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백년의 역사를 아우르는 시간이었다. 숨이 벅차게 파고를 넘어 민주주의 시원(始原)이 된 3·1운동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정리하며 비폭력 평화시위만이 3·1정신이었는지 함께 생각해 본다. <독립만세 토크쇼-정재환의 3·1운동 이야기> 마지막 방송에는 다시 한 번 성공회대 한홍구 교수를 초대해 <3.1운동 완성의 역사적 사명>에 관한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어보았다.

한홍구 교수는 3·1운동이 일제의 폭력적인 진압에 의해 실패한 것이라고 볼 수 있지만 비폭력 평화를 표방한 것은 전술적으로 유리했다고 평가했다. 무장 항쟁을 했다면 독립은 쟁취하지 못하고 더 큰 피해를 입었을 것이며, 베르사이유 강화 회의에 우리의 독립 의지를 보여주기에도 적절하지 않는 방식이었을 것이라 주장했다.

성공회대 한홍구 교수
 성공회대 한홍구 교수
ⓒ 최윤실

관련사진보기


한홍구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3·1운동의 열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민주공화제를 천명했지만 대중들이 받아들이기는 어려웠다고 한다. 1920년대 대중들 입장에서는 누군가가 나타나서 다시 새로운 군주 국가를 세울 것이라 예상했기 때문이다. 그러한 대중들의 열망이 반영되어 나타난 것이 바로 보천교다. 보천교의 수장인 차천자(차경석)는 다음 번 천자라는 뜻으로, 아예 국호를 시(時)라고 명명하고 자체추산 600만 명의 신도를 가지며 세를 확장하였다. 정읍에 신도시를 만들면서 지지를 받았지만 차천자의 사망과 더불어 세가 흩어지면서 흐지부지 되었다. 이렇듯 역사의 변혁은 선언만으로 변하지 않는다. 대중들이 그것을 받아들여 자기 것으로 만들고, 따라가기까지 반드시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3·1운동 이후 대한민국 역사를 더 살펴보자면 2차 대전 이후에 독립한 나라 중에서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첫 번째 시민혁명이 4·19다. 전쟁이 끝나고 불과 만 7년 만에 발생한 4.19혁명은 일본 군국주의 교육이 아닌 한글로 학습을 한 학생들이 주도한 것으로 민주주의가 집약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는 대중들의 민주 역량을 강화시키며 6월 항쟁으로 이어졌고 호헌철폐, 독재타도, 직선제로 민주주의를 지평을 넓혔다. 한홍구 교수는 한국은 짧은 기간 동안 민주주의를 발전시켰는데, 그 과정에서 잃은 것과 이룬 것이 무엇인지 분석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홍구 교수는 3·1운동 정신을 계승하여 물리적인 폭력 없이 촛불만으로 정권을 교체한 것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일이며 대단한 의미를 가진다고 전했다. 촛불 이후, 중요한 과제는 어떤 민주주의를 세울 것인가인데, 다양한 계층의 스펙트럼을 받아들이고 노동이 설자리가 확실한 민주주의를 만들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촛불을 들었던 사람들이 30년 후, 50년 후에 어떻게 살고 있는가가 촛불의 미래이며 민주주의의 역량이라고 말했다.

한홍구 정재환
 한홍구 정재환
ⓒ 최윤실

관련사진보기


마지막으로 한홍구 교수는 100년이라는 긴 챕터를 마무리하고, 역사의 새 장을 열어서 독립운동가들이 꿈꿨던 제헌헌법의 기본정신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적 민주주의와 경제·사회적 민주주의를 조화시켜 한 차원 높은 민주주의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왔다고 전망했다.

그동안 <독립만세 토크쇼, 정재환의 3·1운동 이야기>는 10회 동안 진행되면서 3.1운동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았다. 교과서를 통해 배웠던 3.1운동이 지금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기를 바란다. 3·1운동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는 2018년에도 더 좋은 기획과 다양한 내용의 <독립만세 토크쇼>로 여러분들을 찾을 것이다.


태그:#팟캐스트 , #한홍구 , #정재환, #독립만세 토크쇼, #3.1운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