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디지털 소외는 배려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

검토 완료

이 글은 생나무글(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
 무인화 기기 앞에서 한참을 서성이는 노인들. 요즘 우리가 새롭게 맞이한 사회적 문제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모습이다. 프랜차이즈 카페를 시작으로 영화관, 병원 등 생활 곳곳에 키오스크가 자리를 차지했다. 물론 무인화기기가 최근 들어 처음 생긴 것은 아니다. 지하철 매표 기기, 주차권 발행 기기는 이전부터 있었지만, 그 당시에는 사회의 극히 일부분이었다. 그렇다면 오늘날에는 왜 디지털 소외 문제가 부상하는 것일까?
 한국 정보화 진흥원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 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국민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그 내부 사정은 다르다. 20대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126.5, 30대는 121.7이지만, 50대를 넘어가며 일반 국민 수준인 100보도 낮은 92.8, 69.6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보인다. 이는 고령 사회를 맞이한 한국의 상황과 맞물리며 악효과를 야기한다. 고령인구 14.2%를 기록하며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은 더이상 노인 소외의 문제를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현재 과학기술정통부에서는 정보격차 해소 사업으로 정보통신 보조기기 구매를 지원하고 있다.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격차 해소 사업은 존재하지만,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사업은 아직 없는 듯하다. 특히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키오스크의 경우, 2019년 11월 기준 서초구청의 노인 키오스크 교육이 처음이자 유일한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공공기관은 서공공기관의 지원이 부족한 것은 단순히 예산의 희소성으로 치부할 수 없는 문제이다. 줄 앞에 선 노인이 키오스크에 맞닥뜨려 버벅거릴 때마다 뒤에 있는 젊은이가 도와줄 수는 없다. 누군가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노인이 디지털 기기를 다룰 줄 아는, 소외받지 않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이제는 시민 한 명 한 명의 배려를 넘어서서 사회 전체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해외 주요 국가에서 실행하고 있는 노인 정보화 교육 및 디지털 격차 해소에 대한 정책적 지원 제도와 실태와 효과를 국내 상황에 맞게 벤치마킹해야 한다. 미국은 노인의 정보 교육 참여의 장벽을 허묾으로써, 고령층이 보다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교육을 위한 컴퓨터 랩이나 센터들은 비교적 접근성이 높은 지역 공공 도서관이나 피트니트 센터에 설립한다고 한다. 영국의 경우, 정부와 민간, 시민단체, 지방정부 간의 협력을 통해 정보화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의 재정적 지원, 기술적 지원과 비영리단체 간의 협력을 활성화한다면 한국의 노인도 디지털 소외 계층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