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은행
 한국은행
ⓒ 한국은행

관련사진보기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빚 증가율이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여러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취약계층 대출자의 빚은 다소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지난 28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2019년 3월)'을 보면 우리나라 가계부채 총량은 지난해 말 1534조6000억 원으로 전년 말보다 5.8% 늘었다. 이는 2013년(5.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8년 말 가계소득 증가율은 가계빚 증가율보다 1.9%포인트 낮은 3.9%로 추정됐다는 것이 한은 쪽 설명이다.  

한국은행이 가계부채 통계를 처음 공개했던 2003년에는 가계소득 증가율이 가계빚 증가율보다 5.2%포인트, 2004년에는 2.7%포인트 높았었다. 가계 소득이 빚보다 더 빠르게 늘어났었다는 얘기다. 그러나 2005년부터는 빚의 증가속도가 더 빨라졌다. 2005년 가계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보다 4.8%포인트 높게 나타난 것. 이후 가계빚 증가율은 매년 가계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그러던 중 가계부채 증가율과 소득 증가율의 격차는 2014년 2분기(4~6월) 0.4%포인트까지 줄어들었는데, 이후 2016년 4분기(10~12월) 8.4%포인트까지 치솟았다. 2016년 말 당시 가계빚 증가율은 11.6%로 정점을 찍은 반면 소득증가율은 3.2%에 그쳤었다. 이와 비교하면 지난해 말 가계빚 증가속도는 늦춰지고, 소득 증가속도는 다소 빨라진 것. 

이처럼 가계부채 증가속도는 둔화됐지만 2018년 한 해 동안에는 평균적으로 가계의 빚 부담이 높아졌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7년 말 159.8%에서 지난해 말 162.7%로 상승했다. 우리나라 가계들이 벌어들인 돈 가운데 세금 등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금액과 가계부채 총량을 비교해 계산한 수치가 악화됐다는 얘기다. 또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같은 기간 83.8%에서 86.1%로 올랐다. 

가계빚 70%는 돈 많고, 신용 좋은 사람들

가계빚 대부분은 고신용·고소득자에 몰려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말 기준 전체 가계대출 가운데 상위 30%에 해당하는 고소득자의 비중은 64.4%, 신용등급이 1~3등급인 고신용 대출자의 비중은 70.8%로 집계됐다. 반면 저소득자(상위 70~100%) 비중은 11.4%, 7~10등급의 저신용자 비중은 5.9%에 그쳤다. 

그렇지만 저소득자 등 취약계층 대출자의 부채규모는 2015년 이후 계속 증가했다는 것이 한국은행 쪽 설명이다. 여러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자 또는 저신용 대출자들의 대출액수는 2018년 말 86조8000억 원으로 전년 말보다 4조1000억 원 증가했다. 

반면 이에 해당하는 대출자수는 지난해 말 146만8000명으로 전년보다 3만1000명 감소했다. 또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저신용 모두 해당하는 대출자의 대출규모는 12조2000억 원으로, 같은 기간 5000억 원 줄었다. 변성식 한국은행 안정총괄팀장은 "2017년 말 정부가 취약계층 지원방안의 하나로 장기연체채권을 소각한 영향"이라고 말했다.

취약 대출자의 대출 가운데 은행이 아닌 금융기관의 비중은 64.8%에 달했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25.2%), 여신전문금융회사(15.9%), 대부업(8.5%)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민좌홍 한국은행 금융안정국장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은 일부 취약요인이 있으나 비교적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글로벌 경기둔화 등 대외여건의 높은 불확실성으로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는 데다 가계부채 관련 위험요인이 잠재해있어 금융안정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태그:#가계부채, #한국은행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