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해 9월 12일 발생한 경주 지진의 진원지
 지난해 9월 12일 발생한 경주 지진의 진원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관련사진보기


지난해 9월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 정도의 지진 진앙은 양산단층에서 갈라져 나온 지류 단층인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지층 응력이 안정화해 같은 단층에서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재발할 우려는 희박할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24일 오후 포항지질자원실증연구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현장조사와 지표지질조사, 탄성파 자료 해석 등을 토대로 한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질연구원은 양산단층과 모량단층 사이의 무명단층(이름 없는 단층)이 분포돼 있고 양산단층과 무명단층 사이 지하 11~16km 지점에서 2개의 지층이 상반되는 수평으로 미끄러지는 단층활동 때문에 지진이 발생했다고 파악했다.

경주 지진의 진원은 지하 11~16km 지점으로 주방향은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단층면해와 일치하고 단층면은 70도의 경사를 가지고 있으며 크기는 폭과 길이가 각각 5km로 보인다.

지난해 9월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은 양산단층에서 갈라져 나온 지류단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9월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은 양산단층에서 갈라져 나온 지류단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관련사진보기


경주시 내남면 화곡저수지 일대에서 탄성파 조사를 한 결과 무명단층 및 7개의 소규모 단층들이 확인됐다. 하지만 경주지진과 관련된 단층운동 또는 지표파일 흔적은 발견되지 않아 단층대거 지표까지 확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지질연구원은 이번 지진이 고주파 대역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저층 구조물의 피해가 컸다고 밝혔다. 기상청이 현장대응팀을 투입해 지난해 경주지역의 지진 피해를 조사한 결과 담장 파손과 건물 균열 등의 피해 건수가 2300여 건에 달했던 이유다.

지질연구원은 하지만 월성 원자력 등 국내 최대 원자력발전소 밀집지역인 동남권의 지진 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양산단층의 활동성 여부에 대해서는 뚜렷한 답을 내놓지 못했다.

선창국 국토지질연구본부장은 "향후 양산단층 일원에까지 확대해서 적용하면 발생하는 지진들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밝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과거 지진 이력을 토대로 정량 정보를 도출하게 되면 발생 가능한 지진의 규모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지질연구원은 향후 양산단층대 및 주변 지역의 정 및 지표지질조사를 통해 지질정보를 생산하고 단층대 시추 및 트렌치 조사를 통해 단층대의 지질특성을 규명할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고품질의 지진정보를 제공하고 지진피해에 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태그:#경주 지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주재. 오늘도 의미있고 즐거운 하루를 희망합니다. <오마이뉴스>의 10만인클럽 회원이 되어 주세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