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보소외계층 주민 위한 바우처제도 등으로 지역언론 활성화시켜야

강원도에서 유일하게 원주시만 계도지 예산이 없다. 반면 나머지 시군에선 적게는 1억 원에서 많게는 8억 원까지 세금으로 구독하고 있다. 원주시에서 계도지 예산이 사라진 건 지역 신문인 원주투데이의 문제제기와 2000년 한상철 당시 원주시장의 결단이 있었기 때문이다. 은평시민신문에서는 원주투데이 오원집 대표를 만나 당시 상황과 지역언론의 역할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 강원도에서 원주시만 계도지 예산이 없다. 어떤 과정이 있었나?
"20여 년 전 원주시에는 계도지 예산이 있었지만 원주투데이는 창간 때부터 계도지 예산은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면서 계도지 예산의 문제점을 이야기했다. 당시 계도지 예산을 받고 있던 신문사 간에 형평성을 두고 알력 싸움이 일어나면서 원주시가 계도지 예산을 없애기로 결단했다. 당시에 민언련 등 시민사회가 더 힘있게 계도지 폐지 요구를 했더라면 원주시를 넘어 다른 지역까지 계도지 폐지운동이 확산될 수 있었는데 아쉬운 점으로 남아있다." 
 
ⓒ 은평시민신문

관련사진보기


- 강원도와 원주의 지역 언론 상황은 어떤가?
"다른 지역에서는 강원도를 부러워한다. 대부분의 도는 일간지가 몇십 개가 되는데 강원도는 강원일보와 강원도민일보 이렇게 두 군데가 있다. 강원도 입장에서는 두 군데 신문사만 잘 관리하면 된다는 이야기일 수도 있는데 원주는 인구도 36만 명 규모로 인구가 많은 곳이고 원주투데이라는 지역 언론사가 있다 보니 상황이 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 현재 지역 언론을 둘러싼 환경이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사실 지방자치단체가 도와주지 않으면 살아남을 언론사가 몇 곳이나 될까? 그래서 제도적으로 지역 언론을 지원할 방법이 마련되어야 하고 이건 지방정부장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진행될 수 있어야 한다. 하나 생각해 볼 문제는 기준 없이 집행되는 계도지는 문제지만 바우처 제도 등을 이용해 지역주민들이 지역신문을 구독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지역신문발전위원회가 소외계층구독료 지원사업을 하는 것처럼 지자체가 바우처 제도를 만들어 정보소외계층이나 청년들에게 지역신문을 구독할 수 있도록 하면 어떨까? 그리고 지역신문 선택은 행정이 일방적으로 정해주는 게 아니라 주민들이 선택하도록 하면 지역신문은 행정이 아닌 시민들로부터 선택받기 위해 선의의 경쟁을 하지 않을까 한다. 이런 시도는 지역신문진흥책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 계도지 폐지 이후 원주의 변화가 있다면?
"계도지가 있었다면 강원도 내 지방지 등에 예산이 지급되고 지역지의 역할도 지금과 같지 않았을 거다. 하지만 그런 왜곡 현상이 없으니까 원주에서는 원주투데이가 제일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 언론의 여론주도력이 높아진 거다. 그리고 내가 돈을 내고 보는 신문과 공짜로 받아보는 신문은 그 영향력에서 큰 차이가 있다."
 
오원집 원주투데이 대표 (사진 : 정민구 기자)
 오원집 원주투데이 대표 (사진 : 정민구 기자)
ⓒ 은평시민신문

관련사진보기


- 서울은 아직 계도지 예산이 남아있다. 100억 원이 훌쩍 넘는다. 
"오랜 관행이라며 없어지지 않고 있어 안타깝다. 예전에 정부에서 정부시책을 알린다며 서울신문을 구독해서 주던 관행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 서울신문에 지방신문에 지역신문까지 점점 확대되었다. 서울뿐만 아니라 지역에서도 신문이 난립하는 건 문제다. 지자체들이 자꾸 신문에 조금씩 당근 같은 예산을 주니까 그 신문사들이 문을 닫지 못하고 사이비 기자 노릇을 하면서 먹고 사는 이들이 생긴다. 제도가 정확하게 만들어지면 사이비 언론사들은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 지역 신문 지원이 시급한 상황이다. 어떻게 해야 하나?
"선택과 집중을 통해 건강한 지역 신문을 키우는 게 중요하다. 원주투데이가 창간한 지 25년 됐는데 그동안 많은 지역 언론이 등장했지만 6개월을 넘기지 못했다. 원주투데이가 잘하고 있으니까 다른 언론은 대접을 안 해주더라. 결국 제대로 된 지역 언론 하나가 영향력을 갖고 있으면 사이비 언론은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지역은 지자체, 지방의회, 시민단체, 언론이 어우러지면서 한 지역이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갈수록 지자체의 힘은 세지고 시민단체는 행정의 용역 업무를 많이 하면서 지역 언론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다. 제왕적 단체장을 견제할 수 있는 건 이제 지역 언론밖에 없다." 

- 지방분권 시대에 지역신문의 역할은 더 중요해지고 있다.
"나는 지방분권은 시급한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 지방자치 제도를 정비해서 제대로 된 지방자치를 하도록 한 후에 분권을 해야지 지금도 제왕적 자치단체장에 의해 모든 게 독점되어있는데 이런 방향으로 가면 통제 불능이 된다. 그래서 지역신문 지원정책은 지역 분권정책으로 바라봐야 한다. 지방의회의 권한을 늘리거나 지역 언론에 힘을 실어주는 게 필요하다. 

지역신문은 필수라는 인식이 있어야 한다. 전국 254개 지자체 중 지역신문이 꾸준히 발행되는 곳이 얼마나 될까? 100군데 정도 될까? 나머지는 그런 지역 언론도 없다. 그런 상황에서 무슨 지방자치가 가능한가? 누가 이를 견제할 수 있나? 그래서 지역 신문은 언론 육성 차원이 아니라 지방 분권 차원에서 볼 필요가 있다. 

지역 신문에 지원하는 걸 두고 개별 업체를 지원한다고 비판한다. 지역 신문 기자들은 24시간 공익을 위해 일하지만 이윤 창출을 목표로 일하지 않는다. 지역에서 공익적 일을 하는데 형태가 주식회사라고 해서 기업의 하나로 보는 게 참 아쉽다. 올해 원주투데이가 창간 25주년이 되는데 지역에 이런 질문을 던져보려고 한다. 원주에 원주투데이가 없어도 되겠습니까? 지역에서 우리에게 요구하는 역할은 매우 많은데 우리가 이 일을 지속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은평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원주투데이, #오원집, #계도지, #원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은평시민신문은 은평의 시민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풀뿌리 지역언론입니다. 시민의 알권리와 지역의 정론지라는 본연의 언론사명을 지키고 실현하기 위해 정확하고 공정한 보도로 진실을 추구하며 참다운 지방자치와 풀뿌리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