이 통행할 수가 없다. 개복동 일대는 더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하수구 시설이 시급하다"고 지적하였다. 기록에 따르면 당시 일본인 거주 지역은 오물을 내놓기 바쁘게 가져가지만, 조선인 동네는 며칠이고 방치되어 불결하기 짝이 없었다.

진찰 잘해서 '소아과의 태두'로 불렸던 강 원장은 '의(醫)는 인술(仁術)'임을 금과옥조로 여기고 빈자의 무료 진료를 자청했다 한다. 무료 시료(施療)는 광복 후에도 이어진다. 간호사를 통해 걸인에게 적은 금액이나마 돈을 전해줘 단골 걸인이 여럿 있었다는 뒷이야기도 전한다. 서민과 어울리기 좋아했던 강 원장은 1977년 봄까지 진료했으며 1983년 3월 영면에 든다.

개업의 중 '최초 의학사' 권태형 원장

 
왼쪽부터 1920년 전충의원, 1922년 안동의원, 1938년 안동의원 광고(병원 주소도  명치정, 노정, 강호정 등 다르게 표기되어 있다)
 왼쪽부터 1920년 전충의원, 1922년 안동의원, 1938년 안동의원 광고(병원 주소도 명치정, 노정, 강호정 등 다르게 표기되어 있다)
ⓒ 조종안

관련사진보기

 
"이분(권태형 원장)은 충남 서천군 한산면이 고향이고 경기고보를 나와 일본에 유학하여 6년제 대판의대(大阪醫大)를 1916년에 졸업하시고 서울에 있는 종합병원(경성제대 부속병원)에서 4년간 근무하시다가 1920년에 죽성동(일제강점기 '강호정')에 안동의원을 개원하였다."-<군산시 의사회>(2호)에서

그러나 권태형 원장 명의의 <동아일보> 광고(1920년 5월 1일~7월 30일)는 '전충병원(全忠病院)'으로 나온다. 처음에 전충병원으로 개업했다가 얼마 후 '안동의원(安東醫院)'으로 개칭하지 않았나 싶다. 병원 주소는 '명치정'으로 돼 있는데 1922년 이후엔 '노정(蘆町)', 1932년 이후 '강호정(죽성동)'으로 표기된다. 이는 시가지 확장 및 개편에 따른 결과물로 보인다.

병원은 2층 서양식 건물로 지금의 신영시장 입구(중앙동 주민센터 앞)에서 약 20m 지점 우측에 있었다. 주요 진료 과목은 외과, 산부인과, 피부과, 화류병 등. 권 원장은 군산부 학교비평의원(學校費評議員)과 군산부회의원(2선)을 지내면서 조선인들의 열악한 교육 여건과 낙후된 위생, 거주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해온 점들이 신문 기사를 통해 확인된다.

권 원장은 군산 개업의 중 최초 의학사로 알려진다. 그는 아동 건강에 유달리 관심이 많았다. 군산·옥구 지역 보통학교 교의(校醫)였던 그는 해마다 학기 초가 되면 시내는 물론 면 단위 학교까지 출장, 신입생 신체검사하느라 매우 바빴다고 한다. 그의 공적을 기리는 글귀가 중앙초등학교 정문 초석(주춧돌)에 새겨져 있었으나 훗날 개축하면서 사라졌다.

권 원장은 '군산시 의사회' 초대회장을 지냈다. 사업체도 여러 개(주조장, 도정공장, 염전 등) 소유하고 있었다. 자녀도 7남매(3남 4녀)를 뒀다. 그러나 군산에서 안동주조장을 맡아 운영하면서 의용소방대장을 겸하던 큰아들(권영복)은 1945년 11월 30일 군산 경마장폭발사건 때 동료 대원 8명과 함께 산화했다. 

둘째 아들(권영준)은 동경미술전문대학을 나온 청년작가였다. 선전(鮮展) 특선 등 장래가 촉망되던 둘째는 한국전쟁 때 납북된다. 불행은 둘째로 끝나지 않았다. 세브란스의과대학 졸업 후 의대 교수로 재직하던 셋째아들(권영달)이 1959년 어느 날 링거를 맞다가 쇼크사한 것. 세 아들을 가슴에 묻고 비탄하던 권 원장은 1963년 5월 통한의 삶을 마감한다.

*참고문헌: '군산시 의사회(책자)', 1920~1930년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태그:#일제강점기 , #군산 개업의, #이장희, #강세형, #권태형
댓글1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4년 8월부터 '후광김대중 마을'(다움카페)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정치와 언론, 예술에 관심이 많으며 올리는 글이 따뜻한 사회가 조성되는 데 미력이나마 힘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