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산지역 환경단체들이 주축이 된 ‘낙동강하구문화재보호구역보전시민연대’는 1일 오후 부산시청 광장에서 낙동강 하구의 난개발을 멈춰줄 것을 촉구하는 행사를 열었다.
 부산지역 환경단체들이 주축이 된 ‘낙동강하구문화재보호구역보전시민연대’는 1일 오후 부산시청 광장에서 낙동강 하구의 난개발을 멈춰줄 것을 촉구하는 행사를 열었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부산 지역 환경단체들이 낙동강의 난개발을 멈출 것을 부산시에 요구했다. 습지와새들의친구 등 부산지역 환경단체들이 꾸린 '낙동강하구문화재보호구역보전시민연대'(아래 시민연대)는 1일 오후 부산시청 광장을 찾아 낙동강을 관통하는 교량건설과 마리나 사업 추진을 철회해달라고 요구했다.

시민연대는 이러한 개발 사업이 낙동강 일대의 습지를 훼손하고 환경 파괴를 가속화할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

이들은 입장문을 통해 "산업화 이후 무분별한 개발로 우리 주변의 습지는 빠르게 소실되었고 이로 인해 온실가스가 급증하였다"라면서 "지구는 점점 뜨거워지고 이상 기후가 일상화되면서 이제는 미세먼지로 숨조차 제대로 쉴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시민연대는 "상황이 이렇게 심각해졌음에도 습지파괴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낙동강하구는 신이 내린 축복의 땅이라 불리며 동양 최대의 철새도래지로 그 위용을 자랑하던 곳"이라면서 "안타깝게도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음에도 습지 가치를 알지 못해 마구잡이로 개발이 진행되었고, 이제는 자연 파괴의 상징과 같은 곳으로 일반인들의 뇌리에 각인된 곳이 되어버렸다"라고 밝혔다.

특히 이들은 부산시와 해양수산부 등이 추진하는 교량과 내수면 마리나 건설을 두고 "마지막 남은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의 명줄을 자르려 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시민연대는 "낙동강 하구의 여름을 대표하는 철새, 쇠제비갈매기는 모두 사라졌고, 겨울을 대표하던 큰 고니는 평균 3천 마리가 찾아오던 숫자가 1천 마리대로 급감하였다"라면서 "낙동강 하구 습지가 돌이키기 어려운 속도로 파괴되어 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시민연대는 "우리의 생존만이 아니라 후손들의 생존을 위해서도 최소한의 습지는 보존되어야 한다"라면서 "보호구역마저 마구잡이로 개발이 진행되어서는 희망이 없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민연대는 대저대교, 엄궁대교, 장락대교, 내수면 마리나 건설 등 낙동강 하구 문화재보호구역 내에서 추진 중인 각종 개발 사업의 중단을 요청하는 한편, 정부가 낙동강 하구 문화재 보호구역 보전에 힘써달라고 요구했다.

부산시와 더불어 부산시의회에도 "도시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여 시대에 맞는 새로운 도시 건설 목표"를 주문했다.

태그:#낙동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